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할머니에게' 수록 '위대한 유산' 작가노트(손보미)로부터 옮긴다.

By Father of dok1 / Don O'Brien - Flickr photo Christmas Eve 1928, CC BY 2.0





이 소설에는 내가 지난 1년 동안 써온 여러 가지 작품의 모티프들이 뒤섞여 있다. 그중 한 가지는 작년 여름에 썼던 짧은 소설 「크리스마스이브」(원래는 ‘크리스마스의 추억’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지만, 『맨해튼의 반딧불이』에 실을 때 제목을 바꾸었다)로부터 비롯되었다. 어머니를 떠나 할머니 집에 머물게 되는 어린 소녀─이 모티프는 나를 완전히 사로잡았고 그 후로 다른 소설들을 쓸 때도 나는 계속 그 영향권 안에 있었다. - 작가 노트(손보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유산'(손보미)의 화재 장면으로부터 옮긴다.

사진: UnsplashFlorian Winkler






그녀는 거실로 나가보았다. 커튼에 불이 붙어 있었다. 아래로부터 타오른 불길은 커튼의 위까지 솟아 있었다. 그녀는 들고 있던 할머니의 코트로 불길을 잡아보려고 했지만, 오히려 코트에 불길이 번졌다. 뜨거워서(방금 전까지 그토록 원하던 불꽃이었는데!) 그녀는 코트를 집어 던졌다. 불길이 순식간에 러그와 쌓아놓은 책과 테이블 러너 위로 번졌다. 그리고 결국엔 소파에도.

그녀는 화재 현장을 실제로 접한 건 처음이었고, 불에 타는 소리가 원래 이렇게 요란한 건지 어쩐 건지 알지 못했다. 불길하게, 끊임없이 마음을 요동치게 만드는 소리. 마음속의 무언가가 계속 잘그락거리며 운동하게 만드는 소리. 침묵에 잠겨 있던 지난 세월을 보상받기라도 하겠다는 듯이. 마지막으로 자신의 존재를 뽐내기라도 하겠다는 듯이. 그건 마치 마지막 포효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작년 오늘 포스트로 뜬 손보미의 '위대한 유산'('나의 할머니에게' 수록) 중 불 붙이는 장면이다. 손 작가는 창작과 비평 2021 가을호에 발표한 '불장난'으로 2022년 이상문학상 대상을 받았다. '불장난'은 소설집 '사랑의 꿈'에 실려 있다.


저자가 불에 끌리나 보다. [이상문학상 대상 손보미 "어린시절 불장난 경험서 출발한 작품"] https://www.yna.co.kr/view/AKR20220127044300005?input=1179m


Children Playing with Fire, 1947 - Rufino Tamayo - WikiArt.org


손보미 작가가 2024년 이효석 문학상 대상을 받았다. 





그녀는 커튼을 친 후, 가지고 온 책을 뜯어서 러그 위에 차곡차곡 쌓아두었다. 손이 곱아서 뜻대로 되지가 않았지만, 그녀는 거의 필사적으로 그렇게 했다. 그리고 라이터 불을 종이에 붙였다. 불이 붙었다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하, 포기하면 안 돼. 그녀는 부엌으로 가서 테이블 러너를 몇 장 가지고 왔다. 그러고 나서 종이 위에 올려놓은 후 다시 라이터 불을 붙였다. 아까보다는 불이 오랫동안 남아 있었지만, 이번에도 결국은 꺼지고 말았다. 다시 거실의 서랍장 하나를 분리해서 라이터로 불을 붙이려고 애를 써보았다. 역시나 실패였다. 그래도 잠깐의 온기가 그녀를 덥혀주었고, 그녀는 약간의 자신감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날 저녁이다. 이제 음력으로도 새해, 송구영신을 미룰 수 없는 시점이구나. 아래 글의 출처인 '모든 삶은 흐른다'는 데카르트 전공인 프랑스 철학자가 쓴 책이다.

ESA - Envisat image of a patch of Sargassum By Envisat satellite - CC BY-SA 3.0


사르가소 해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1s0012a


저자의 근작도 담아둔다.





그저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다른 방법은 없다. 사막을 건너려면 그저 묵묵히 걷고 걸어서 건너는 수밖에 없다. 어쨌든 걸어야 한다. 쓸데없이 뒤를 돌아보지 않아야 한다. 항해를 한다는 것은 길을 정해 따라 가는 것이니 확신이 들지 않아도 묵묵히 따라 가보는 것이다. - 사르가소 _ 피해야 할 후회라는 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년 이맘 때 읽은 '무민의 겨울'로부터

Harbin International Ice and Snow Sculpture Festival 2009년 1월 28일 By Rincewind42 from China-CC BY 2.0


그림책 '무민 골짜기와 무민의 첫 겨울'은 무민 연작 중 하나인 '무민의 겨울'(1957)이 토대이다. 올해 2025년이 무민 탄생 80주년이라고 한다.




골짜기가 달의 표면처럼 우스꽝스러워 보였다. 눈 더미는 거대하고 둥근 빵이나 칼날처럼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예쁘게 굽이치는 산등성이가 되어 있었다. 나뭇가지는 온통 커다란 눈 모자를 썼다. 게다가 숲은 어느 독특한 제과업자가 창의적으로 만들어 낸 거대한 생크림 케이크처럼 보였다.

이번에는 약속이나 한 듯이 손님들이 모두 몰려나가 한바탕 눈싸움을 했다. 잼은 이제 거의 바닥을 드러냈지만, 그나마라도 먹으니 팔다리에 힘이 솟았다. - 제5장 외로운 손님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