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은 인간의 영혼을 잠식한다. 각자가 나를 어떤 존재로 지을 것인가의 자유를 누릴 수 없다. 불안 때문에 그런 생각 자체를 하지 못한다. 이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은 소유에만 관심이 있고 소유물이 무엇이며 얼마나 되는지가그 사람의 가치를 규정한다. 그래서 더 많이 소유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인간성을 훼손하는 불안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공적 분배를 통한보편복지의 확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 그렇게 더불어 사는 사회, 사회적 연대가 살아 있는 사회, 모두가 소박하게 살지언정 최소한의 인간 존엄성만큼은지켜주는 사회로 가야 하는 것이다. 이런 사회 환경에서 구성원들은 자기 자신의 존재를 가꿀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머리(의식)도 중요하지만, 머리보다 가슴(공감 능력)이 더 중요하고, 가슴보다는 발(실천)이 더 중요하다"라고 말하는 것인데, 신자유주의가 유일사상으로 지배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가슴이나 발은커녕 머리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박해와 죽음의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피난처를 찾아 한국 땅을 찾아온 난민들을 환대하기는커녕 혐오하는 동시대인들이 너무 많다. 이 땅을 찾아온 난민은 난민이라는 거울을 통해 투사된 우리의 자화상을 드러낸다.
독일 국내 극우 세력의 반대뿐 아니라 소속 기독교민주당의 반대도 무릅쓰고 100만 명 이상의 난민을 받아들인 앙겔라 메르켈의 담대한 정치철학은 물론, 그런 지도자의 결단을 결국 수용한 독일인들의 수준도 놀랍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인종주의에 관한 탁월한 책을 쓴 타하르 벤 젤룬은 이방인에 대한 두려움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방인을 두려워할 권리를 갖는 것, 그것이 바로 두려움에 대한 승리가 된다. 두려움에 정면으로 맞서고, 우리 자신의 허약함의 거울 속에서 자신을 냉철하게 직시하는 대신에 우리는 우리의 두려움을 적에 대한 무기로 만들고 방패로 사용하려고 두려움을 내면화한다. 그리하여, 위협인 이방인은 넘어올 수 없다."
자공이 물었다. "평생 동안 실천할 만한 한 가지 말씀이 있습니까?" "서(恕)다. 자신이 원하는 바가 아니면 남에게도 행하지 말라."
『논어』 위령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예수님도 "남이 너에게 대접해주길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대접해주어라"라고 말씀하셨다.(마태복음)
캐나다의 중도파 자유당의 쥐스탱 트뤼도 대표는 선거 캠페인 중에 "총리에 선출된다면 2015년 말 이전에 2만 5,000명의 시리아 난민을 받아들이겠다"고 약속했다.
트뤼도 정부의 존 맥컬럼 이민부 장관은 이렇게 말했다. "여러 해 전부터 세계의 난민 위기가 더 심각해지는 터에 다른 나라들이 문을 닫을 때 우리는 문을 열 것이다." 또 "가장 중요한 도전은 난민을 위한 주택과 언어 교육, 그리고 일자리다"라고 말했는데, 실제로 69퍼센트의 시리아 난민들은 입국한 지 석 달도 지나지 않아 주택을 제공받았다.
우리가 자주 말하곤 하는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의 뜻은 꾈 유(誘) 자를 써서 확장되어야 한다. 돈이 없으면 죄가 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죄를 짓도록 이끌기 때문이다(無錢有罪→無錢誘罪).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을 때 사람들은 나를 성자라고 불렀다. 그러나 가난을 만드는 구조를 바뀌어야 한다고 말하자, 사람들은 나를 빨갱이라고 불렀다."
동 에우데르 카마라 대주교의 말이다. 브라질의 빈민 지역에서 활동한 뒤 생을 마감한 카마라 대주교는 활동 초기에 부자들에게 가난한 이들을 위한 구제 활동에 참여해줄 것을 호소했다. 그러나 그가 부자들의 기부에 의한 복지사업으로는 가난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개인적 선행의 한계는 가난한 사람들로 하여금 자긍심을 갖지 못하게 한다는 데 있다. 스스로 자신을 형성할 수 없고 동정에 의존해 살아가야 하는 사람에게는 자긍심이 아니라 부끄러움이 남는다. 그래서 카마라 대주교는 청소부에게 정말 부끄럽게 여겨야 하는 것은 일하느라 거칠어지고 더러워진 손이 아니라, 사람들을 자기중심적인 태도에 머물게 하는 사회구조라고 말했던 것이다.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 추구권이다.
결국 인간성을 훼손하는 불안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공적 분배를 통한 보편복지의 확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 그렇게 더불어 사는 사회, 사회적 연대가 살아 있는 사회, 모두가 소박하게 살지언정 최소한의 인간 존엄성만큼은 지켜주는 사회로 가야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부족한 것은 물질이 아니라 모든 이웃들에게 존엄한 삶을 보장해줄 수 있는 연대의 정신과 성숙한 정치다.
장발장은행은 그런 사회를 향한 작은 씨앗의 하나일 뿐이다. 빨리 문을 닫는 게 장발장은행의 목적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 ‘가난의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바라는 사회를 남이 대신 만들어주지 않는다고 할 때, 시민들의 적극적인 연대활동과 올바른 정치 참여만이 그 길을 열어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