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웹 3.0 참여, 공유, 보상이 가져오는 새로운 미래 - 평범한 일상이 돈이 되는 세상
이임복 지음 / 천그루숲 / 2023년 1월
평점 :

요즘은 웹 3.0이라는 용어를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듣는다. 인터넷이 지금은 일상화된 것처럼 웹3.0도 일상화가 되어 가는 느낌이다. 웹3.0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이 2017년부터라고 하는데 나는 2022년부터 이 용어를 듣기 시작했다.
웹 3.0의 핵심은 아무래도 메타버스, NFT, 블록체인이 아닐까 싶다. 이들은 4차 산업혁명의 시작을 알리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한 기술들이다. 4차 산업과 웹 3.0은 맥을 같이 하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웹 1.0의 시대는 1994년부터 2004년 초까지의 기간으로 주로 읽기만 가능한 한방향 공유 시대였다. 웹 2.0의 시대는 2004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고, 읽기와 쓰기의 양방향 시대로 정의할 수 있다. SNS를 중심으로 하는 이용자 중심의 생태계가 중심이다.
웹 3.0은 2017년부터 이어지고 있어 웹 2.0과 웹 3.0이 함께 하고 있다. 웹 3.0이 웹 2.0에 비해 차별화되는 것은 읽기와 쓰기뿐 아니라 블록체인을 통해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웹 3.0을 이끄는 기술에는 블록체인, 코인과 토큰, 암호화폐 지갑, 디앱(DApp), 대체불가능토큰(NFT), 다오(DAO), 디파이(DeFi), 메타버스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블록체인을 가장 핵심기술로 본다.
블록체인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다. 코로나19 시대에 코로나백신 접종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된 질병관리청의 COOV 앱이 바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방식을 사용한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카카오페이 인증, 자격증 인증, 전자문서 인증 또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가장 친숙한 기술이 바로 코인이다. 코인은 채굴과 거래의 2가지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나같은 일반인에게는 채굴보다는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코인을 사고파는 것이 더 친숙하다.
웹 3.0의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기업들이 있다. 웹 3.0의 핵심기술들은 커뮤니티, 결제 및 월렛, 게임, M2E, 영상, 탈중앙화 거래소, 커머스, 웹 검색, 다오 등의 분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한 커뮤니티인 레딧은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웹 3.0의 기술을 구현한 대표적인 업체다.
레딧은 거대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NFT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레딧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 수 있고, 2020년에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포인트를 출시하는 등 웹 3.0 핵심기술들을 충분히 구현해가고 있다. 레딧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더 많은 권한과 독립성을 부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웹 3.0의 기술을 활용한 20개 이상의 사례가 나오는데 아쉽게도 한국 기업은 보이지 않는다. 아직 기술에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모르지만 내가 아는 기업이 10개도 되지 않는다. 한국 기업을 소개했다면 좀 더 이해가 잘 되었을 것 같다.
웹 3.0은 일반인들의 더 많은 참여와 공유를 요구한다. 여기에 적절한 보상을 해주기 때문에 더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은 발전하지만 한계도 명백하다. 웹 3.0으로 들어가기 위한 입장권이라 할 수 있는 월렛의 보급률이 너무 낮다. 그리고 보상을 받는 토큰의 실시간 가격 변동으로 불안함은 여전하다.
그 외에도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아직 웹 3.0은 극초기라고 본다. 얼리어답터들은 이미 경험하고 있지만 아직은 만들어가는 중으로 본다. 나는 얼리어답터까지는 아니어도 새로운 기술을 항상 빨리 배우려고 노력중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웹 3.0을 무난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없어 아쉬울 뿐이다.
이 책은 웹 3.0의 역사와 기술의 흐름, 현재의 발전 현황과 기술을 활용한 업체들의 진척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평소 기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웹 3.0에 대한 기본ㅈ적인 지식을 익힐 수 있는 기본서라 할 수 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