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집에서 맛없는 커피만 마셔 맛있는 커피가 마시고 싶다. 문득 오래 전 콜롬비아 커피를 잘 마신 생각이 나 급기야 콜롬비아에 관한 읽을 거리를 찾았다. '협상의 전략 - 세계를 바꾼 협상의 힘'(김연철) '4부 화해의 기술' 중  '20 제도 안으로 초대하라: 콜롬비아 평화협상'을 읽고 일부 옮긴다.

콜롬비아 우표 1939 By Government of Colombia


콜롬비아 1910 By Hermanos Rodríguez - Museo de Antioquia


콜롬비아의 카페(2024년 7월) By Xemenendura - Own work, CC BY-SA 4.0


콜롬비아 '내전' 재격화…반군 충돌에 "최소 23명 사망" https://v.daum.net/v/20250118031156205 올해 1월 소식이다.





인구는 4,700만 명이지만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다섯 배이고, 원유ㆍ니켈ㆍ구리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며, 꽃과 커피의 세계적인 수출국으로 유명하다. 반면, 콜롬비아는 가장 오랫동안 내전을 겪고 있는 나라다. 19세기에 시작된 내전은 21세기인 오늘날에도 여전히 진행형이다. 일상은 늘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정치인은 암살당하고, 기업인은 납치되고, 평범한 사람도 단지 몸을 부딪쳤다고 총을 맞는다. 이런 잔인성은 콜롬비아 내전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정치 폭력의 배후에는 경제적 불평등이 도사리고 있었다. 1931년 콜롬비아 정부의 토지 조사에 따르면, 1823년에서 1931년까지 전체 토지의 4분의 3을 1,000헥타르 이상의 대토지 소유자들이 차지했다. 가족영농을 할 수 있는 규모인 20헥타르 이하 토지 소유자는 단지 1.2%에 불과했다. 이러한 불평등은 1870년 이후 콜롬비아에 커피가 크게 유행하면서 훨씬 심해졌다. 커피농장을 무대로 자본과 노동의 대립이 본격화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데르센 동화집'(배수아 옮김)이 아래 글의 출처이다. 친구 카이를 구하려고 집을 떠난 게르다는 순록을 타고 목적지에 도착한다.

Gerda and the Reindeer - Edmund Dulac - WikiArt.org 뒬락이 그린 이 삽화가 표지에 많이 쓰였다.


에드먼드 뒬락 일러스트북이 올해 1월 출간되었다.






순록은 바람처럼 앞으로 내달렸다. 나무둥치와 바위를 훌쩍훌쩍 뛰어넘고 커다란 숲과 늪지와 평원을 지나 최대한 빠르게 달려갔다.

순록은 전속력으로 길을 재촉했다. "빨리! 빨리!" 저 높은 곳에서 이런 소리가 들려왔다.

달리고 또 달려 마침내 붉은 열매가 열려 있는 덤불 가까이에 이르렀다. 순록은 그곳에 게르다를 내려 주고 입을 맞추었다. 커다랗게 번쩍이는 눈물방울이 순록의 뺨 위로 뚝뚝 떨어졌다. 그러고 나서 순록은 돌아서더니 올 때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전속력으로 가 버렸다. 이제 게르다는 홀로 남았다. - 눈의 여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 또다시 폭설 강타...스키객 사망 등 인명피해 잇따라]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hcd=&key=202502201103528933 오늘 뉴스로 아오모리 포함 일본의 폭설 소식이다.


아래 옮긴 글은 다자이 오사무가 고향을 다녀와 쓴 '쓰가루'에 인용한 본인의 수필 '고쇼가와라'가 출처이다.

2015년 2월 아오모리현 쓰가루고쇼가와라역 By M Murakami - CC BY-SA 2.0



cf. 릿터 51호에 박솔뫼의 '아오모리에서'가 실려 있다.






이모가 고쇼가와라에 계셔서 어릴 때부터 자주 놀러 갔습니다.

나는 이모에게 귀여움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남자다운 용모가 아니어서 여러모로 사람들에게 놀림을 당해 성격이 비뚤어져 있었는데, 이모만이 나를 멋진 남자라고 말해주었습니다. 다른 사람이 내 용모에 대해 험담을 하면 이모는 정말로 분노했습니다. 모두 먼 옛날의 추억이 되었습니다. - 쓰가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가루·석별·옛날이야기'(다자이 오사무)를 읽고 있다. 1940년대 작이다.

2015년 2월 고쇼가와라역 By M Murakami - CC BY-SA 2.0


한국 작가가 읽어주는 세계문학 18 다자이 오사무 쓰가루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1100723921 (안보윤)





가나기는 내가 태어난 고장이다. 쓰가루 평야 거의 한복판에 위치한 인구 5,6천 명의 고장으로 이렇다 할 특징도 없지만 어딘가 도회풍을 약간 뽐내고 있다. 좋게 말하면 물처럼 담백하고 나쁘게 말하면 깊이가 없는 허세의 고장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에서 3리* 정도 남하한 곳에 이와키 강을 따라 고쇼가와라라는 읍내가 있다. 이 지방 특산물의 집산지로 인구도 만 명이 넘는 것 같다. 아오모리, 히로사키 두 시를 제외하고는 인구 만 명 이상의 고장은 이 주변에는 없다.

이곳에는 이모**가 계신다. 유년 시절, 나는 생모보다 이 이모를 연모해서 실은 종종 고쇼가와라의 이모 집에 놀러 가곤 했다. 중학교에 들어가기까지는 고쇼가와라와 가나기, 이 두 고장 이외의 다른 쓰가루의 고장에 대해서는 거의 몰랐다고 해도 좋다. - 쓰가루

* 일본의 1리는 약 3940m로 한국의 1리 약 394m와 차이가 있다. ** 다자이의 어머니 다네의 여동생 기에. 다자이의 숙부와 결혼해 숙모이기도 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수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9984


입춘이 지나고 또 우수가 지나갔다. 언젠가부터 달력에서 절기를 찾아본다. 여전히 쌀쌀하지만 봄으로 터벅터벅 가는 길이다. 이 달도 어느새 이십일. 


작년 오늘의 포스트로부터 옮긴다. 무민 연작 '마법사가 잃어버린 모자'가 출처이다. 폭풍 이후 바닷가 풍경으로서 무민마마의 버터통이 사라졌다.

* 작년 2월에 마신 커피인데 라테아트가 은행잎 모양으로 보인다.




무민마마가 안타까워했다.

"애들 샌드위치에 뭘 발라 주나?"

무민파파가 말했다.

"대신 폭풍이 다른 어떤 걸 가져왔는지 찾아봅시다. 커피를 마시고 나서 바닷가를 따라 걸으며 바다가 뭍에 뭘 던져 줬는지 살펴보자고요!"

그리고 모두 그렇게 했다.

무민마마가 생각했다.

‘잠깐 쉬어야지.’

그러나 이윽고 무민마마는 따스한 모래밭에서 깊은 잠에 빠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