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145p) 보스턴 찰스 강변을 달리는 하버드 여대생과 저자와의 비교가 인상적이다. 하버드 여대생들은 추월하는데 익숙하고 추월당하는 것에 길들여져 있지 않다. 하루키는 지는 일에 길들여져 있다.
🧚‍♂️🧚 그녀들은 천하의 하버드 대학의 반짝반짝 빛나는 새내기들이니까(146p)


이른 아침 찰스 강변을내 페이스로 달리고 있노라면, 하버드의 신입생처럼 보이는 여자애들에게 점점 추월당한다. 그녀들 대부분은 날씬하게 마른작은 몸집에, 하버드의 로고가 붙은 붉은 벽돌 셔츠를 입고 있다. 금발을 포니테일긴 머리를 뒷머리 위쪽에서 하나로 묶은 스타일로 묶고,
신제품의 아이팟을 들으면서, 바람을 가르듯 일직선으로 도로를달려간다. 거기에서는 틀림없이 알지 못할 공격적이고 도전적인것이 느껴진다. 사람들을 차례로 추월해가는 것에 그녀들은 익숙해져 있는 듯하다.
추월을 당하는 것에는 아마도 길들여져 있지 않을 것이다. 그녀들은 한눈에 봐도 우수하고 건강하고 매력적이고 진지하며, 그리고 자신에 대한 확신에 차 있다. 
그녀들의 달리기는, 많은 경우 아무리 봐도, 장거리에 
적절한 주법은 아니다. 
전형적인 중거리 러너의 주법이다. 보폭은 크고, 발차기는 예리하고 강하다.
주변의 풍경을 보면서 느긋하게 달리는 것은 아마도 그녀들의 정신 상태에는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그에 비하면 나는 내 자랑을 하는 건 아니지만, 지는 일에 길들여져 있다. 세상에는 내 능력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이 산만큼있고, 아무리 해도 이길 수 없는 상대가 산더미처럼 있다. 그러나 아마도 그녀들은 아직 그런 아픔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당연한 일이지만 그런 것을 지금부터 굳이 알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녀들의 유유히 흔들리는 자랑스러운 포니테일과 호리호리한 호전적인 다리를 쳐다보면서 나는 하릴없이 그런 생각을 한다. 그리고 페이스를 지키면서 느긋하게 강변도로를 달린다.
나의 인생에도 그런 빛나는 날들이 존재했었을까? 그렇다, 조금은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약 그때 내가 긴 포니테일을갖고 있었다 해도 그것은 그녀들의 포니테일만큼 자랑스럽게 흔들리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장식의 백화점: 팜플로나 시청

🦬 팜플로나, 산 페르민 축제. 헤밍웨이의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에 소개되면서 유명해졌다 한다.

🍆팜플로나 시청
1층 도리아식, 2층 이오니아식, 3층 코린트식 으로 주두를 다르게 조각했다 한다.(그리스 미술 양식)

ㅇ도리아식: http://naver.me/GGhYOcr4
ㅇ이오니아식: http://naver.me/5Czi9L0k
ㅇ코린트식: http://naver.me/Fa3lGy7j
ㅇ주두: http://naver.me/GZABcQyg

(e북 24.1)
팜플로나를 세계적으로 알린 것은 산 페르민 축제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소몰이다. 헤밍웨이의 소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에 소개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평소 투우, 권투, 사냥을 즐겼던 헤밍웨이는 죽음을 불사하며 황소와 달리는 소몰이에서남성적인 에너지를 느꼈다. 매년 7월 6일 오전 여덟시, 시청 서북쪽 나바라 박물관 앞에서 소몰이가 시작돼 시청을 가로지르고서 에스타페타 estafeta, 우체국 거리를 ㄱ자로 관통해 남쪽의 투우장으로 달려간다. 그리고 투우가 시작된다.

매년 7월 6일부터 14일까지 8일 동안 광란의 질주가 도시 한복판을 가로지른다. 전통복장을 한 소몰이꾼들이 황소의 뿔 앞에서 달린다. 황소의 날카로운 뿔과 최대한 가까운거리에서 달리는 것을 그들은 명예스럽게 생각한다.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있는 그들의 행위가 만용인지 미친 짓인지 알 수 없을 정도다.

💒 세바퀴. 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 산타 마리아 데 에우나테 성당

(e북26.1)

무루사발을 빠져나오자 더 넓은 포도밭이 펼쳐졌다. 남쪽으로 2km 떨어진 포도밭에산타 마리아 데 에우나테 Santa Maria de Eurnate 성당이 있다. 이곳은 프랑스 남부 아를에서출발한 순례자들이 피레네산맥을 넘어 푸엔테 라 레이나ruente la Rein 로 들어가는 길목이다.
불교 사리탑에서 익숙하게 보는 팔각형 모양의 성당을 팔각의 석주가 두르고 있다. 불교에서 팔각은 살아가면서 괴로움을 끊어내고 자비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 교리인 팔정도를 상징한다. 기독교에서 팔각은 원에 가까운 도형으로 일주일이 끝나고 새롭게 시작하는 날을 의미한다. 신에 의해 새롭게 대어나는 ‘8‘ 이라는 숫자는 기독교 세계관에서순환과 부활을 의미했다. 12세기 기사단에 의해 세워진 이 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석주가 팔각형의 성당을 호위하듯 감싸고 있다.

ㅇ 중세 묘지를 팔각형으로 지은 까닭: 원에 제일 가까운 기하학, 원은 완전체로 불멸의 💕 사랑과 부활을 의미

ㅇ로마네스크양식: http://naver.me/x7vBVrBK
ㅇ나바라 왕국: http://naver.me/xScXtgY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월 한여름의 그리스 아테네에서 마라톤까지 42킬로를 달리는 하루키.
탄탄하게 균형잡힌 몸매 멋있네 👍 👍
근디, 머리가 좀 커보이네. 대두 형인가?

아테네에서 마라톤으로 이어지는 마라톤 가도를 달리며 🐕 세마리, 🐱 열한마리의 사체를 본다ㅠㅠ

(97p) 사진

(102p) 40킬로를 넘어선다. ˝이제 2킬로 남았어요˝ 차에서 편집자가 밝은 목소리로 말을 걸어온다. ˝말로 하는건 쉽지˝ 라고 대꾸하고 십지만 생각뿐 목소리는 나오지 않는다.

(103p)
마라톤은 작고 친절한 마을이다.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마을이다. 이런곳에서 수천 년 전에 그리스 군이 처절한 전쟁 끝에 페르시아의원정군을 매수진을 지고 물리쳤다니 도저히 상상이 가지 않는다. 마라톤 마을의 아침 카페에서 나는 마음이 내키는 대로 찬암스텔 비어를 마신다. 맥주는 물론 맛있다. 그러나 현실의 맥주는 달리면서 절실하게 상상했던 맥주만큼 맛있지는 않다. 제정신을 잃은 인간이 품는 환상만큼 아름다운 것은 현실 세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104-105p) 사진

ㅇ하루키 소요시간 3시간15분

(106p)더 이상 한발짝도 달릴 필요가 없다. 뭐라고 해도 그것이 가장 기쁘다. 아아, 이제 더이상 달리지 않아도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1페이지)

어제로 8월이 끝났다. 이 한 달 동안 (31일간) 달린 거리를 계산하면 전부 350킬로가 된다.

6월 260 킬로(주당 60킬로)
7월 310 킬로(주당 70킬로)
8월 350 킬로(주당 80킬로)

목표는 11월 6일에 개최되는 뉴욕 시티 마라톤 대회,
그것을 위한 조정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모든 일이 대체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레이스 5개월 전부터 계획적으로연습을 시작해서, 단계적으로 달리는 거리를 늘려왔기
때문이다.

🏃🏃‍♀️ 하루키씨 열심히 달리네 하루에 대략10킬로

🚶‍♂️🚶 내가 혈압이 높아 열심히 걸을 때가 있었다. 18,19년도. 18년도에 한달에 적게는 300킬로 많게는 500킬로 이상. 등산도 100킬로에서 200킬로를 했었는데. 걸음수로 따지면 6,7십만보. 지금도 혈압이 높아 운동을 열심히 해야하는 데 너무 🦀을러졌다. ㅠㅠ. 꾸준히 운동하자 다짐해본다.

목표는 .... 혈압강하!

근육은 붙기 어렵고 빠지기는 쉽다. 군살은 붙기 쉽고 빠지기는 어렵다.(83p)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공 2021-09-03 23: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와. 여름에도 꾸준히 달리셨군요!!!
다시 선선한 바람이 불어 저도 다시 달릴까합니다. 자극받고 갑니다^^

대장정 2021-09-03 23:37   좋아요 0 | URL
ㅎㅎ하루키씨가 여름에도 열심히 달리셨구요. 음, 저는 달리기는 지양하고 걷기, 등산을 지향합니다.^^**

청공 2021-09-03 23: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하 책에 나온 내용였나요? ㅎ
걷기.등산파시군요. 달리기를 말할때~요책 넘 좋죠?

대장정 2021-09-03 23:41   좋아요 1 | URL
네, 그렇습니다. 하루키 책이 은근 중독성이 있더라구요. 편안한밤 되세요
 

도둑들의 다리 🦵🌉 라라소아냐
부르게테: 헤밍웨이가 팜플로나의 번잡함을 피해 집필하던곳.

e북 21.1
숲길을 벗어나 신작로에 들어서자 저만치 부르게테 Burguete의 불빛이 안개 속에 흔들렸다. 부르게테는 헤밍웨이가 팜플로나의 번잡함을 피해 집필을 하던 곳이다. 헤밍웨이가미사를 드렸을 산 니콜라스 데 바리 san Nicolas de Bari 성당이 듬직하게 자리 잡고 있다. 론세스바예스가 피레네산맥의 공식적 첫 마을이지만 주민이 살고 있는 세속적 첫 마을은부르게테다.
부르게테를 지나 가로수 길을 빠져나오니 저만치 에스피날 Espinal이 보였다. 에스피날은 1269년 나바라 왕 테오발도 2세reobaldo 1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중세의 흔적은 거의남아 있지 않다. 1961년 신축된 산 바르톨로메 San Bartolome 성당은 뾰족지붕을 얹고 있다. 성당 오른쪽으로 고색창연한 탑은 종탑이 아니라 증세 비석이다. 밋밋하게 쌓아올린비석은 거의 십여 미터에 이른다. 세월에 더께가 내려앉은 벽에는 둥근 시계가 걸려 있고 꼭대기에는 철 십자가가 박혀 있다. 13세기에서 18세기까지 비석들이 세워졌다고 전해지지만 오늘 하나만 남아 있다. 이 비석은 죽은 사람이 천국으로 오르는 사다리였다.

e북 21.3
수비리에서 5km 거리에 수비리를 꼭 닮은 라라소아냐 Larrasoaia가 나타났다. 두 개의 아치로 이루어진 14세기 다리는 중세 도둑들이 들끓어 도둑들의 다리로 불렸다. 다리를건너 11세기 상업 도시로 번창했던 라라소아냐의 동사무소 앞으로 다가서자 이 마을 소녀들이 전통춤을 추며 반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