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위대한 개츠비'를 보며 개츠비 역 레너드 디카프리오에만 주목했는지 데이지 역 캐리 멀리건이 어땠는지 별 기억이 없다. 어느새 멀리건은 믿고 보는 배우가 되었다. 영화를 다시 본다면 데이지에게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민음사판 '위대한 개츠비' 역자 김욱동 교수가 쓴 '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읽다'에 따르면, 1970년대 영화 각색 작업은 원래 트루먼 카포티가 맡았는데 그가 퀴어적으로 해석하여 진행하자(화자 닉을 게이로 설정하는 등) 해고되고 '대부'의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가 대신 했다고.
사진: Unsplash의Girl with red hat
김금희 산문집 '사랑 밖의 모든 말들'에 나온 영화(나도 다 본 것들이라 반갑다):로켓맨/조용한열정/윤희에게/인터스텔라/사랑의블랙홀/매기스플랜
사진: Unsplash의Mesh
Margaret Atwood’s Poetry: Full Book Summary | SparkNotes
Bleeding Heart, 1932 - Georgia O'Keeffe - WikiArt.org
이 시는 불온한 심장의 불온성을 존재의 중심부로 끌어들여 욕망과 번뇌, 그리고 운명의 진지성을 확장한다. 이렇게 이 심장이 불온성을 넘어설 수 있는 것은 불온을 둘러싸고 있는 심장의 성실성 때문이다. 욕망의 덫에 걸린 채로 죽을 때까지 빛을 보지 못하나 마지막까지 생명을 펌프질해주는 진실하고 충직하고 따뜻한 살덩이를 간단히 거짓심장이라 이름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것은 오히려 항상 ‘원해’를 추구하는 배타적인 존재가 아니라 ‘원하지 않아’라고 고뇌하고 자책하는 그런 존재인 까닭이다. 그 무언가를 욕망하는 동시에 욕망하는 자신을 견제하는 세 번째 눈인 양심이기에 이 불온한 심장은 오히려 순결함과 순결하지 않음, 운명과 선택, 그 둘 다에 진실하고자 하는 진정한 존재인 것이다. - 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밤으로의 긴 여로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Poster for award winning film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1962)
Grave of American playwright Eugene O'Neill, located at Forest Hills Cemetery in Jamaica Plain, Massachusetts. By Midnightdreary - Own work, CC BY-SA 3.0
오닐은 <밤으로의 긴 여로> 에드먼드의 대사 속에 자신의 비문을 미리 적어놓은 듯하다."내가 인간으로 태어난 것은 큰 잘못이었다. 나는 갈매기나 물고기로 생존했어야 더 좋았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항상 뜨내기 인생이었다. 이방인이었다. 나는 원하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나를 원하는 사람도 없었다. 나는 그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못했다. 그래서 나는 언제나 조금씩 죽음을 그리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