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컨드 브레인 - 우리 몸과 마음을 컨트롤하는 제2의 뇌, ‘장(腸)’
에머런 마이어 지음, 서영조 외 옮김 / 레몬한스푼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나는 장이 좀 약한 편이다.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신호가 자주 오는 편이다. 평소에도 장 건강에 신경을 쓰는데 장 건강이 뇌와 관련이 있다는 책의 부제를 읽고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장과 장내 미생물이 우리의 몸과 마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필자인 에머런 마이어 박사는 40여년 간 뇌와 장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했다.
필자는 오랜 연구 결과 장과 뇌는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장은 감정 상태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장은 우리가 아는 것처럼 단순한 소화기간이 아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큰 역할을 수행하는 소화기관이다. 필자는 장의 능력은 다른 모든 장기의 능력을 뛰어 넘고, 고유의 신경계를 가지고 있어 뇌에 필적할 정도라고 말한다. 이를 과학용어로 장신경계라고 하고, 언론에서는 '제2의 뇌'라고 부른다.
뇌와 소화기관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서로 상호 작용을 한다. 이런 내용은 장-뇌 축, 뇌-장 축이라는 용어에 잘 반영되어 있다. 장과 장내 미생물은 밀접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인간의 감정과 통증 민감도,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심지어 의사결정을 좌우할 수도 있다고 한다. 결국 장 건강은 우리 몸과 마음의 결정을 좌우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때 위를 통과하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특히 나처럼 위축성 위염이 있는 사람은 맵고 짠 음식을 먹을 때 위가 더부룩하거나 쓰린 느낌을 자주 받는다. 위로 음식이 넘어가는 것을 잘 느끼지는 못하지만 불편한 순간에는 자주 느낀다. 하지만 어떤 음식을 먹어도 장으로 넘어가는 느낌은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다. 다만 장이 불편할 때는 설사 등을 통해 신호를 받을 뿐이다.
우리의 장은 음식물이 들어오면 소화작용을 통해 음식물을 소화시키면서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한다. 그렇게 소화가 완료된 음식물은 직장쪽으로 이동시켜 배변 욕구를 일으킨다. 식사와 식사 사이에 이동성 운동 수축파는 위장이 녹일 수 없거나 작은 조각으로 부술 수 없는 것들을 대장으로 쓸어낸다. 이런 과정은 뇌나 척수의 도움없이 장 스스로 해낸다. 이런 작업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장신경계이다.
우리는 장에서 엄청난 소화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에도 잘 알아차리지 못한다. 장의 감각을 인지하지 못하는데 장에는 특수한 감각 장치가 발달해 있다는 것이 아니러니하다. 필자는 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 메커니즘에 장의 감각이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특히 장에서 뇌로 엄청난 양의 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에 우리의 건강과 행복, 감정, 심지어는 의사결정까지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장 내벽에 촘촘하게 분포되어 있는 장의 감각 수용체를 통해 소화와 관련된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정보를 뇌에 전달하고 있다. 장-뇌 축을 통한 정보 전달은 우리가 먹는 음식과 우리의 감정 사이의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틀림 없다. 더불어 장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 또한 정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장과 뇌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방대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 장 내 감각 수용체를 통해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받고, 감정에 영향을 준다. 장 내 건강이 우리의 감정 상태,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면 이제는 스트레스와 감정 조절에도 힘써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