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권에 20분, 읽지 않고 이해할 수 있는 대단한 독서법
와타나베 야스히로 지음, 최윤경 옮김 / 두드림미디어 / 2023년 12월
평점 :

기가 막힌 독서법을 안내하는 책이다. 1권을 읽는데 20분 밖에 걸리지 않는다니! 나는 정독을 하면 1권에 보통 3~4시간이 소요된다. 물론 빨리 읽을 때는 3시간 이내에 읽기도 한다. 그런데 20분이라니? 20분을 읽고도 내용이 정리가 되는걸까? 기억에 남기는 하는걸까?
필자는 어릴 때부터 책읽기를 싫어했다고 한다. 20살에 일본의 전설적인 마케팅 대가인 간다 마사노리의 책을 만나 책을 읽게 되었고, 다양한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독서법인 '공명 리딩'을 만들어냈다. 지금도 연간 3,000권의 책을 읽는 독서의 대가로 활동하고 있다.
나는 평소에도 서평단 활동을 통해 책을 많이 접하고 많이 읽으려고 노력 중이다. 하지만 항상 의문이 남는 것은 그렇게 많은 책을 읽었으면서도 시간이 지나면 기억에 남아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평소에 독서법에 관심이 많았고, 아웃풋을 남기는 독서법, 그리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다.
20분에 1권을 읽는다는 책 제목만 봐서는 책을 빨리 읽는 행위를 강조하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의외로 책을 빠르게 읽는 행위가 아니라 책을 읽은 후의 아웃풋에 집중한 독서법을 다룬다. 통독과 속독이 아니라 숙독과 정독의 의미를 다시금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필자가 고안한 '공명 리딩'을 시작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책의 서두에 있는 '이 책의 사용법'에 따르면 먼저 '나에게 필요한 페이지'를 찾기 위해 무작위로 페이지를 연다. 열린 페이지에 흥미가 생기거나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판단한다.
다음은 호흡을 가다듬고 읽는 목적을 정해서 글씨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재빠르게 책을 펄럭거리며 읽는다. 글자가 보이지 않는데 이런 방법이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필자가 오랫동안 경험하면서 만든 방법이기 때문에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 책을 읽고 실제 여러 번 숙달될 때까지 연습이 필요할 듯 하다.
펄럭거리면서 책을 읽었다면 다음은 본격적인 공명 리딩의 시간이다. 20분 안에 5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공명 리딩을 실천한다. 공명 리딩은 종이에 '공명맵'을 그리면서 시작된다.
먼저 읽을 책, A4용지, 12색 펜을 준비한다. 목적, 페이지수, 저자 정보를 적고, 책을 펄럭거리면서 펼쳐진 페이지를 바라본다. 저자가 의도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짧게 적어본다. 저자가 왜 이 책을 써야했을지 이유를 상상해본다.
책을 펄럭펄럭하며 정보를 뇌에 다운로드하면서 세부분으로 나누어 맵에 곡선을 그린다. 곡선의 신경 쓰이는 부분에서 단어를 추출하고, 질문해가면서 그 페이지를 다 읽는다. 책에서 얻은 아이디어는 반드시 활용하는 계획을 만든다.
절대 20분 만에 끝나지 않는 20분 독서법이다. 물론 처음이라 익숙하지 않아서일 것이다. 공명 리딩이란 단어도 생소하고 아직 개념도 확실하게 서지 않았다. 하지만 필자가 의도하는 20분 만에 1권 읽기 컨셉이 매우 매력적이라 몇 번 더 읽고 연습을 거듭해 보려 한다. 아마도 2024년 새로운 목표가 될 듯 하다.
*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