1. 제22장 본문입니다.
唯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則能盡人之性 能盡人之性則能盡物之性 能盡物之性則可以贊 天地之化育. 可以贊天地之化育則可以與天地參矣.
유천하지성 위능진기성. 능진기성즉능진인지성 능진인지성즉능진물지성 능진물지성즉가이찬 천지지화육. 가이찬천지지화육즉가이여천지참의.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스러움만이 자기의 성性을 다할 수 있다. 자기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남의 성을 다할 수 있고 남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물物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며 물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다.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으면 천지와 하나가 될 수 있다.
2. 흔히 훌륭한 사람이 훌륭한 일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성이 훌륭하면 그에 걸맞은 행위가 나온다는 뜻이겠지요. 하지만 그런 식이라면 세상에 어떤 사람은 본성이 훌륭하며 또 어떤 사람은 본성이 훌륭하지 않은가에 대한 선험적 구별을 전제해야 합니다. 저는 그런 구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설혹 있다 해도 누가 그것을 알겠습니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하는 실천을 보고 나서입니다. 한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만큼 그 사람입니다. 자신이 실천한 만큼 그 사람입니다. 실천되지 않은 관념이나 지식이나 자세는 아직 그 사람이 아닙니다. 지극한 실천, 곧 지성至誠, 온 힘을 다한 선택만이 자기 본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선택하지 않은, 실천하지 않은 부분을 자신이라고 우겨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탐욕입니다. 탐욕을 거절하고, 견뎌야 합니다. 그래야 사람입니다. 그래야 중용의 이치 앞에 부끄럽지 않은 삶입니다.
이렇게 실천의 자리에만 자신의 본성을 매겨 넣어야 타인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참 소통은 실천의 소통입니다. 실천으로 관통하고 실천으로 흡수하는 것입니다. 거기서 비로소 참 인식의 통합이 꽃피는 것입니다. 그렇게 나타난 실천의 연대가 바로 사회적 본성입니다. 중용의 사회적 본질이 여기서 생겨납니다.
인간사회가 중용의 이치를 담는 최종적 그릇은 아닙니다. 인간 아닌 존재, 그것이 생명이든 아니든 우리와 함께 시공간을 지나는 모든 존재와 소통함으로써 중용은 생태학적 지평을 획득합니다. 이름 없는 풀 한 포기, 눈에 띄지 조차 않는 작은 벌레 한 마리, 돌 하나, 아니 물 한 방울까지 우리와 본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모두를 우리가 사랑하고, 배려하고, 보살핍니다. 그들 모두도 우리를 사랑하고, 배려하고, 보살핍니다.
세계가 온정으로 가득 차 있다는 유아적 허상을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모든 존재가 서로 마주한 주체이며, 소통의 동등한 당사자라는 사실을 말하려는 것입니다. 일방적 제압, 착취는 있을 수 없습니다. 더불어 새로워지고 자라야, 곧 화육化育해야 합니다. 서로 경이로움을 향해 이끌어주어야 합니다. 함께 그 존재 가치를 맘껏 펼쳐야 합니다. 이 경지가 대동입니다. 우리가 천지와 하나 되는, 곧 여천지참與天地參하는 궁극의 차원입니다.
천지와 하나 되는 일은 초월명상이나 면벽참선에서 일어나는 신비 현상이 아닙니다. 지극한 실천의 부단한 확산, 치열한 선택의 무궁무진한 증폭을 통해 이루어지는 숭고의 과정이며 영성의 공유입니다. 숭고는 인간이 개체의 경계를 허물고 세계 전체를 향해 삶의 영역을 넓혀가는, 거꾸로 말하면 개체 밖의 삶과 가치를 널리 받아들이는 사유와 실천입니다. 영성은 숭고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광활함에 대한 깨달음입니다.
천지와 하나 되려면 통속한 행복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합니다. 각자도생이 삶의 원리인 이 신자유주의 세상에서, 돈만이 ‘근본’인 이 자본주의 세상에서 회자되는 행복이란 결국 절대다수를 수탈해서 취하는 극소수 패거리의 향락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행복을 꿈꾼다는 것은 수탈체제에 부역하겠다는 뜻입니다. 여기에는 숭고와 영성이 깃들 수 없습니다. 기존의 통속 인문학과 종교는 이미 여기에 휩쓸린 지 오래입니다. 천지와 하나 되는 일은 이런 향락적 행복을 거절하고 공공의 어젠다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세상의 고통 속에 함께 앉아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구태여 참된 행복이라고 한다면 이 행복만을 우리는 추구해야 합니다. 그런 세상입니다.
3. 오늘 우리 대한민국 사회를 돌아보면 참담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더불어 새로워지고 자라 천지와 하나 되는 중용은커녕 끊임없이 후패하고 퇴행하는 정치로 말미암아 국민은 더욱 죽음과 고달픔, 그리고 두려움으로 내몰리고 있으니 말입니다.
세월호에 250명 아이들을 포함해 304명의 국민을 가두어 잔혹하게 살해하였던 바로 그 국가가 피의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중동독감으로 불특정 다수의 국민을 살해하였고, 역사교과서 획일화 책동으로 역사를 살해하고 있으며,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를 다시 한 번 살해하려 하고 있습니다.

국가는 최근 몇 년 동안 언제나 그래왔듯 처음부터 끝까지 사태의 경과를 뒤죽박죽으로 만드는 전략을 썼습니다. 사태의 경과를 뒤죽박죽으로 만드는 핵심 전술은 ‘닥치고’ 하는 거짓말이었습니다. 거짓말 중 가장 큰 파괴력을 지닌 것이 바로 ‘대통령의 시간’이었습니다. ‘대통령의 시간’은 전혀 하자 없는 촘촘한 서사를 구성하는 것으로 발표·보도되는 바로 다음 찰나 치명적 부재를 공공연히 드러냈습니다. 사태의 경과 진실과 전혀 관련 없는 설정 임재臨在가 사태의 서사를 분산하고 해체했습니다. 세월호 서사도 중동독감 서사도 역사교과서 획일화 서사도 일본군 성노에 피해자 문제 서사도 산산이 흩어지고 말았습니다.
서사가 붕괴된 사태로 말미암아 죽음은 확산되고 불안은 증폭되었습니다. 세월호 우울로 위축된 경기는 중동독감 공포 때문에 바닥을 쳤습니다. 연이은 악정은 바닥상태를 고착시켰습니다. 절대 다수의 인간적 고통에 아랑곳하지 않고 극소수의 비인간적 향락은 세계 사치성소비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국민의 삶이 피폐로 적나라해질수록 더욱 비밀스러워지는 ‘대통령의 시간’은 철통 같이 보위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새로워지고 자라 천지와 하나 되는 중용은 못할망정 대놓고 소시오패스 행태를 보이는 것만이라도 삼갔으면 하는 최소한의 바람조차 물색없습니다. 우리가 이 나라 국민의 운명을 지고 살아야만 하는 까닭이 무엇인지 대체 누구를 붙잡고 물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