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하기 좋은 시절에 다자이 오사무를 읽다 (박찬일)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091 '쓰가루' 독후감이다.

쓰가루 고쇼가와라 역(2009년 1월) By Amiden






아직 더 쓰고 싶은 것이 이것저것 있지만 쓰가루의 생생한 분위기는 이제 거의 다 이야기한 듯싶다. 나는 허식을 부리지 않았다. 독자를 속이지도 않았다. 독자여 안녕! 살아 있으면 또 훗날. 힘차게 살아가자. 절망하지 마라. 그럼, 이만 실례. - 쓰가루

1944년 오야마 서점의 ‘신풍토기(新風土記) 총서’ 「쓰가루(津軽)」 집필을 의뢰받아 고향 쓰가루 지방을 여행하면서 보모였던 고시노 다케를 비롯 옛 지인들을 만남. 7월 「쓰가루」 완성. 11월 『쓰가루』가 ‘신풍토기 총서’ 제7권으로 오야마 서점에서 간행. - 연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극우 기독교 준동 참회" 사순절 금식기도 돌입한 목회자들 https://www.nocutnews.co.kr/news/6305681?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310080629


‘내 식탁 위의 책들 -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종이 위의 음식들’(정은지)로부터 옮긴다. 아래 글 속 “레미”는 ‘집 없는 아이’(엑토르 말로)의 주인공이다.

By Andréatl


[네이버 지식백과] 마르디 그라 [Mardi Gras] (1%를 위한 상식백과, 2014. 11. 15., 베탄 패트릭, 존 톰슨, 이루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68770&cid=59926&categoryId=59926





기독교 문화에서 사순절은 40일간 금식하며 부활절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사순절이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 전날에는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데 이날을 ‘기름진 화요일’이라는 뜻의 마디그라라고 부른다.

레미네 마디그라 별식은 실은 프랑스판 팬케이크인 크레프다. 프랑스에는 마디그라에 크레프를 구우며 소원을 비는 전통이 있다. 오른손에 금화를 쥐고 왼팔로 공중에서 팬을 흔들어 크레프를 뒤집는 데 성공하면 남몰래 간직한 소원이 이뤄진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자이 오사무의 단편 '추억'을 읽었다.


다자이 오사무와 형제들(1923)


다자이 오사무(1940)


'추억'은 다자이의 첫 소설집 '만년' 수록작으로서 추후 작가 스스로 '쓰가루'에 인용, 소개한다.





소학교 4, 5 학년 무렵에 막내 형에게서 데모크라시라는 사상을 들었으며, 어머니까지 데모크라시 때문에 세금이 갑자기 올라서 거둔 쌀의 거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고 손님들에게 불평하는 것을 들었기에 나는 마음 약하게도 그 사상에 흔들렸다. 그리고 여름에는 하인들이 정원의 풀 베는 것을 돕기도 하고, 겨울에는 지붕의 눈 쓰는 것을 돕기도 하면서 하인들에게 데모크라시 사상을 가르쳤다. 그러다 하인들이 내 도움을 별로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곧 알게 되었다. 내가 풀을 벤 곳은 나중에 그들이 다시 베어야만 했던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바꾼 50권의 책'이 아래 글의 출처이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Joko Narimo님의 이미지






문학 작품으로서의 《쿠란》은 전통적인 이슬람 시의 정수가 담겨 있으며, 시적 운율감은 신성함의 증거로 여겨진다. 《쿠란》이라는 단어 자체도 아랍어 ‘암송하다’에서 유래했듯, 실제로 이슬람 의식에서는 본문을 반드시 큰 소리로 낭송해야 한다. 따라서 ‘타즈위드tajwīd’라는 암송법을 교육하여 어떻게 발음해 읽고, 어디서 쉬고 어디서 다시 시작하며, 어떻게 운율감 있게 낭송하는지 등 《쿠란》을 정확히 낭송하는 규칙을 가르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희수 교수의 이슬람' 중 'CHAPTER6 무슬림들은 어떻게 살아가나'가 아래 글의 출처이다.

사진: UnsplashPeter Bravo de los Rios


할랄 식품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Xd31





돼지는 지방질과 병원균 함유 때문에 아무리 좋은 조건을 갖춰도 자연 상태에서 부패하며, 건조되지 않는다. 돼지고기 육포가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이다. 낙타 한 마리를 잡아 몇 달이고 가족의 식량을 충당하는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따라서 보존식품을 만들기가 불가능하여 바로바로 처분하지 않으면 고기의 기능을 상실한다. - 돼지 방정식

할랄을 흔히 이슬람의 금기를 술과 돼지고기 같은 음식에 한정해서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 할랄은 식음료 분야뿐만 아니라 금융, 보험, 서비스, 관광(호텔), 제약, 화장품, 바이오 산업사료, 의복, 패션 등에도 적용되는 무슬림들의 일상을 지배하는 총체적 삶의 개념이다. 쉽게 말하면 할랄은 올바른 삶의 방식을 규정한다. - 할랄과 이슬람 세계의 음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