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시베리아
16세기초반 카잔 등 몇개 칸국 강점, 1581년 코사크 모험가 예르마크 탐험대가 오비강을 넘어 이르티시강 유역의 시비르 칸국 공략하고 이반4세에게 바쳤다.
그후 우랄산맥 동쪽의 광활한 초원지대를 시베리아라 불렀다.
1. 블라디보스톡. 한민족 정통국가 발해의 지배영역
러시아어로 동방정복, 러시아의 동진을 반영한 근대 도시, 1856년 태평양 진출을 위한 군항,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시발점, 청나라의 길림부도통에 속했으나 1860년 베이징조약으로 우수리강 이동지역을 러시아에 내줌. 한인 이주(1863년 함경북도 13호 농가가 노브고로드만에 이주가 효시). 니콜라예프카, 고르바트카, 노보고르데예프카 등 발해성터에서 8~10세기 온돌 등 발해유물 출토.
사마르칸트~치타~발해상경~연해주: 제2동아시아 교역로, 즉 초피로(담비로)=발해의 5대 국제로 중 거란도와 일치.
블라디보스톡 항구, 스체클라누하, 니콜라예프카 발해성터, 소그드 은화(8세기경 사마르칸트=소그디아나 에서 주조(발해와 교역)
2. 하바롭스크
아무르강=헤이룽강(흑룡강)=흑수, 5498km, 세계에서 열번째 긴강, 흑수말갈(발해 무왕의 흑수말갈 정복),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선,
김 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 아무르 강변에서 총살,
트로이츠코예 유적(19기의 발해고분, 토기 100여점),
사카치 알리안 신석기 바위그림 와권문(소용돌이 물결무늬)=반구대, 천전리 문양,
김알렉산드라 처형지, 무라비요프(아이훈조약, 베이징조약, 연해주 편입)
3. 울란우데. 붉다=울란, 강=우다, 붉은 강
부랴트 공화국 수도,
미국 에모리대학 연구소 자료, 부랴트인=야쿠트인=아메리카인디언=한국인 DNA 거의 일치, 한민족 문화와 매우 유사,
씨름, 샤먼 굿=무당 굿거리, 강강술래, 담뱃대
4. 이르쿠츠크. 데카브리스트, 시베리아의 파리
1615년 카자크 기병의 기지촌으로 시작.
즈나멘스키 수도원(동시베리아 정교회 본산), 알렉산드로스3세(1891년 시베리아횡단철도 공사 시작 칙령), 데카브리스트(1825년12월 러시아 근대혁명을 일으킨 청년혁명가들 지칭) 박물관.
5. 바이칼. 시베리아의 진주, 시베리아의 파란 눈.
큰=바이, 물=칼 의 합성어, 타타르어 바이쿨(풍유로운 호수)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음
길이 636km, 폭 20~80km, 둘레 2000km, 최고수심 1630m, 세계에서 젤 깊은 호수, 전세계 담수량의 20%, 336개의 하천이 흘러 들어오지만 나가는 강은 안가라강 하나,
숱한 인종의 본향, 다양한 문화를 융합시킨 허브,
비너스상 유물 3점출토, 부르칸산의 세르게(샤머니즘의 메카 올혼섬, 불함문화의 모태)
6. 노보시피리스크. 새로운 시베리아라는 뜻.
러시아 철도운송의 심장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만주횡단철도(TMR), 몽골횡단철도(TMGR), 투르크-시베리아철도,
민영환의 해천추범(시베리아횡단 여행기)
7. 예카테린부르크.
1721년 러시아 시베리사진출 전초기지, 예카테리나1세
우랄산맥(아시아와 유럽의 분계선, 44개의 경계탑),
우랄=돌로 이루어진 경계 라는 뜻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 18세기 아시아-유럭 경계이론 창시자 러시아인 타치셰프
우랄산맥~우랄강~카스피해~흑해~보스포루스해협,
수자원 원천, 식물분포가 다르다는 자연지리적 조건.
로마노프 성당(피의성당), 니콜라이2세 일가 처형지.
8. 모스크바.
모스크바의 어원, 습지, 밀림, 석장들의 성채, 소 건너는 목 등 여러가지설이 있음.
가장 높은곳 참새산,레닌산, 참새산, 참새가 많이 모여든다.
붉은광장(크라시나야, 모든 아름다운 것이란 슬라브어)
크렘린궁(성벽이란 뜻), 성모승천성당(우스펜스키 성당), 성모수태성당, 천사성당, 성 바실리성당
9. 상트페테르부르크. 성스러운 돌의 도시 라는 뜻.
별칭. 유럽을 향한 창(푸쉬킨), 북쪽의 베네치아, 물의 도시, 백야의 도시, 혁명의 도시
성 이삭성당, 250 개의 박물관,
에르미타주 박물관, 은둔하는 곳, 세계3대박물관중1,
작품수 300만점, 1분씩 감상하면 5년 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