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타인의 죽음을 어떤 것의 더는 존재하지 않음으로 경험하는 것은 모든 부정적 사고, 곧 변증법적 사고의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동시에 모든 변증법의 거부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부정의 부정의 부정이랄까.·······부정적인 변증법 사고의 길을 활짝 열어주는가 싶더니, 그 길을 들어서기 무섭게 막아버린다. 죽음은 그 어떤 긍정적인 것도 가지지 않는 부정이기 때문이다.(184쪽)

 

죽음, 그러니까 늙어감의 종착점에 관한 장 아메리의 사유는 이제 거의 막바지에 이른 듯합니다. 예의 그 단호한 어조가 더욱 결곡해졌습니다. 급기야.

 

부정의 부정의 부정

 

대체 이 얼마나한 칠흑의 풍경이란 말입니까. 더는 나아갈 수 없는 절망과 무의미의 냄새가 와락 끼쳐오는!

 

그가 말하는 변증법이 어떤 변증법인지 물론 불확실합니다. 분명한 것은 헤겔의 그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통속한 이해일 경우, 지양을 통해 합이 나오는 그런. 아니면 본디 헤겔이 말했다 하는, non A를 품은 A가 스스로 실체변환을 일으키거나, non A를 품은 A가 non A와 같아지는, 그런 변증법이 아닙니다. 그럴 수 없습니다, 적어도 장 아메리에게 죽음이란.

 

‘부정의 부정’을 변증법이라 하면 그 뒤에 오는 세 번째 부정은 변증법을 “무섭게 막아버린다”는, 그러니까 “거부”로서, 어찌 보면 장 아메리의 마지막 언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여 이렇습니다.

 

없음은 그저 없음이다. 동어반복이기는 하지만 여기서 할 수 있는 유일한 말은 이것뿐이다. 아니 이마저도 말하지 말아야 한다.”(185쪽)

 

저는 여기가 끝이라고 느꼈습니다. 그가, 장 아메리 스스로가, 말하지 말아야 한다는데, 감히, 누가, 더, 말을 이어간다는 것입니까. 나치에게 뼈가 으스러지도록 고문당한 장 아메리한테 죽음이란 “없음은 그저 없음이다.”입니다. 아니, 그러니까, “아니 이마저도 말하지 말아야 한다.” 딱, 이뿐입니다. 끝이라고 말하기조차 민망한 그 끝. 한 실존, 인간으로서 저는 여기서 얼어붙습니다. 죽습니다.

 

죽어서 눈을 뜨니, 원효가 턱 하니 나타납니다. 저는 원효의 변증법을 온 변증법의 완성이라 여깁니다. 그러니까 변증법이 아닙니다. 일심一心, 또는, 화쟁和諍, 또는 무애無碍라 합니다. 헤겔이든, 장 아메리든, 서구 변증법은 “닫는” 변증법입니다. 원효의 일심-화쟁-무애는 “여는” 변증법입니다. 그러니까, 다시 말씀드리지만, 변증법이 아닙니다.

 

무엇이 다를까요? 서구의 “표준”인 형식논리학에서는 부정의 부정이 긍정입니다. 사실, 형식논리학을 넘어섰다 하는 헤겔도 이 표준에 터하고 있습니다. 장 아메리의 변증법 또한 부정의 부정이 긍정이고, 하여 그 뒤에 다시 오는 부정은 곧 논리의 마감입니다. 그러나 원효에게서는 부정의 부정이 긍정, 아닙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은 부정不定입니다. 부정不定은 uncertainty, 그러니까 자유입니다. 그 뒤에 오는 부정否定은 부정不定의 무한 연쇄입니다. 그것이 원효의 무애無碍입니다. 걸림 없음, 그러니까 거침없음입니다.

 

원효의 논리학은 논리의 완성이자 논리의 파괴입니다. 구태여 긍정과 부정을 들어 말한다면, 원효에게서 부정의 부정은 긍정이 아니라 대大긍정입니다. 대大긍정은 부정을 포함包涵합니다. 포함包含이 아닙니다. 포함包涵은 지양 통합도 아니고, 실체변환도 아니고, 같아지는 것도 아닙니다. 포함包涵은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닙니다. 포개지나 쪼개지고, 쪼개지나 포개집니다.

 

원효에게 죽음은 죽음이자 죽음이 아닙니다. 죽음이란 홀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죽음이란 삶을 전제로 하여 존재합니다. 죽음을 말하려면 반드시 삶을 말해야 합니다. 삶은 말할 수 있는 것이고 죽음은 말할 수 없는 것이라면, 말할 수 있는 것을 극진히 말할 때, 말할 수 없는 것의 짙푸른 진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삶을 충만히 말하면 곧 죽음이 됩니다. 장 아메리의 결정적, 그러니까 치명적 결함은 삶을 충분히 말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죽음을, 그러니까 죽음으로 향하는 늙어감을 말하기 위해 너무나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장 아메리에게 죽음은 너무 일찍, 너무 크게 들이닥친 절대 운명이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1912년에 태어난 그가 1943년, 그러니까 서른한 살에 ‘저 무서운’ 게슈타포에 끌려가 죽음“보다 더” ‘무서운’ 고문을 당했습니다. 뼈가 으스러지도록. 서른한 살, 죽음의 ‘질량’을 증득證得할 나이가 결코 아닙니다. 삶의 ‘에너지’를 만끽할 나이입니다. 이런 때에 선-체험한 죽음, 아니 그보다 더 무서운 죽음에의 육박, 형언할 수 없는 외상外傷입니다. 그렇습니다. 그에게 죽음이란. 그에게 죽음으로 가는 가파른 경사로, 늙어감이란. 그에게 이 「늙어감에 대하여」는 불치병에 대한 증상 보고서입니다. 하여 원효의 진실이 더욱 아프게 속살을 파고듭니다.

 

아픔은 장 아메리를 떠나 우리를 엄습합니다. 죽음에 대하여, 너는 무엇이냐, 고 멱살을 잡습니다. 아니, 삶에 대하여 너는 무엇이냐, 고 비수를 들이댑니다. 장 아메리처럼 죽음과 30cm 가까이한 적이 없다면, 아픈 시늉하지 말고, 삶을 말하라고. 대체 너는 지금 어찌 살고 있느냐, 고. 아니, 너는 도대체, 살고는 있느냐, 고.

 

오늘 우리에게는 장 아메리의 죽음보다 원효의 삶이 끽긴한 과제입니다. 죽음은 맹골수도 250꽃별들로 차고 넘칩니다. 쌍차로 충분합니다. 기륭전자로 됐습니다. 우릴랑은 살아야 합니다. “부정의 부정의 부정”을 깨뜨리고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인 부정不定”을 성취해야 합니다. 부디 자유로워야 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5-04-18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신의 운명도 스스로가 거두어간 장 아메리...책일고 한동안 멍했습니다...리뷰 잘 봤어요.감사드립니다.

bari_che 2015-04-18 14:19   좋아요 0 | URL
감사하신다니 감사드립니다.^^
보잘 것 없는 사색의 길이나마 그저 이렇게 쭉 가보겠습니다.
댓글저장
 

 

 

 

 

천시인사양상최天時人事兩相催

(하늘의 때와 사람의 도모는 서로를 열어준다.)

 

4월 15일과 16일의 경계에서 인생의 승부수 하나를 던져 놓고 하늘 시계 바늘을 응시합니다. 제 천명 의식은 맹골수도의 꽃별들과 생명의 지평, 역사의 맥락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일렁임이 고요함을 짝하며 흘러갑니다. 겨울사막의 끄트머리를 볼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하기 그지없습니다. _()_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04-16 17: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4-17 0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저장
 
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 이제는 분명하다. 그것은 죽음이다.(168쪽)

 

자, 이제는 분명합니다. 그것은 죽음입니다.

 

죽어도 인정하고 싶지 않은 죽음, 아이들의 죽음,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입니다.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을 우리 각자의 실재 속에 들여놓아야 합니다.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을 우리 각자의 역사로 만들어야 합니다.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을 우리 공동체의 실재 속에 들여놓아야 합니다.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을 우리 공동체의 역사로 만들어야 합니다.

 

자, 이제는 분명히 해야 합니다. 그것은 죽임이었습니다.

 

아이들의 분명한 죽음을 우리 공동체의 역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것이 매판독재세력의 고의에 따른 제노사이드였음을 밝혀야 합니다. 근거는 충분하고도 명백합니다. 2014년 4월 16일 이후 1년 동안 이 사건에 대하여 집권세력이 저질러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협잡은 이른바 직접증거보다 훨씬 더 웅변적으로 실체적 진실을 드러내줍니다. 근거의 결정판은 뭐니 뭐니 해도 최종 책임의 공백입니다. 2014년 4월 16일에는 한나절의 공백이 있었습니다. 2015년 4월 16일, 오늘은 물경 열하루의 공백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자, 이제는 분명합니다. 그것은 이탈입니다.

 

이탈은 고의적인 직무유기입니다. 고의적인 직무유기는 책임주체의 정치적 자기살해입니다. 책임주체의 정치적 자기살해란 그러면 과연 무엇일까요?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자, 이제는 분명하다. 그것은 죽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과 관련해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는(‘도’를 ‘는’으로 바꿈-인용자) 사회 전체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풀리지 않은 채 남을 따름이다. 이 문제를 책임 있게 다뤄야 할 당국은 오히려 이미 깨끗이 처리된 것처럼 뻔뻔하게 처신할 뿐이다.(177쪽)

 

이명박 이후 매판세력 떼거지가 지니는 윤리적 특성을 한 마디로 말하면 ‘뻔뻔하다’일 것입니다. 조금 더 분명하게 한다면 ‘대놓고 뻔뻔하다’가 되겠지요. 이처럼 기막힌 우리말이 있다는 사실에 고마운 마음이 일다가 대뜸 아픈 생각 하나가 솟아올랐습니다. “지난 1500년 동안 대체 얼마나 매판세력 떼거지가 설쳐대어 왔으면 이다지도 기막힌 언어를 민중이 조탁해냈을까?”

 

‘뻔뻔하다’의 사전적 의미는 ‘부끄러워할 만한 일에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염치없이 태연하다’입니다. 이 설명을 들으면 찰나적으로 그려지는 얼굴들이 있습니다. 국민을 죽이고도 태연 넘어 파안대소 날리던 소시오패스. 소시오패스가 미진해서 활짝 웃다가 돌연히 악어 눈물 흘리던 연기파 사이코패스. 이름 석 자 대지 않아도 그 뜨르르한 면상들이 선연하게 떠오릅니다.

 

오늘로 365일째를 맞은 세월호사건. 여기 연루된 대놓고 뻔뻔한 자들이 어디 하나둘이리요만, 세월호사건에 대한 정부와 언론의 고의적 호도를 적극 두둔하고 유족을 떼쓰는 사람들로 매도한 자, 세월호특별법 제정 자체를 반대하고 ‘일베’ 글을 퍼 나른 자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으로 들이민 자들과 그 당사자만큼 대놓고 뻔뻔한 자들이 다시 있을 것입니까?

 

이 자들은 어느 신문의 표현대로 ‘트로이 목마’로 들어와 특조위를 망하게 하려는 야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자들이 노리는 바는 특조위가 아무 일도 하지 못한 채 세월호사건이 마치 “깨끗이 처리된 것처럼” 끝나게 하는 것입니다. 이 시각에도 증거를 인멸하고 진실을 훼손하는 일에 골몰하고 있을 것입니다.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고 사는 자들의 이 대놓은 뻔뻔함이여!

 

대놓고 뻔뻔한 자들의 세상에서 염치를 아는 사람들은 그러면 어찌 해야 할까요? 태연하지 않아야 합니다. 평소와 달라야 합니다. 착해서 버림받는 사람의 어리바리를 버려야 합니다. 이제는 싸워야 합니다. 바르고 결곡한 전사로서 우락부리를 마다하지 않아야 합니다. 맹골수도에서 자식 잃은 부모가 거리로 나섰듯 우리 모두 인문전선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인간이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라, 부자의 삶은 가난한 자의 빈곤한 그것과 엄청나게 다르다. 그렇다면 거듭 이렇게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모두 죽음 앞에서 평등하다고 하지만, 죽어가는 과정에서조차 평등하지 않다.·······돈만 있다면 죽음도 훨씬 더 편안하게 맞는다.(177쪽)

 

거대 부역언론은 한사코 덮고 비틀었지만 1년 전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품었습니다. “아이들 부모 가운데 국회의원 한 명만 있었어도 저렇게 했을까?” 실제로 권력과 그 주구들은 아이들 부모의 가난을 비아냥거렸고 배·보상금 문제를 띄우며 시체장사 운운하였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엄마가 준 용돈을 되돌려준 아이가 있었습니다. 새로 사준 운동화를 끝내 신지 않은 아이가 있었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엄마 고생 면하게 해드리겠다 약속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맞습니다. 그들은 가난했습니다. 가난했기 때문에 죽임을 당했습니다.

 

수백 명 죽여 봤자 가난한 부모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것을 계산했을 터입니다. 배·보상해 봤자 부자들의 그것에 비해 푼돈일 것임을 계산했을 터입니다. 가난은 개인적 무능으로 몰고, 진상규명 요구하면 무능한 자들이 떼쓴다고 몰면 된다는 계산을 했을 터입니다.

 

살아서는 가난했던 아이들의 꿈을 모독하던 국가가 가난을 표적 삼아 죽여 놓고 그 죽음을 다시 모독하고 있습니다. 살아 있을 때 아이들한테 한없이 미안하게 만들었던 국가가 눈앞에서 아이들을 죽여 그 부모의 가슴을 다시 갈기갈기 찢고 있습니다. 과연 전능합니다.

 

가난한 사람의 삶을 털어 부자에게 돈을 더해주는 국가가 가난한 사람의 죽음까지 털어 부자에게 편안을 더해줍니다. 매판자본이 성육신한 이 국가는 이렇게 신이 됩니다. 가난한 사람은 ‘완전’ 고통스럽게 살다가 ‘완전’ 고통스럽게 죽어갈지어다. 신의 거룩한 계명입니다.

 

삼백예순네 번째 날이 밝아 삼백예순네 번째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을 아랑곳하지 않고 휘파람 불며 즐거운 ‘이탈’을 준비하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 무리의 행복한 휘파람은 가난한 사람들의 살해를 지시하는 잔혹한 시그널 음악임이 분명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