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과 그의 주인' 은 쿤데라가 러시아 탱크가 쿤데라의 조국 체코슬로바키아의 수도 프라하를 점령한 프라하 봄 사건 당시에 쓴 작품이다.
쿤데라의 희곡에서는 화자의 목소리가 치명적으로 결여됨으로써 현재의 행위를 단조롭게 하며 뒷면 무대에서 더 큰 깊이를 가져오고 과거의 사건에 대한 덧없음을 일깨운다. 인간 정신의 중요성과 경험을 개념화하는 능력을 극화하면서 쿤데라는 이런 방법을 구조주의로부터 빌려왔다. 그는 이 구조주의야말로 근대문화 그리고 베케트와 디드로의 가장 위대한 충동의 하나라고 한다.
베케트의 세계처럼 이 희곡에서 쿤데라 주인공들의 정신은 희극적이고 활기찰지라도 별로 할 일이 없다. 쿤데라는 이 세계를 인간의 안락을 위한 가능성도 없고 생기도 없는 불빛으로 묘사한다. 그는 이러한 테마에 늘 사로잡혀 있다.] 출처: 김규진, 밀란 쿤데라의 문학과 체코문학의 국제성- 희곡 '야곱과 그의 주인'을 중심으로(200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2303 이 논문은 단행본 '한 권으로 읽는 밀란 쿤데라'에 실려 있다.
재작년인 2023년 7월 11일에 쿤데라가 별세했으니 최근 2주기였다. 쿤데라가 최애작가군에 속한다고 할 순 없지만 흥미롭게 읽던 때가 있긴 있었다. RIP.


1968년 프라하 By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10 Soviet Invasion of Czechoslovakia,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커먼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