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ㅣ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사회적 자아는 몸으로 직접 체험하는 자아 못지않게 우리의 본래적 자아다.(89쪽)
이제 좋든 나쁘든 자아는 사회의 좌표이기 때문에, 관계 좌표·······를 잃어버린 노인의 자기소외·······는 몸의 통증과 물질화로 이룩한 자아 발견보다 더 끈질길 뿐만 아니라, 보다 결정적이다.·······더욱 더 현실적이라고 할까. 현실이라고 하는 것도 관계를 통해 빚어진 것이며, 동시에 여전히 변화하며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더욱 절박하고 안타깝게 다가오는 것은 사회에서 관계할 힘을 잃어버린 자기 소외다.(88쪽)
20대 중반의 젊은, 아니 아직은 어린 여성과 인문의학적인 치유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그와 나누는 대화의 주제 가운데 가장 기초基礎적이고도 기축機軸적인 것이 사회관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자기 경계를 설정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는 누구에게도 중대현안이 될 수밖에 없는 문제지만 그에게 유독 더욱 날카로운 연유가 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그의 방으로 들어올 때 노크를 하지 않습니다. 아니 그의 방에는 아예 잠금장치가 없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이에 대하여 아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가족이니까, 아버지니까, 당연하다고 합니다. 이런 침습을 끊임없이 받고 살아온 그는 가장 기본적인 경계 감각을 갖추지 못한 채 사회로 나가게 되었습니다.
그는 처음 보는 사람이 인사를 건네 올 경우 대체 어떤 표정으로 어떤 말로 응대를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였습니다. 자신의 말을 듣고 짓는 상대방의 표정을 통해 그 감정 상태를 가늠할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소한 일상에서조차 경계를 세우지 못하여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아버지는 물론 심지어 어머니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신들과 맺는 관계가 딸이 맺을 모든 사회관계의 근간임을 모를 리 없음에도 이렇게 딸에게서 관계의 힘을 빼앗아버린 그의 부모는 세상에 둘도 없는 엄마며 아빠라고 자처합니다. 그는 이런 학대를 내면화하여 끈질기게 자기 자신을 스스로 소외시킵니다. 문제를 직시하는 반복된 훈련을 하면서 현재 조금씩 천천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어디 이 여성뿐이겠습니까. 어디 한 개인뿐이겠습니까. 이 땅의 지배집단은 단박에 수백, 수천, 수만의 사회적 노인을 폭력으로 만듭니다. 정치로 눙칩니다. 법으로 못 박습니다. 세월호사건 진실 규명을 가로막는 입법예고가 떴습니다. 저 협잡이 제노사이드의 명백한 증거입니다. 사회적 노화, 아니 살해 공작을 기필코 저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