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그것도 나 아니 될라오."
그러면 너 죽어 될 것 있다.
너는 죽어 경주의 인경도 되지 말고
전주의 인경도 되지 말고
송도의 인경도 되지 말고
서울 종로의 인경 되고 - P61

"아니 그것도 나는 싫소."
그러면 너 죽어 될 것 있다.
너는 죽어 방아 구덩이가 되고
나는 죽어 방아 공이가 되어
경신년 경신일 경신시에 강태공이 만든 방아
그저 떨구덩 떨구덩 찧거들랑
나인 줄 알려무나.
사랑 사랑 내 간간 사랑이야.

춘향이 하는 말이,
"싫소. 그것도 내 아니 될라오."
"어찌하여 그런 말을 하냐?" - P62

"싫소. 그것도 아니 될라오. 위로 생긴 것이 성질나게만 생기었소. 무슨 원수가 졌기에 일생 한 구멍이 더하니 아무것도 나는싫소."

그러면 너 죽어 될 것 있다.
너는 죽어 명사십리 해당화가 되고
나는 죽어 나비 되어
나는 네 꽃송이 물고
너는 내 수염 물고
춘풍이 건듯 불거든
너울너울 춤을 추고 놀아보자.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 P63

"애고 나는 부끄러워 못 벗겠소.‘
"에라 요 계집아이야 안 될 말이로다. 내 먼저 벗으마."
버선, 대님, 허리띠, 바지, 저고리 훨씬 벗어 한편 구석에 밀쳐놓고 우뚝 서니, 춘향이 그 거동을 보고 빵긋 웃고 돌아서며 하는 말이,
"영락없는 낮도깨비 같소."
"오냐 네 말 좋다. 천지만물이 짝 없는 게 없느니라. 두 도깨비 놀아보자."
"그러면 불이나 끄고 노사이다."
"불이 없으면 무슨 재미 있겠느냐. 어서 벗어라 어서 벗어라."
"애고 나는 싫어요." - P66

춘향의 가는 허리를 후리쳐 담쏙 안고 기지개 아드득 떨며,
귓밥도 쪽쪽 빨고 입술도 쪽쪽 빨면서 주홍 같은 혀를 물고, 오색단청 이불 안에서 쌍쌍이 날아드는 비둘기같이 꾹꿍 끙끙 으흥거려 뒤로 돌려 담쏙 안고 젖을 쥐고 발발 떨며 저고리, 치마,
바지 속옷까지 훨씬 벗겨 놓았다. 춘향이 부끄러워 한편으로 잡치고 앉았을 제, 도련님 답답하여 가만히 살펴보니 얼굴이 달아올라 구슬땀이 송송실 앉았구나.
"이애 춘향아 이리 와 업히거라."
춘향이 부끄러워하니,
"부끄럽기는 무엇이 부끄러워. 이왕에 다 아는 바니 어서 와업히거라."
춘향을 업고 추켜올리며, - P67

"네가 그러면 무엇이냐. 날 홀려 먹는 불여우냐? 네 어머니 너를 낳아 곱도 곱게 길러내어 나만 홀려 먹으라고 생겼느냐? 사랑사랑 사랑이야 내 간간 내 사랑이야. 네가 무엇을 먹으려느냐.
생 밤, 삶은 밤을 먹으려느냐, 둥글둥글 수박 웃꼭지를 잘 드는칼로 뚝 떼고 강릉에서 나는 좋은 꿀을 두루 부어 은수저로 붉은점 한 점을 먹으려느냐?" - P69

"에라 요것 안 될 말이로다. 어화 둥둥 내사랑이지. 이애 그만 내리려무나. 온갖 일에는 다 품앗이가 있느니라. 내가 너를없었으니 너도 나를 업어야지."
"애고 도련님은 기운이 세어서 나를 업었거니와 나는 기운이없어 못 없겠소."
"업는 수가 있느니라. 나를 돋워 업으려 하지 말고 발이 땅에닿을 듯 말 듯하게 뒤로 젖힌 듯하게 업어다오."
도련님을 업고 툭 추켜 놓으니 몸이 뒤틀렸구나. - P69

온갖 장난을 다 하고 보니 이런 장관이 또 있으랴. 이팔과 이팔 둘이 만나 미친 마음 세월 가는 줄 모르던가 보더라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고(太古) 시절이라. 아득한 옛날 중국의 임금인  천황씨는 쑥떡으로 왕이 되어 섭제별에서 세상을  일으켰으니 자연스럽게 나라가 태평하였느니라. 
또 형제 열두 명이 각각 일만 팔천세를 누렸다."
방자 여쭈오되,
"여보 도련님, 천황씨가 목덕으로 왕이 되었단 말은 들었으되쑥떡으로 왕이 되었단 말은 금시초문이오." - P36

64 원래는 목덕(木德) 즉 나무의 기운이라고 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이 도령이 춘향에 정신이 팔려 이 구절을 쑥떡으로 잘못 읽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양반에 대한 풍자의 의도도 읽을 수 있다. - P36

"도련님 웬 고함이오. 고함소리에 사또 놀라시어 알아보라 하옵시니 어찌 아뢰리까?"
딱한 일이로다. 남의 집 늙은이는 귀 어두운 병도 있더니마는귀 너무 밝은 것도 보통 일 아니로다. 도련님 크게 놀라,
"이대로 여쭈어라. 내가 『논어』라 하는 글을 보다가 ‘아 애석하도다. 내가 늙은 지 오래되었구나. 꿈에 주공을 보지 못하다니.‘ 란 구절을 보다가 나도 주공을 보면 그렇게 해볼까 하여 흥이 나서 소리가 높았으니 그대로만 여쭈어라." - P40

"정승이야 어찌 바라겠나. 그러나 내 생전에 과거급제는 쉽게할 것이고, 급제만 쉽게 하면 육품 벼슬이야 무난하지 않겠나."
"아니요. 그리 할 말씀이 아니라 정승을 못하오면 장승이라도되지요." - P43

단단히 일러 당부하고 춘향 어미가 나오는데, 세상 사람이 다 춘향 어미를 일컫더니 과연이로다.  자고로 사람이 외갓집을 많이 닮는 탓에 춘향 같은 딸을 낳았구나. 춘향 어미 나오는데 거동을 살펴보니, 나이 오십 세가 넘었는데 소탈한 모양이며 단정한 거동이 빼어나고 살결이 토실토실하고 윤기가 있어 복이 많은지라. 수줍고 점잖은 모양으로 신을 끌어 나오는데 가만가만방자 뒤를 따라온다. - P46

봄바람 부는 대나무 운치를 띠었구나
향을 피워 밤에 책을 읽네.

대운춘풍죽(帶韻春風竹)이요
분향야독서(焚香夜讀書)라.

기특하다 이 글 뜻은 남장(男裝)을 하고 아버지를  대신하여 전쟁에 나갔던 효녀 목란(木蘭)의 절개로다. - P49

춘향과 도련님 마주 앉아 놓았으니 그 일이 어찌 되겠느냐. 지는 햇살을 받으면서 삼각산 제일봉에 봉학이 앉아 춤추는 듯, 두팔을 구부정하게 들고 춘향의 섬섬옥수 꼭 잡고, 옷을 공교하게벗기는데, 두 손길 썩 놓더니 춘향의 가는 허리를 담쏙 안고,
"치마를 벗어라." - P55

춘향이가 이불 속으로 달려든다. 도련님 왈칵 쫓아 들어 누워저고리를 벗겨 내어 도련님 옷과 모두 함께 둘둘 뭉쳐 한편 구석에 던져 두고 둘이 안고 마주 누웠으니 그대로 잘 리가 있나. 한창 힘을 쓸 제, 삼베 이불 춤을 추고, 샛별 요강은 장단을 맞추어청그렁 쟁쟁, 문고리는 달랑달랑, 등잔불은 가물가물. 맛이 있게잘 자고 났구나. 그 가운데 재미있는 일이야 오죽하랴.
하루 이틀 지나가니 어린 것들이라 새로운 맛이 간간 새로워부끄럼은 차차 멀어지고 그제는 희롱도 하고 우스운 말도 있어자연 사랑가가 되었구나. 사랑으로 노는데 똑 이 모양으로 놀던 것이었다. - P57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춘향의 고운 태도 단정하다. 앉는 거동 자세히 살펴보니, 갓비가 내린 바다 흰물결에 목욕재계하고 앉은 제비가 사람을 보고 놀라는 듯, 별로 꾸민 것도 없는 천연한 절대 가인이라 아름다운 얼굴을 대하니 구름 사이 명월이요, 붉은 입술 반쯤 여니강 가운데 핀 연꽃이로다. 신선을 내몰라도 하늘나라 선녀가 죄를 입어 남원에 내렸으니, 달나라 궁궐의 선녀가 벗 하나를 잃었구나. 네 얼굴 네 태도는 세상 인물 아니로다. - P31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지아비를 바꾸지 않는다고 옛글에 일렀으니, 도련님은 귀공자요 소녀는 천한 계집이라. 한번 정을 맡긴 연후에 바로 버리시면 일편단심 이내 마음,
독수공방 홀로 누워 우는 한(恨)은 이내 신세 내 아니면 누구일꼬? 그런 분부 마옵소서."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주 수영 보련암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내생각: 작가가 뭣도 모르고 그렇게 썼다.

이때 내아(內衙)에서 술상이 나오거늘 한 잔  먹은  후에  통인과 방자 물려 준다. 술기운이  도도하야 담배 피워 입에다 물고이리저리 거닐제, 충청도 공주수영(水營)  보련암(寶蓮菴)이 좋다 하나 이곳 경처 당할쏘냐.  붉을 단(丹) 푸를 청(靑) 흰 백.. ..
<춘향전, 21페이지>

충청도 공주 수영 보련암.
도대체 여기가 어디인가?
충청도에 수군절도사는 보령 오천에 있었다.
경상, 전라에는 좌, 우수사가 있었지만 충청엔 충청수사 하나.
충청수영성 영보정. 보령시 오천면 오천항에 있다.

충청수영 영보정

오천항이 내려다 보이는 충청수영성 언덕에 위치하는 누정으로 1504년(연산군 11) 수사 이량이 지었으며 이후에 계속 보수와 개축이 이루어졌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시대 많은 묵객들이 이곳을 찾아 시문을 남겼다. 백사 이항복과 다산 정약용은 이곳을 조선 최고의 정자라고 칭송했다고 전해진다.

조선 말 충청수영이 폐지되면서 1878년 영보정도 화재로 소실되고 터만 남아 있었는데 2015년에 영보정을 복원하여 예전의 모습을 되찾았다.

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m.viva100.com/view.php?key=20220708010001343

춘향전에 나온 ‘츙쳥도 고마수영 보련암’에 대하여, 공주대학교 강헌규

춘향전, 춘향수절가에는 전라도의 광한루와 오작교에 해당하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은 고마 수영 보련암이라는 말이 있다. 충청도에 있는 [보련 암자] 물론 고마수영이나 보련암이 아름다운 곳이라 할지라도 광한루나 오작교가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글쓴이의 관심사는 고마수영과 보련암 지명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저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마수영[고마해군본부]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에 있었다.
2. 보련암:기록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소를 알 수 있다.
①경북 문경군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 옆에 있다.
① 동산의 가슴 우장동 마을 풍산리에 있다. 강원도 화천군 군내면. 그런데 이 두 보련암은 춘향전의 보련암이 아닌 것 같습니다.
3. 증거가 있다 하더라도 ‘보련암‘은 ‘영보정‘의 옛 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변경에 대한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련암(보련)→영보(보련)정

이러한 변화는 불교의 지배를 받는 고려 사회에서 유교의 지배를 받는 조선 사회로의 이념적 변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8-21 23: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춘향전 무대가 공주 라면 실제 대화는 공주 방언으로 ?? ㅎㅎ

대장정 2022-08-22 00:18   좋아요 2 | URL
전라북도, 충청남부 사투리 비슷합니당~~^^.ㅎㅎ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넓으시어 대대로 어진 자손이 끊이지 않고 계승하시니 아름다운 노래 소리와 풍요로운 삶이 비할 데가 없도다. 든든한 충신이 좌우에서 보필하고 용맹한 장수가 용과 호랑이가 에워싸듯 지키는구나. 조정에 흐르는 덕화(德化)가 시골까지 퍼졌으니  굳센 기운이 온 세상 곳곳에 어려 있다. 조정에는 충신이가득하고 집집마다 효자열녀로다. 아름답고도 아름답다. 비바람이 순조로우니 배부른 백성들은 곳곳에서 태평  시절을 노래하는구나.
- P9

이때 전라도 남원에 월매라는 기생이 있으니 삼남(三南)에서이름난 기생이었다. 일찍이 기생을 그만두고 성가라고 하는 양반과 더불어 살았는데 나이 사십이 되도록 슬하에 일점혈육이없었다. 이것이 한이 되어 길이 한숨 쉬며 근심하다가 그만 병이되었구나. - P9

"서울로 이를진대 자하문 밖 내달아 칠성암, 청련암, 세검정과평양 연광정, 대동루 모란봉, 양양 낙선대, 보은 속리 문장대, 안의 수승대,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가 어떤지는 모르오나 전라도로 이를진대태인 피향정, 무주 한풍루, 전주 한벽루 좋사오나 남원 경처 들어보시오. 동문밖나가시면 장림 숲 선원사좋사옵고, 서문 밖 나가시면 관왕묘(關王廟)의 엄한 위풍 예나지금이나 같사옵고, 남문 밖 나가시면 광한루, 오작교, 영주각좋사옵고, 북문 밖 나가시면 연꽃 같은 봉우리가 푸른 하늘에 깎은 듯이 솟아있고, 기이한 바위 둥실한 교룡산성 좋사오니 내키는대로 가사이다. - P15

이때 내아(內衙)에서 술상이 나오거늘 한 잔 먹은  후에  통인과 방자 물려 준다. 술기운이 도도하야 담배 피워 입에다 물고이리저리 거닐 제, 충청도 공주 수영(水營)  보련암(寶蓮菴)이 좋다 하나 이곳 경처 당할쏘냐.  붉을 단(丹) 푸를 청(靑) 흰 백.. ..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