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에 노화도 예약되어 있을까 세포사멸이 유전자에 프로그램되어 있다는 사실은 굉장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이 사실은 노화 현상에 대해서도 중요한 질문으로 이어졌다. ‘노화라는 생명현상도 유전자에 프로그램되어 있는가?’ 세포가 죽는 것이 프로그램되어 있다면 노화도 당연히 프로그램되어 있을 거라는 추측이 만들어낸 질문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비아그라다. 비아그라는 원래 혈관 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그 부작용 때문에 오히려 발기부전 치료제로 쓰이게 되었다.
또 다른 효능을 기대하며 개발된 약의 부작용이 발모 작용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것을 탈모 치료제로 용도를 변경해 대박을 터뜨린 경우도 있다.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야마나카 인자를 적당히 조절해서 생쥐에게 주었더니 늙은 생쥐가 젊어졌다는 실험이다.
새로운 종으로 진화가 이루어지려면 개체의 다양성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이는 유전과 변이에 의해 새로운 형질을 확보함으로써 가능하다. 결국 유전과 변이가 진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이다. 새로운 형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유전과 변이의 기전은 무엇인지, 새로운 종은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아는 것은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길이다. 우리는 지금 그 길 위에 서 있다.
우리는 다양해서 아름답다 우리는 언제나 지구가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그때 아름답다고 말하는 대상은 지구의 기후가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들이다.
한두 가지 생명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다양한 생명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기에 아름답다.
어쩌면 진화의 과정 속에서 다양성이 확보되었기에 지구가 아름다운 것인지도 모른다.
새로운 종이 생기려면 굉장히 많은 개체 중 새로운 개체가 등장해야 한다. 결국 새로운 종으로의 진화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개체의 다양성, 다양한 개체라는 기반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궁극의 질문은 ‘개체의 다양성, 그 기반은 도대체 무엇인가?’가 된다.
종의 다양성의 기반에는 매우 많은 수의 개체, 그리고 정말 다양한 개체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자연이 그 다양한 것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한다. 결국 환경에 조금 더 적절하게 적응한 자손들이 살아남는 것인데, 이것을 ‘자연선택’이라고 한다. 이것이 다윈이 주장한 진화론의 핵심 내용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변이가 있다. 변이야말로 종의 다양성을 가능하게 만든 기본이다.
사람이 모두 다른 이유는 염색체가 만나고 헤어지는 변이 때문만은 아니다. 원래 달라지도록 되어 있는 어떤 힘이 존재한다. 그것이 더 중요한 변이의 근원인데, 우리는 그것을 돌연변이라고 부른다. 돌연변이가 자꾸 쌓여서 새로운 유전자가 만들어지거나 또는 새로운 유전자의 발현이 만들어지는 과정들이 다양성의 근본이 되는 변이의 출발점이 된다.
찰스 다윈은 다양성에 기반한 자연선택으로 새로운 종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걸 다양한 사례를 들어 증명했다.
또, 멘델은 감수 분열이나 수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자 조합에 의해서 새로운 형질이 유전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정작 그 유전자가 무엇인지는 잘 몰랐다.
"가정한 염기 결합의 양상을 봤을 때 유전물질이 어떻게 복제될 것인가를 간파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고는 아무 설명도 하지 않은 채 논문을 끝냈다.
진화는 종의 다양성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다양성을 생성하기 위해서 실제로는 어떤 생명현상이 일어날까? 바로 새로운 형질의 탄생이다.
진화는 종의 다양성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다양성을 생성하기 위해서 실제로는 어떤 생명현상이 일어날까? 바로 새로운 형질의 탄생이다.
교배를 통해 자손이 태어나고 그 자손이 다시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애초의 두 개체는 생물학적으로 같은 종이라고 정의한다. 이 정의를 기반으로 한다면, 교배했을 때 태어나는 자손들이 살아남지 못하게 되는 특정 유전자를 도입해 새로운 종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종의 출현이 아니라 하더라도, 종의 다양성의 기본이 되는 변이를 쌓는다는 면에서 본다면 유전자 조작은 종의 다양성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생물학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소양을 갖추어야 하는가’라는 질문도 많이 받는다. 감히 답하건대, 생물학은 호기심에서 출발하고 끈기로 완성하는 학문이다. 호기심을 갖지 않으면 어려운 실험을 반복하고 실패를 거듭 겪으면서 끈기를 발휘할 동인을 찾기 힘들다. 호기심이 있어야 새로운 궁금증이 과학적 질문으로 발전할 수 있다.
수많은 장애물을 넘고 실패를 견디면서 조금씩 전진하다 보면 전혀 새로운 경지를 만나게 되는데, 그 동력은 바로 지치지 않는 끈기다.
호기심과 끈기, 이 두 가지만 갖추면 누구라도 멋진 생명과학자의 자질을 타고난 것이라고 감히 말씀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