훗날, 12세기에 나타났던 영웅 징기스칸은 겨우 10만 군대로 세계를 재패했다. 그것은 적을 포로로 잡아그 군대를 활용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한 번 기세가 꺾인 군대는 대부분 항복했고, 결사전이란 그리 흔한 전법이 아니었다. 그래서 징기스칸은 처음에는 몽골군으로 적을 쳤지만 그후로는 대부분 현지 포로군으로 정복전을 치러냈다.
이처럼 황제 헌원군이 번번이 치우군에게 패했다지만 실은 한번 전투에서 수백 명 내지 수천이 죽거나 포로로 잡혀가는 것 말고는 큰 손실을 입지 않았다. 패하고 나면 헌원은 다시 이를 물고 전쟁을 준비했다.
그러기를 수없이 했다. 그 사이 황제 헌원의 군대는 철기문명을 받아들였고,
천군 포로들을 통해 군사 전략이나 무기 제조법을 배웠다.
그가 비록 치우에게 끝내 무릎을 꿇었다지만 실은 이미 그들은 천군에 맞먹는 전략을 갖추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 황토인은 결국 중원을 차지하였고, 승리한 천족은 한반도에 주저앉고 말았다. 결과적으로는 말이다.
역사의 흐름이란 참으로 묘한 것이다.
승리하고도 졌다니...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진 게 아닌지도 모른다. 아직도 역사는 흘러가고 있으니까.
역사의 강은 어느 순간에 물줄기를 확 바꿀지 모른다.
우리 조상들의 무덤이 있고, 살던 터가 있고, 조상들이 마시던 물과 바람이 있는 땅이 저 멀리 다른 나라에 포함되어 있는 한 우리는 언젠가 눈을 뜨고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어쭙잖은 중화사관(中華史觀)과 식민사관(植民史觀)에 무릎꿇고 감히 주장을 하지 못했다. 조선 5백 년 내내 그러했고, 20세기에도 그러했다. 역사는 순간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길게 멀리, 깊게 보아야한다. 역사는 점(點)이 아니라 선(線)이기 때문이다.
역사는 흐름이 끊기는 강줄기가 아니다.
역사는 한강보다 길고 황하(黃河)나 장강(長江)보다 길다.
그러므로 몇몇 부족의 소멸(消滅)은 간혹 있어도 역사가정지하지는 않는다.
탁록벌을 적셨을 물줄기는 오늘도 도도히 흐르고 있으며,
고구려군의 함성에 물결을 쳤던 압록강은 푸른 물줄기를한 번도 그친 적이 없다.
5천 년 전의 이야기라고 해서, 그런 엄청난 세월이흘렀다고 해서, 그 역사가 화석(化石)이 되는 것은 아니다. 아직도 호호탕탕 흘러가는 황하의 강물처럼...
그 비옥한 탁록의 뜰에서는 사람이 태어나고 풀이 자라고 바람이 분다. 그렇게 흘러온 5천 년의 역사는 결코 이끼가 끼지도 않으며 탁해지지도 않는다.
천국(天國)의 신화(神話)는 그러한 역사의 강을 타고 우리 후손들을 향하여 쉼없이 흘러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