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과 곶자왈을 품은 한라산은 제주 사람들에겐 이상향의 세계였습니다. 거센바다와 거친 화산 땅을 일구며 사나운 바람에 맞서 살아온 사람들에게 신선이산다는 한라산은 마음속의 이어도였습니다. 꿈 없이 갈 수 없는 땅이었지요.
백두산이 북녘 땅 만주벌판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내는 곳이라면, 한라산은 망망대해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태풍을 온몸으로 껴안는 우리 국토의 파수군인셈이지요. - P9

봄...겨울 잠에서 깨어나는생명의 노래

가장귀 덮었던 눈꽃을 녹이는 게 햇살인 줄로만 알았습니다. 우듬지 감쌌던 눈송이 떨치는 게 스쳐가는 바람인 줄로만 여겼습니다.
정말 몰랐습니다. 벌거벗은 나무에도 체온이 있었다는 걸 미처몰랐습니다. 햇살 쏟아지고 바람 부는 날, 겨울눈 꽁꽁 덮은 차가운 서리꽃 그 눈부신 아픔 떨쳐내려고  뿌리에서 가장귀로, 줄기에서우듬지로 수직의 혈관을 고달프게 역류하는 나무의 치열한 줄소리를 예전엔 정말 몰랐습니다.
나무는 저마다 한 그루 시를 품고 삽니다. 바람 불면 제 몸 흔들어노래하고 제 살 햇살에 비벼 고이 꽃 한 송이 피웁니다. 머나먼, 우주의 시간을 몰고 오는 바람의  영혼이 맨살의 연둣빛으로 올올이 스밀 때 나무는  속수무책의 가슴으로 울음을 웁니다. 죽어간 살들은 안에서 고여 산 것들을 떠받쳐 일으켜 세우고 만져질 수 없는 모든 그리움을 향하여 나무들은 날마다 한 움큼의 수액을 쏟습니다.
가장 혹독한 계절 벌거벗고 지내며 뜨거운 피 쉼 없이 뿜어 올리는나무의 조용하면서도 결곡한 전율을 예전엔 미처 몰랐습니다.
- P15

불가의 화두 중에 ‘줄탁동시(卒琢同時)‘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미 닭이 알을 품고 있을 때, 때가 되면 알 속의 병아리가 세상 밖으로 나오려고 껍질을 쪼아댑니다. 줄(卒)‘ 소리지요. 이 소리를 들은 어미는 병아리가 쪼아대는 속껍질 바깥쪽을 동시에 쪼아줍니다. 바로 ‘탁(琢)‘ 입니다.
줄과 탁이 엇갈리면 병아리는 세상에 나올 수가 없는 법이지요. 줄소리를 어미 닭이 듣지 못하면 병아리는 알 속에서 혼자 끙끙대다 지치겠고, 줄도 없는데 어미 닭이 강제로 ‘탁‘을 하면, 아직 여물지 않은 병아리가 성할 리 없겠지요. 줄과 탁의 교감이 없고서는 생명의 싹을 틔울수 없는 법이지요. - P16

혹독한 겨울의 들판에서 홀로 지새워야 하는 나무들은 낙엽을 떨쳐내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나무의 모든 자양분을 한 곳에모아두는 일이지요. 바로 겨울눈을 만드는 일입니다. - P18

봄과 여름을 거치면서 나무들은 줄기 곳곳에 아이를 낳듯이 겨울눈을 만들어 놓습니다. 나무의 모정은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더군요. 겨울눈이 한겨울을 지내는 동안 얼어 죽지 않게 또 한 겹의 두툼한 옷을 입혀줍니다. 아린‘ 입니다. 눈보라가 몰아쳐도, 서리꽃이 온몸을감싸더라도 겨울눈이 상하지 않게 감싸주는 비늘 껍질이지요. 이것으로도 못 미더워서인지 나무들은 아린 안쪽에 끈적끈적한 방수액도 발라줍니다. - P19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는 이름이 있습니다. 떠올림으로 하나의 형상을 그릴 수 있고, 그 형상을 떠올릴 때면 으레 떠오르는 각인(刻印) 같은것이지요.  이름에는 그에 걸맞는 풍경이 떠오르게 마련입니다. 
이른 봄한라산의 봄을 알리는 꽃에게 생멸화란 이름 하나 짓습니다. - P31

저들도 우리와 같이 생명이 있다는 마음. 그것이지요. 우리의 눈높이를 자연에 맞추는 일, 그것입니다.
- P31

딱따구리(Dendrocopos leacotor)는 ‘나무(Dendron)를 쪼는(kopos) 새‘라는라틴어에서 유리된 이름입니다.  영어로는 woodpecker라고 합니다. - P39

한때 한라산의 명품으로 유명했던 오미자나무의 열매도 지금은 눈씻고 찾아봐도 없습니다. 멸종되었거나 인간의 발길이 닿을 수 없는 아주 깊숙한 산속으로 피신했을 것입니다. 다른 나무의 등걸을 타고 높은곳에 올라가 열매를 맺는 오미자의 특성 때문에 오미자나무뿐 아니라오미자에게 제 몸을 내어준 나무까지 무참히 잘려나갔기 때문이지요. - P49

이런 것을 부탁해도 될는지요. 어린 두릅나무새순이 탐나실지라도 나무마다 한두 송이의 새순은꼭 남겨두시기를, 그래서 두릅나무가 여름이 되어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어서 내년에도 연둣빛 고운새순을 피워낼 수 있기를, 그것이 두릅나무 가시의간절하고 절실한 소망이 아닐는지요. - P51

이 부근에 들어설 때면 언제나 야릇한 설렘이 한구석에 흐른다. 그것은 버스에서 내려 들판으로 걸음을 옮기면서부터 가벼운 긴장감과 함께 일어온다.
오름 왕국의 문을 두드리는 것이다.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드넓은 벌판에 오름 또 오름, 기생화산의 군집지대이다."
<오름나그네> 제1권 중에서 - P54

바람의 섬 제주 들판의 정령(精靈)들이여,  바라노니 초록 융단 선연히 물들이던 피뿌리풀을  되살리지 못하고서 감히 말하지 말라. 
화산섬 제주의 봄, 그 오월의 들판을 온전히 품었노라고, - P61

선작지왓을 아시는지요. 영실기암 올라 싱그러운 구상나무숲 터널을 벗어나면서 드러나는 널따란 평원입니다
 ‘바위 (지지)들이 서 있는 들판(왓)‘이란 뜻이지요. 
눈앞으로 백록담 화구벽의 웅자(雄姿)가 심장을 울리고 윗세오름과 방아오름의 부드러운 능선을 양쪽에 거느린 가없는 벌판입니다. - P64

잠자리는 번데기의 과정을 건너뛰고 곧바로 성충(成蟲)이 되는 불완전 변태를 합니다.  뜨거운 햇살이 유월 하늘에 쏟아질 때, 잠자리들은 빛나는 날개를 달고 세상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우화(羽化)라고 하는 것이지요. 
우화하는 순간에 잠자리들은 태어날 때부터 몸속에 지녔던 날개를 펴니다. - P78

한 잠자리의 생은 산란으로 한 해뿐인 삶을 마감하지만, 산란을 통해 새로운 생을 잇는 것으로 잠자리의 생은 완성된다. - P85

한라산 들머리인 들렁귀에서의 봄맞이를 영구춘화(瀛邱春花),
정방폭포의 시원스런 여름날의 물줄기를 정방하폭(正房夏暴), 
노랗게 익은가을날의 귤밭을 귤림추색(橘林秋色), 
한겨울 눈 덮인 백록담을 녹담만설(鹿潭晩雪)이라 하여
사계절 제주의 서정을 읊은 것이 두 소절이요. - P102

영주12경
http://naver.me/5Am2hn5S

한라산 화구벽에 둥지를 틀고 사는 검독수리는 신성한 독수리란 뜻이다.
짐승의 썩은 고기를 외면하고 오직 자신이 사냥한 짐승의 싱싱한 살을 먹으며 야생의 존엄을 지킨다. - P111

제주의 한가운데 선작지왓 너른 벌판 위로 홀로 장엄하게 솟아있는 화구벽은바다에서 달려드는 바람을 온몸으로 맞는다. 한여름 바람이 구름을 몰고 화구벽을 차오른다. - P113

제주의 숲은 곶자왈이라 불립니다. 곶자왈이란 토종 제주 말인데,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헝클어져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이라는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곶자왈에선 나무와 나무들이 지마다 제 멋을 자랑하며 가지를 뻗고, 가지 사이로 덩굴들이 무성하고, 그 아래로는 땅바닥을 기어다니는 고사리와 풀들이 자랍니다. 죽은 나무 가지에선 숲속의 청소부라 불리는 버섯들이 저마다의 색채로 검푸르고 바위에는 초록의 이끼들이 뿜어대는 태고적 자연의 신비들로 신성하지요. - P114

우거진 숲 때문에 곶자왈의 바위들은 얼제나 초록 이끼에 덮여 있다.
제주 자연의 허파라 불리는 곶자왈은 한라산과, 오름과 더불어 반드시 지켜내야 할 제주 생태계 최후의 보루이다.
- P125

한라산 화구벽에 서린 원형 무지개, 고도가 높은 곳일수록 무지개는 원형에 가깝다.
동그란 무지개를 광환(光環)이라 부르는데 서양에서는 ‘브로켄‘이라 하여 행운의 상징으로 여긴다. - P133

한 사진가가 있었습니다. 그이는 적막하도록 아득한 제주의 들판과 오름을 좋아했습니다.  광야에 출렁이던 억새와 바람을 그이는 사무치게 좋아했습니다. 아니 사랑했습니다. 일가친척 하나 없는 타향에서 배고픔과 외로움을 마시면서 사진에 몰두했던 그이였지요. - P260

"아름다운 세상을, 아름다운 삶을 여한 없이 보고 느꼈다. 이제 그아름다움이 내 영혼을 평화롭게 해줄 거라고 믿는다. 아름다움을 통해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간직한 지금, 나의 하루는 평화롭다."
그이가 지상에 남기고 간 마지막 선물 《그 섬에 내가 있었네》에 가슴에써내려간 고백이었습니다. - P265

오름과 오름 사이 가없는 벌판이야말로 진정한 제주의 속살이라하겠습니다. 봄이면 황금빛 유채물결 출렁이고 가을이면 눈부신억새 파도 온 섬을 물들입니다. 한라산 깊은 곳에서는 구상나무풋풋한 향기가 번져옵니다. - P247

이렇게 겨울 산 설원을 헤쳐 나가는 것을 ‘러셀(Russel)‘이라 합니다.
눈이 많은 곳에 사는 ‘러셀‘이란 미국 사람이 고안한 제설차량에서 빌려온 등산용어입니다. - P214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눈 덮인 광야를 지나갈 때엔 불수호란행(不須胡亂行) 함부로 어지러이 걷지를 마라 금일아행적(今日我行跡) 오늘 나의 발자국이 수작후인정(遂作後人程) 마침내 후세들에겐 이정표가
되리니 - P215

‘아비에스 코리아나 (Abies koreama)‘, ‘한국의 젓나무‘란 구상나무의 학명입니다. 우리나라 2천여 종의 식물 중에 유일하게 ‘코리언‘이란 학명이 붙어 있는 나무입니다. 구상나무는 바로 한국의 나무였습니다. 끊임없는 질곡의 역사를 겪으면서도 면면히 생명의 씨앗을 이어온 백의민족의 저력처럼 오랜 세월 이 땅에 뿌리를 내려온 우리의 나무인 것입니다.
백여 년쯤 전에 서양인들은 한라산 구상나무 종자를 저네들 나라로 가져가 우수한 유전형질 인자들만을 개량한 신종 구상나무를 만들어냈고,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트리가 되었다지요. 이를테면 귀중한 우리의 식물 종(種) 자원을 허가 없이 약탈해간 셈입니다. - P230

큰부리까마귀 부모를 공양하는 한라산 청소부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무실에서 다툼이 일어나 칼에 찔려 죽다." 1909년 뉴욕 타임스〉 지의 헤드라인이다. 그 기사에 따르면 사건은 플레전트 애비뉴 425번지에 사는 열다섯 살의 조지 S. 밀리트 George S. Militt가 동료에게 그날이자기 생일이라고 말한 데서 시작되었다. 함께 일하던 여직원들이 그를 놀리면서 생일이라면 마땅히 키스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모두들 근무시간이 끝나면 그가 살아온 연도만큼 일 년당 한 번씩 키스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웃으면서 여직원들은 자기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 P166

여기서 우리모두가 새겨둘 교훈이 있다. 회사에서 생일을 맞더라도 동료들에게알리지 마라. 살고 싶다면 입을 다물어라. - P167

 오타에 시달리던 비서의 발명품. 수정액, 벳 맥머리 - P167

벳은 생활비를 좀 더 벌기 위해 크리스마스에 잔업을 하다가 해결책을 발견했다. 사무실 창문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던 그녀는 화가들이 간판을 그리는 것을 보았다. 글자를 쓸 때 화가들은 절대로 잘못 쓴 부분을 지우지 않고 그 위에 물감을 덮어 칠한다." 네스미스는 나중에 이렇게 썼다. "그래서 나도 화가들의 방법을 쓰기로 결심했다.
템페라 수채 물감을 병에 넣어 붓과 함께 사무실로 가져갔다. 그리고 오타 위에 칠했다." - P168

수정 테이프는 일본의 지우개 회사인 시드seed가 1989년에 개발했다. - P174

잉크의 구성 성분은 모든 가능한 위험과 장애물을 염두에 두고 선택되었습니다. 설사 우연히 잉크를 삼키더라도 보통 사람에게는 해가 없습니다. 그러나 잉크에는 영양분이 없으므로, 마시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마음에 새겨둘 만한 이야기다. 잉크는 영양 음료가 아니라는 것 말이다. - P177

프랭크 애버그네일Frank Abagnale은 아마 20세기의 가장 성공한 사기꾼 중 하나일 것이다. 1960년대 초반 그는 여러 개의 가짜 신분을 사용하면서(파일럿, 의사, 변호사) 위조 수표로 수백만 달러를 현금화했고결국은 체포되어 12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2002년 그의 자서전인《잡을 테면 잡아봐 Catch Me II You Cian 가 스티븐 스필버그 Stephen Spielberg의 손으로 영화화되면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Leonardo DiCaprio가 애버그네일 역을 맡았다. 출소 후 그는 범죄자로서의 화려한 삶을 청산하고 은행과 기업체에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을 조언해주었다. 그는 이제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자신의 전문 기술을 알려주고 있다.
애버그네일은 저서 《절도의 기술 Art of the Steal)에서 위조범들이 레이저프린터로 인쇄된 수표를 어떤 문구로 변조하는지를 자세히 설명했다. - P180

십대 시절 애버그네일은 아버지가 경영하던 문구점의 창고에서 일했다. 말하자면 지우개와 스카치테이프에 둘러싸여 있던 환경이 그에게 범죄자의 인생을 살아갈 영감을준 것은 아닐까??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륜은 후한後漢 화제和帝의 환관이었다.  서기 89년 그는 무기와 군수품 개발 책임자로 승진했다. 그는 이 업무를 맡고 나서 값싼 글쓰기재료의 필요성을 느꼈다. 5세기 《후한서後漢書》에 실린  채륜의  전기에 따르면 "고대에는 글씨와 명문이 일반적으로  대나무 조각이나 비단천에 쓰였다. 비단은 값이 비싸고 대나무는 무겁기 때문에 이 둘은 손쉽게 쓰일 만한 재료가 아니었다." 채륜은 "나무껍질과 대마 찌꺼기, 넝마,  그물로 종이를 만들 생각을 했다. - P96

서기 105년에 그는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화제에게  바치고 치하받았다. 채륜은 하사금을 받았고 114년에는 용정후龍亭侯에 봉해졌다. 
화제는 105년에 서거하고황후가 실권을 쥐었다. 
황후가 121년에 죽자 화제의 조카인 안제安帝가  권력을 쥐면서 화제의 자문관들을 몰아냈다. 
채륜은 감옥에 갇힐처지가 되자 "목욕재계한 다음 가장 좋은 옷으로 갈아입고 독약을 마셨다. - P97

다음의 내용은 볼로냐 시가 채택하는 규격이다. 즉 볼로냐와 인근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목면 종이는 아래 크기를 준수해야 한다.
그 아래에는 ‘인페리알레 inperialle‘, ‘레알레 realle‘, 메사네 meane",
레수테recute 라는 네 가지 규격을 예시하는 네 개의 직사각형이 둥지처럼 모여 있다. 임페리얼 (인페리알레)과 로열 (레알레)은 십진법이 도입될 때까지 (약간씩 변형되면서) 사용되었다. 특히 임페리얼 사이즈는 고대 파피루스 필사본에 사용되던 사이즈를 그대로 가져온 것일 수도있다. - P110

ISO 216에 명시된 A시리즈는 십진법을 따른다. A시리즈에서 가장큰 종이인 AO는 표면적이 1제곱미터이고 종이 크기가 841 × 1189밀리미터 (리히텐베르크 비율인 1:루트2 )다. 이 시리즈의 경우 각 종이의 짧은변이 다음 종이의 긴 변이 된다. - P113

ISO 216은 B시리즈의 종이 규격도 구체적으로 정해준다(주로 프린트 디자인에 사용됨), 1976년 추기적인 ISO 표준 규격(ISO 269) 이 도입되어 주로 우편 봉투 크기에 사용되는 C시리즈의 규격을 구체적으로명시했다. 가령 A4 종이는 접지 않은 채로 C4 봉투에 들어갈 수 있다는 식이다. - P114

좀 따라와 봐, 이 사람들아.
미국은 분명히 우월한 ISO 216 시스템(미터법 일반)을 받아들이는대신 리걸legal (8.5 ×14인치)과 타블로이드 tabloid (11 ×17인치) 같은인치를 기초로 하는 측정 공식을 계속 사용한다. 비록 가장 흔히 쓰이는 사이즈는 여전히 ‘레터 lette (8.5 ×11인치)지만 말이다. 미국의 편지지 규격은 연원이 불분명하지만 (사실 유럽식 연원) 네덜란드의 제지업자가 1600년대에 도입한 종이 틀에 기초한 것이다. 밝혀진 바로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7인치와 44인치인 틀이 노동자 한 명이 다룰 수있는 최대 크기였다고 한다. 미국의 편지지는 그 틀로 만든 종이를 넷으로 나눈 크기다. - P119

핸콕은 굿이어가 만든 고무의 초기 샘플을 역추적하여  (누렇게 탈색되는 것을 보고 황이 들어간 것을 알아차렸다) 굿이어보다 먼저 특허 신청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굿이어는 가황 처리법으로 얻은 금전적인 보상은 거의 없었지만(그는 무거운 빚을 떠안고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그를기리는 타이어 회사의 이름으로 살아남았다.  나는 내가 작물을 심었는데 다른 사람이 결실을 거두었다고 투덜대는 사람이 아니다." 굿이어는 이렇게 썼다. 평생 거둔 업적이 오로지 그것이 가져다준 달러와센트로만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흔히 그렇게 되지만 말이다. 사람들은 자기가 씨를 뿌렸는데도 아무도 그 결실을 거두지 못할 때 마땅히회한을 느끼게 된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러를 수록 높이를 더하는 마음의 산

우러를 수록 높이를 더하는 마음의 산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3장 서아시아

1. 마슈하드. 순교의 땅이란 뜻,
이란의 동변 관문, 이란 28개주 중 호라산주의 주도, 세 번째 큰 도시, 시아파 3대 성지, 12대이맘파의 제8대 이맘 레자의 묘당, 메카 순례객의 몇 배나 많은 1200만명의 순례객이 모여들어 이 도시를 성역광장이라 함, 신성한 마슈하드, 이란의 대민족시인 피르다우시(민족대서사시 샤마나, 왕서, 35년간 6만편의 시), 카라반 사라이(대상숙소)

2. 니샤푸르. 샤푸르의 도시
사산조 페리시아의 샤푸르1세가 건설, 한때 호라산 총독부의 치소, 동서방 대상의 집결처, 물산의 교역장, 니샤푸르 도기, 혜초이 서역기행의 서단으로 추정, 오마르 하이얌(11세기 페르시아 시인, 천문학자, 수학자, 16세기 그레고리력보다 정확한 달력, 사행시집 르바이야트), 아타르(12세기 신비주의 이란 시인)

3. 페르세폴리스. 중동 최대 왕궁유적, 타흐트 잠쉬드(타흐트 왕좌, 잠쉬드 전설속 페르시아왕)
그리스인들이 제멋대로 페르시아의 도시란 뜻으로 페르세폴리스란 이름을 붙임, 다리우스 1세 기원전 518 ~ 5대인 손자때 기원전 469년경 완공(60년의 건설기간), 알렉산더의 만행(알렉산더 동정군이 지른 불로 하룻밤사이 잿더미로), 만국의 문(목우상, 유익인면수신상), 아파다나 궁전(조공자행렬도, 동물투쟁도), 조공자행렬도(스키타이인의 고깔형 모자, 한국인의 절풍건과 닮은꼴), 낙쉐로스탐 암굴묘(제왕 4명의 무덤, 십자형 얼개), 아후라 마즈다(조로아스터교 최고신, 아후라=주, 마즈다=지혜)

4. 야즈드. 인류 최초의 계시종교 조로아스터교(마즈드교)이 본향이자 성지.
대표적 성소 아테슈카데(불의 집) 사원, 불을 통해 신의 본성을 깨달을 수 있다. 불 자체 숭배는 아님. 배화교로 한역하는 것은 착오, 침묵의 탑(鳥葬터), 3대 준칙(바른 생각, 바른 행동, 바른 말), 이원론적 유일신관, 선신(아후라 마즈다)과 악신(아리만) 간의 경쟁과 투쟁→선신이 우주 통괄, 니체(조로아스터를 이성적 분신으로 간주, 대지의 주인, 인류의 미래를 이끌 지도자로 추앙), 석류의 원산지 시르쿠흐(사자산, 생명의 과일, 지혜의 과일, 다산 상징, 8세기경 한반도 전래)

5. 이스파한. 이란의 진주, 세계의 절반
이맘 광장(낙쉐자한, 세계의 그림, 열린 박물관, 폴로 경기장), 폴로(콘스탄티노플을 통해 서유럽으로, 동으로는 격구라는 이름으로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파급, 세종대 격구장 30개 설치, 경국대전에 경기장규모, 경기방법 설명), 자미아 사원 천장 꾸밈새(귀접이식 천장, 말각조정, 서아시아, 중앙아시아를 거쳐 고구려까지 동전, 중국 극히 형식적, 일본 도입X)

6. 테헤란. 이란의 수도, 수도로서의 역사 200년
팔레비 왕조(1925년), 중동 최초 석유 채굴, 1979년 이슬람혁명(친서방 팔레비왕조 축출), 혁명후 친정일치 정치체제, 테헤란의 서울 거리(3km)와 서울의 테헤란 거리(4km), 유리박물관(신라고분 출토 로만글라스와 유사), 봉수유리병과 유리잔(경주 황남대총 봉수병과 흡사), 골레스탄 궁(궁수의 활쏘는 형상, 고구려 무용총 벽화 수렵도 흡사), 아자디탑(자유의 탑, 테헤란의 상징물)

7. 타브리즈. 이란 아제르바이잔 주 주도, 제2의 도시
3세기 아르메니아 왕국의 도읍, 13세기 일 칸국의 수도, 아르메니아 교회 수도원(성 타데우스, 성 스테파노스 수도원, 조르조르 예배당), 각배와 봉수유리병(한반도와의 교류 시사), 카라반 사라이(숙소)

8. 다마스쿠스. 시리아의 수도
우마야드 사원(이슬람 네 번째 성소, 아랍 모자이크 예술의 백미, 이슬람의 관용에 바탕을 둔 기독교와의 공존 현장, 아람인의 하다드(비와 땅 주관 신) 신전→로마시대 주피터신전→비잔틴 세례요한 교회→이슬람 우마야드), 살라딘의 영묘(동서양 모든 이들에게 위인으로 추앙 받는 인물), 아나니안 교회(사도 바울에 의한 눈이 밝아진 아나니안의 그림), 사도 바울의 성화, 살라딘 광장(동상, 아이유브왕조, 이슬람의 영웅)

9. 페트라. 바위란 뜻, 요르단 중부 와디 무사 분지에 위치
기원전 13세기 에돔 왕국, 기원전 3세기 나바테아인들의 페트라 왕국, 왕의 길(아라비아 반도 홍해 동안~페트라~다마스쿠스~팔미라), 가즈네 보물고(바위산을 통째로 깍아 만든 페트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코린트식 건축물), 바위산을 깍아 만든 원형극장(6000여명 수용, 45단의 계단식 관중석)

10. 팔미라. 시리아 사막 한가운데 오아시스 도시
실크로드(중국 한나라 비단 즉, 한금 발견지를 이은 길, 독일의 지리학자 리흐트호펜), 실크로드 개념 1단계 중국~인도, 팔미라 부근(아르타만 탑묘(무덤골짜기의 탑묘군)의 시신을 감싼 수의)에서도 발견, 개념 2단계 중국~팔미라 노선 오아시스로, 팔미라 관세표(교역품 명세, 가격, 관세율 파악), 팔미라 열주도로(너비 11m, 길이 1,100m, 높이 9.5m의 코린트식 석주 750개)

11.우가리트. 밭이란 뜻, 알파벳의 고장, 기원전 2000~기원전 12세기까지 존속한 도시국가
1928년 발견, 우가리트 알파벳 점토판 문서(30개의 자모체계, 알파벳(평등과 민주주의 촉발제)

12. 하란과 산르우르파.
하란(로마시대 최초의 대학이 있던 곳, 가장 오래된 주거지), 산르우르파(에데사)는 동방 기독교의 본거지, 예언자의 도시, 아브라함이 태어난 곳(이슬람), 기독교가 국가 종교로 첫 공인을 얻은 곳(에데사, 기독교), 아브라함 사원과 아브라함 못, 괴베클리 테페(테페는 주거의 부서진 흙더미가 퇴적하여 이룩된 인위적인 언덕이란 뜻)

13. 앙카라. 터키공화국의 수도
아나톨리아 문명의 구심점(해가 뜨는 곳, 동방이란 뜻, 인류 최초의 동서 융합문명), 왕의 길(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가 수사와 아나톨리아의 사르디스 사이에 개통한 첫 오아시스로 2,475km), 하맘(로마시대 야외 목욕탕), 6.25 전쟁 참전 기념탑(1971년 자매결연 서울과 앙카라)

14. 카파도키아. 아름다운 말이 있는 곳이란 뜻
1961년 잃어버린 양을 찾다가 어린 목동이 우연히 발견, 세계8대 불가사의 중 하나, 지하도시 150여개 발견, 인구 6만 수용 가능한 지하도시도 있음, 1500여개의 바위교회(괴레메 마을 13개 바위교회), 데린쿠유 지하도시(깊은 웅덩이란 뜻, 인공굴, 6만명 수용, 거주공간, 수로, 학교, 교회, 공기정화 통풍구, 방어시설)

15. 이스탄불. 1528년간 로마, 비잔틴, 오스만 3대 제국의 수도
인류문명의 거대한 노천박물관, 동서문명의 장엄한 접합지, 오벨리스크(이집트의 신전에서 옮겨놈), 뱀기둥(그리스의 신전에서 옮겨놈),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8만여점 유물), 성 소피아 성당(하기아 소피아, 아야 소피아, 비잔틴 건축의 백미, 이스탄불의 상징 916년간(537~1453) 기독교의 성당, 481년간(1456~1934) 이슬람 사원으로 사용), 토프카프 궁전

16. 로마. 도시로서의 로마, 국가로서의 로마
실크로드 오아시스로나 해로의 서단(중국의 비단이 서쪽으로 가장 먼 로마까지 전래), 로만글라스의 경주 출토(로마와 신라간의 유리의 길이란 문명교류 통로), 아피아 구가도(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도), 판테온(모든 신들의 신전, 석굴암 천장 돔과 판테온 천장 돔은 닮은 꼴, 신라와 로마의 문명교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