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순신의 나라 2
임영대 지음 / 새파란상상(파란미디어) / 2015년 10월
평점 :
거병한 이순신의 앞날은 명약관화하다. 성공하면 권력을 잡고, 실패하면 역적으로 능지처참을 당할 뿐. 썩어빠진 조정을 갈아엎고 선조를 상왕으로 몰아낸 후 세자를 보위에 올린다는 이순신의 공언. 진정 권력에 욕심이 없기에 가능한 순진한 발상. 조정 측도 그를 따르는 부하장수들도 이를 믿지 못한다. 권력은 나눌 수 없다. 새 군주에게 권력을 돌려주면 이순신 일파가 위험에 빠지고, 이순신이 계속 권력을 지니고 있으면 필연코 군주와 반목할 수밖에 없다.
마포나루 전투에서 관군을 격파한 이순신 군은 도성에 입성하고 선조는 또다시 급거 피난길에 오른다. 임진강이 막히자 임진년과 달리 함경도로 발길을 돌리는 임금, 그리고 이를 추격하는 반군. 거사의 성공 여부는 언제 어디서 임금 일행의 신병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 시점에서 작가는 고민을 했을 것이다. 자체로 진압할 군사력이 부족하여 왜란에는 명나라에 원병을 요청한 정권, 내란에는 누구에게 손을 벌릴 것인가? 뜻밖에 야인, 즉 여진족을 등장시킨다.
왕조 초기부터 북쪽 국경지역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여 온 여진족. 내부의 적을 제압하기 위해 외부의 적을 끌어들이는 무리수를 감행한 임금. 한줌의 자존심도, 민족과 국격의 일말의 자부심도, 당연하지만 백성의 고달픔에 대한 눈꼽만큼의 인식도 정권 유지를 위해서는 깡그리 외면 받는다. 그리고 이것이 반군의 세력을 오히려 강화하고 이순신의 분노를 더욱 깊게 하는 촉매 역할을 하고 만다. 작가로서는 당연한 수순이다. 이순신이 주도하는 새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선조 일당은 패망해야 한다. 정도가 문제될 뿐이다.
작가는 불가피하지만 다소간 무리한 두 가지 선택을 한다. 먼저 야인들로 하여금 선조와 세자, 그리고 주요 종친을 살해하도록 함으로써 이순신 집권의 최대 난제를 자연스레 해결하게끔 한다. 도덕적, 윤리적 명분을 잃지 않고 내홍의 근원을 제거하며 동시에 이순신의 집권과 개혁의 정당성을 두드러지게 만든다.
반군 세력은 일종의 연합군이다. 수군의 이순신과 육군의 배설. 반군 측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훗날의 목표와 방법론으로 갈등의 개연성은 충분하다. 배설을 페이스메이커 역할에 불과하다. 주인공을 빛내기 위해 적절한 시점에서 무대에서 퇴장해야 하지만 명분과 수단이 훼손돼서는 안 된다. 역시 야인의 손이 적당하다. 나라와 백성의 원수인 이 여진족 군을 함흥 회전에서 격파하여 명분과 실체를 모두 확보하는 대목은 비록 작위적인 설정이지만, 어차피 이 소설 자체가 그러한 법 아니겠는가.
배설이, 이원익을 필두로 한 이항복, 이덕형 등의 명신이 이순신을 선택하고 지지한 이유는 분명하다. 자신의 안위와 권력에만 급급한 임금이 아니라 백성을 진정으로 아끼고 그들의 삶을 평안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고 믿어서다. 배설의 처절한 유언이 절절하게 표현하고 있듯이 말이다. 그리고 이순신이 개창한 새 나라는 분명 이를 구현할 것이다. 이순신 생존 시는 물론 잘하면 아들과 손자때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 선조와 인조처럼 혼군(昏君)이 왕위에 있을 때 왜란과 호란이 발발하였음을 기억하라. 왕조 정치의 단점은 임금이 모두 성군일 수 없다는 데 있다. 법과 제도가 아니라 인물 개인에 의존하는 한 역사는 반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