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세계명작 '부활'(톨스토이)을 읽는 중이다. 

A Russian Beauty - Alexei Harlamoff - WikiArt.org


cf. 노문학자 윤영순 교수가 쓴 책 '러시아 고전, 연애로 읽다'에 '톨스토이와 영원한 여인들'이란 장이 있다.







카추샤는 1등칸으로 달려갔습니다. 네플류도프는 다른 장교와 마주 앉아 즐겁게 웃으며 카드놀이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얼어붙은 손으로 창문을 두드렸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때 세 번째 벨이 울리고 기차가 덜커덩하고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기차를 따라 달리며 다시 창문을 두드렸습니다.

네플류도프 맞은편에 앉아 있던 장교가 일어나 창문을 열려고 했지만, 잘 열리지 않자 네플류도프가 나서서 겨우 열었습니다.

기차는 점점 빨라졌습니다. 카추샤는 뒤처지지 않으려고 힘껏 달렸지만 기차는 저만치 멀어졌습니다. 어슴푸레한 기차역에 카추샤 혼자만 남았습니다. 바람이 거세게 불어 머릿수건이 벗겨지고, 치맛자락이 다리에 휘감겼습니다. - 면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쓰메 소세키 단편소설 '이백십일' 중 마지막 대화로부터 옮긴다.


소설 '이백십일'에 나온 일본 구마모토의 아소산 By 일본어 위키백과의 Sonata


[구애로부터 벗어나 나를 해방시키자 - 연극 이백십일]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63384 2023년 2월 우리 나라에서 공연했다.





"그런 자를 성공하게 두면 사회는 엉망진창이 될 거야. 이봐, 안 그런가?""사회는 엉망진창이 될 거야.""우리가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첫 번째 목적은 이런 문명의 괴수를 때려잡아, 돈도 힘도 없는 평민에게 조금이나마 안위를 주자는 데 있지 않은가?""있지. 응. 있어.""있다고 생각한다면 나와 함께 하세.""응. 할게.""무슨 일이 있어도 할 거지? 그렇지?""무슨 일이 있어도 할 거야.""그러니 어쨌든 아소에 오르자.""응, 어쨌든 아소에 오르는 게 좋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년 오늘의 포스트로부터: '인생은 어떻게 이야기가 되는가'(메리 카)의 저자는 자전적 글쓰기에 허구를 섞는 방식을 경계한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Md Abdul Rashid님의 이미지






마치 점심을 먹은 뒤에 종업원이 "손님이 드신 샌드위치에 고양이 똥을 찻숟가락만큼 넣었는데 전혀 모르시더군요"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내 입장에서 고양이 똥을 눈곱만큼 넣은 샌드위치는 고양이 똥 샌드위치다. 고양이 똥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 그 부분을 떼어내고 먹을 수 없다면 말이다.

그래서 나는 자전적 글쓰기의 진실성을 지켜줄 경계선을 흙바닥에 그리고자 작은 막대기를 들고 서 있다. 진실은 뿌옇고 어렴풋한 저승처럼 까마득한 영역이 돼버렸을지 모른다. - 2. 스스로에게 거짓말하지 않을 자신 / 1부. 인생은 어떤 가치를 품고 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쓰메 소세키 산문집 '긴 봄날의 짧은 글'에 수록된 '유리문 안에서'(1915)로부터 옮긴다. 방문객과의 대화이다. 나쓰메 소세키는 1916년에 별세한다.

Early march, 1900 - Isaac Levitan - WikiArt.org






"저는 처음 선생님을 뵈었을 때 선생님의 마음은 그런 점에서 보통 사람보다 정돈되어 있는 것 같았어요." "그럴 리가 있겠습니까?" "하지만 제게는 그렇게 보였어요. 내장의 위치까지 잘 정돈되어 있는 것으로밖에 안 보였어요." "내장이 그렇게 잘 조절되고 있다면 몸이 이렇게 내내 아프지는 않을 겁니다." "저는 몸이 아프지는 않아요." "그건 당신이 나보다 훌륭하다는 증거입니다." 여자는 방석에서 미끄러지듯 내려와 이렇게 말하고 돌아갔다. "건강관리 잘하세요." - 유리문 안에서 18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5-03-03 14: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긴 봄날의 짧은 글, 을 오디오북으로 들었지요. 저는 고양이로소이다, 를 가장 좋아합니다.^^

서곡 2025-03-03 14:39   좋아요 0 | URL
영일소품 오디오북 좋겠네요 이야기 듣는 느낌이 나겠어요 나쓰메 소세키 안/못 읽은 작품들 마저 읽고 싶은데 세상에 책은 많고 제 시간은 한정되어 있으니 매순간 선택을 해야 될 상황입니다
 

'작가의 계절'에 실린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피아노'로부터 옮긴다. 주택가를 걷다가 공터에 버려진 피아노를 보고는 아무도 없는데 피아노 소리가 나 놀란 장면으로부터 이어지는 대목이다. "지난해 대지진"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서 1924년에 쓴 글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4a2478a 관동대지진 당시 자경단으로 활동했고 조선인 학살을 목격했다고 한다.

사진: UnsplashIvan Kuznetsov


cf. 2024년 5월말에 출간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청춘' 목차에도 '피아노'가 보이는데 동일작일 수 있다.





그 피아노 소리에 초자연적 해석을 보태기엔 난 지나치게 현실주의자였다. 정녕 사람 그림자가 없었다고 한들 허물어진 벽 근처에 고양이라도 숨어 있었을지 모른다.

길로 되돌아가 폐허를 쭉 둘러봤다. 그제야 슬레이트 지붕에 눌린 채 비스듬히 피아노를 덮고 있는 밤나무를 알아챘다. 그건 어찌 되든 좋았다. 나는 그저 명아주수풀 속 피아노만 유심히 바라봤다. 지난해 대지진 이후 아무도 모르는 소리를 간직해온 피아노를. - 피아노 _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03-02 11: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3-02 11:3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