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의 상식은 너무나도 가혹한 현실을 진실로서 받아들이는 데 저항했지만, 그 상식의 벽을 허무는 일이 철학자에게도 일어날 수 있었다. 결국 철학자는 괴물 같은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괴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그리고 데카르트의 논리 옆에 SS의 논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었다.

·······지식인은·······그 속성상 권력의 공범이 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권력을 승인하는 경향이 있·······다. 지식인은·······어떤 국가든 국가를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존재한다는 사실은 그것만으로도 존재를 정당화한·······다.(174-175쪽)

 

마음병 치유의 요체는 현실 인정입니다. 일어난 것을 일어난 것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이는 일입니다. 인정은 옳다고 여기는 사적 긍정이 아닙니다. 정당하다고 판단하는 공적 승인은 더군다나 아닙니다. 옳든 그르든 정당하든 부당하든 내 삶에 이미 들어와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감성으로 이성으로 의지로 “그렇다” 하는 것입니다.

 

현실reality 인정은 문제를 정확히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문제를 정확히 들여다보지 않은 풀이로는 치유의 실재the Real를 일구어낼 수 없습니다. 치유의 실재는 사물(구조)이나 사건(운동)이 지니는 전체성에 터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긍정하기 싫은, 승인하기 싫은 어두움을 ‘두 눈 똑바로 뜨고’ 꿰뚫어보아야만 하는 것입니다.

 

인정을 거부하거나 허투루 하였을 때 사이비 치유가 준동합니다. 목하 치유 마케팅을 주름잡고 있는 「시크릿」류의 긍정주의 ‘힐링’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인기 연예인, 그에 버금가는 종교인들이 대중매체에 나와 호들갑스럽게 뿌려대는 ‘힐링’ 이야기들은 대부분 부풀린 신변잡담 아니면 금방 들통 나고 말 거짓말 수준의 것들입니다.

 

이런 현상은 비단 마음병 치유 문제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나치 치하의 수많은 지식인이 현실을 제대로 ‘인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불의한 권력을 ‘승인’한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멀리 갈 것도 없습니다.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지식인의 이런 곡학아세曲學阿世 사례는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습니다.

 

지식인은 그 속성상 권력의 공범이 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권력을 승인하는 경향이 있다. 지식인은 어떤 국가든 국가를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존재한다는 사실은 그것만으로도 존재를 정당화한다.

 

오늘 아침 유명한 승려 한 사람이 ‘자기 삶의 내용이 풍요롭지 못하면 정치 이야기나 하고 남 일에 거품 문다’는 내용의 트윗을 올려 물의를 일으켰습니다. 풍요로워지는 방법 제시도 가관이거니와 ‘정치’와 ‘남 일’에 대한 천박한 인식은 ‘기도 안 찰’ 정도입니다. 대학교수이기조차 한 이런 백치 부역자가 오히려 사람들을 더욱 현혹시킵니다.

 

승려 교수에게 정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길게 말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중생제도를 생애의 의무이자 보람으로 삼은 승려가 잘못된 정치로 말미암아 중생이 죽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 이야기를 연예인 이야기와 동급으로 치부하는 것은 단순한 무지가 아닙니다. 능동적 ‘승인’입니다. 우리사회는 그를 국민멘토라고 부릅니다. 오호애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성과 예술과 시는 그것들이 추방단한 곳을 해석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공포로 누벼지고 권태로 이루어진 ‘그곳’의 일상생활에서는 집과 가족을 잊는 법을 배우는 것이 건강에 좋으며, 마찬가지로 이성과 예술과 시를 잊어버리는 것이 건강에 좋다.·······

  이러한 일에는 교양 없는 사람들이 교양 있는 사람들보다 더 소질이 있었다. 그들은 “이해하려 하지 마라”라는 라거에서 배워야 할 첫 번째 현명한 격언에 먼저 적응했다. 거기 그 현장에서 이해하려 하는 행위는·······쓸데없는 노력이었다.·······논리와 도덕은 비논리적이고 부도덕한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에 저항했다.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인간을 급속도로 절망으로 이끈 현실 거부는 바로 여기서 비롯했다. 그러나 각양각색의 짐승-인간들은 수없이 많았다. 세련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특히 젊은 사람들이면 더더욱 그 문화를 던져버리고, 단순화되고 야만적으로 되고, 그래서 살아남는 것을 나는 보았고 또 묘사했다.

  스스로 질문을 던지지 않는 것에 익숙한 단순한 인간은 이유를 묻는 쓸데없는 고문으로부터 안전한 곳에 있었다.(172-173쪽)

 

인간은 태초에 인간으로서 존재being한 것이 아닙니다. 인간은 오직 질문으로서 생성becoming됩니다. 그렇습니다. 인간이려면 오직 질문하는 인간homo interrogatorius뿐입니다. 그럼에도. 인간은 두 종류로 나뉩니다. 질문하는 인간과 질문하지 않는 인간. 질문하는 인간만이 참 인간입니다. 이 참 인간이 지식인입니다. 질문하지 않는 인간은 사이비 인간입니다. 사이비 인간은 다시 두 종류로 나뉩니다. 악마-인간과 짐승-인간.

 

프리모 레비가 묘사한 바에 따르면 짐승-인간은 “그 문화를 던져버리고, 단순화되고 야만적으로 되고, 그래서 살아남는” 인간입니다. 여기서 문화란 “이성과 예술과 시”이며 “논리와 도덕”입니다. 바로 질문의 근거이자 소산입니다. 하여 짐승-인간은 재차 이렇게 정의됩니다.

 

스스로 질문을 던지지 않는 것에 익숙한 단순한 인간

 

구약 성서에 나오는 에서가 팥죽 한 그릇을 위해 장자의 권리를 넘기듯 이들은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아남는 것”을 대가로 질문을 팔아버린 것입니다. 이들이 의문문 대신 신봉하게 된 것은 다음의 금지명령문입니다.

 

“이해하려 하지 마라.”

 

이들에게 이런 명령을 내린 자들이 바로 악마-인간입니다. 악마-인간에게는 폭력 프로그램만이 입력되어 있을 뿐이므로 질문이 필요하지도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오직 폭력을 통해 절대소수의 악마와 절대다수의 짐승으로 양극화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지상과제일 뿐입니다.

 

오늘 우리사회가 이 아우슈비츠를 재현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자신의 말만을 투명한 진리라고 선포하는 무리가 “파부침주破釜沈舟의 자세로 임하지 않으면 적에게 질 것”이라며 더욱 강고하게 모든 질문을 봉쇄할 것임을 재천명하고 나섰습니다. 생명 살릴 골든타임은 말아먹고 경제 살릴 골든타임을 말하는 악마의 입으로 99%에게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아남는 것”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에 순응한 자들은 즐겁게 “행복”과 “힐링”을 지절거리며 짐승의 길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수용소 안의 행복과 힐링이 마약임을 모르는 한 인간일 수는 없습니다. 이것을 깨닫고 옆 사람과 공유하는 자만이 인간입니다. 악마-인간과 짐승-인간 사이, 지식-인간, 그 이름이 바로 지식인입니다. 지금-여기서 인간은 오직 지식인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우슈비츠에서 문화가 갖는·······유리한 점들은 정말 없었던가?·······

  내게도 문화는 유용했다. 언제나 그랬던 것은 아니고, 가끔은 아마도 예기치 못한 숨은 방식으로였지만 내게는 도움이 되었고 어쩌면 나를 살렸는지도 모른다.·······

  나는 실용적인 개념들의 축적과 함께, 화학과 인접학문들로부터 유래하지만 더욱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정신적 습관들의 막연한 자산을 학업으로부터 얻었다. 그리고 그것을 라거에 가지고 들어갔다.·······

  ·······나는 무엇보다도 내 직업으로부터 한 가지 습관을 얻었다. 곧 우연히 내 앞에 놓인 대상에 절대로 무관심하게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대상은 인간이지만 ‘표본’이기도 하다. 확인하고 분석하고 무게를 측정해야 할·······내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양식이었다. 몇몇 사람들은·······나의 호기심을 거리를 두는 자세라고 평했다. 그렇지만 그 양식은 나의 일부분을 살아있게끔 유지하는데 확실히 도움을 주었고, 또 나중에는 내가 사고하고 책들을 집필할 수 있도록 소재를 제공해주었다.·······‘자연주의적’인 이러한 태도·······는 화학에서 비롯된 것이었다.·······내게 라거는 일종의 대학이었으며 우리에게 주변을 돌아보고 인간을 가늠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부디 냉소적으로 보이지 않기를 바란다.(166-171쪽)

 

마음 치료를 할 때 필요에 따라 종종 나누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주로 특정 인물에게 받은 상처가 끈질긴 원망과 분노로 남아 있는데 그 상대방은 인식 없이 요지부동일 때입니다.

 

“무심코 운전하고 길을 가던 중 뒤에서 쾅 하고 부딪치는 소리가 납니다. 돌아보니 어떤 다른 차입니다. 그럼 대뜸 그 운전자에게 화를 냅니다. 그렇지요?”

“예!”

“뒤를 돌아보니 커다란 돌입니다. 그럼 그 돌에게 화를 내나요?”

“.......”

 

돌한테 감정이 끼어들 여지란 없습니다. 상처를 줄 것도 받을 것도 없습니다.

 

아우슈비츠의 SS든 카포든 동료 포로든 감정을 교류할 만한 상태의 ‘사람’이 아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아차린 프리모 레비의 감각 이성은 화학이란 학문이 가져다준 자연주의적 훈습을 통해 마련된 것입니다. 사람이지만 표본일 때, 그것은 “확인하고 분석하고 무게를 측정해야 할” 호기심의 대상일 뿐이므로 감정과 상처를 주고받을 이유가 없습니다. 감정과 상처를 주고받느냐 하는 문제는 아우슈비츠 상황에서라면 가히 결정적, 아니 치명적인 것입니다. 프리모 레비의 “어쩌면 나를 살렸는지도 모른다.”는 표현을 두고 그 누구도 함부로 말해서는 안 됩니다. 설혹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이 있다손 치더라도 한 사람의 삶에서 운명적으로 생겨나 시시각각 그의 생사와 결합해 들어가는 “습관”의 무게는 어떤 진리와 깨달음보다도 육중합니다.

 

스스로를 아우슈비츠에서 살려낸 이 자연주의 지식인의 삶이 오늘 대한민국에서 우리를 살려내고 싶은 지식인이고자 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대한 전언傳言이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우연히 내 앞에 놓인 대상에 절대로 무관심하게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대상은 인간이지만 ‘표본’이기도 하다. 확인하고 분석하고 무게를 측정해야 할·······내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양식이었다.

 

우리 앞에 놓인 대상, 그러니까 국가조직을 이용해 사적이익을 추구하는 매판독재반통일 세력에 절대로 무관심하게 있지 않는 기본자세. 인간이지만 ‘표본’이기도 한 저들을 확인하고 분석하고 무게를 측정하는 자연주의 호기심. 이 과정에서 발휘되는 도저한 주의 깊음, 냉정함, 결곡함, 곡진함. 바로 이것이 생사를 가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저들을 향해 분노와 원망을 짓는 일이 아닙니다. 감정 투입은 저들을 ‘표본’ 이상의 존재로 전제했을 때 하는 행동입니다. 인간으로서 지닌 생명감각과 윤리의식에 기대어 하는 행위입니다. 이미 저들은 시스템 뒤에 숨었습니다. 더 강한 자들은 시스템 위에서 초월적 권위를 누리고 있습니다. 감정도 상처도 닿지 않는 세계를 향해 소리치고 울부짖은 결과가 스스로의 소진, 개죽음의 공포 이 둘뿐이라는 사실을 누구도 모르지 않습니다.

 

자연주의 지식인, 끽긴한 필요로 우리 앞에 서 있는 존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凰落梅花孟水碧

鹿馬蠢爾彭木紅

靑靑英靈永淸淸

縣高買頭啓千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5-01-01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른 물에 매화 봉황 함께 떨어지니
붉은 나무 사슴 말 같이 꿈틀거리네.
푸르고 푸른 꽃같은 영혼들 영원히 푸르고 푸르러
크게 나타나 속이는 우두머리 오랜 세월 동안 일깨워주리.


간신히 머리를 쥐어짜며 가까스로 어렴풋이 해석(?)을 해 보았는데요..^^;;
bari_che님께서 손수, 을미휘호의 정확한 뜻좀 가르쳐주세요!

2015-01-01 18: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appletreeje 2015-01-01 18:08   좋아요 0 | URL
ㅎ 역시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ari_che님께서 올려주신
을미휘호의 뜻을 알게되어 후련하고 고맙습니다.^^

근데, 너무 어렵습니다. 앙앙...


2015-01-01 2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