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만한 제국 ㅣ 당대총서 14
하워드 진 지음, 이아정 옮김 / 당대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미국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통렬한 비판]
미국인들의 특징 중 하나는 자신의 국가에 대한 거의 맹목적이다시피 한 자부심과 충성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독립선언서와 헌법, 그리고 투철한 민주주의 역사에 대한 끝없는 사랑을 누누이 드러낸다. 미국은 아마도 지구상에서 유토피아에 가장 가까운 국가라고 믿는게 아닐까.
그런 미국과 미국인들에게 통렬한 일침을 가하는 소수의 사람들이 하워드 진과 노엄 촘스키다. 하워드는 『미국민중사』의 저자인 역사학자답게 미국제국의 감쳐진 일면, 권력자들이 숨기고 싶어하는 은밀한 부위를 낱낱이 까발린다. 솔직히 이렇게 하고도 무사할까 싶을 정도다.
그의 분석은 전방위적이다. 외교와 전쟁, 사법 및 경제제도, 언론과 정치체제, 이데올로기 등. 이 모든 것이 하나로 귀결된다. 미국을 지배하는 세력은 백인계 남성 부유층들이다. 그들이 미국을 건국하였고 오늘날까지 자신의 이해에 맞게 지배하고 있다. 그들의 방벽은 철옹성이고 민주주의는 철갑옷이다.
여기서 다시 한번 소위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Founding Fathers)’이 얼마나 주모면밀하게 초기 미국의 정치사회시스템을 설계했는지 감탄하게 된다. 그들은 헌법을 설계하면서 자유,생명,행복의 보장 대신에 자유,생명,재산을 집어넣었다. 그것은 참으로 교묘하면서 절로 감탄이 나오게 하는 조치였다. 이 단어 하나로써 기존의 경제적 불평등을 영구히 고착화시키는게 가능하였다. 그리고 재산으로서의 노예를 자연스럽게 인정하여 노예제도를 합리화시켰다.
다수의 힘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고안한 제도가 대의제이고, 안정된 사회를 뒤흔들려는 불순세력을 징벌하기 위하여 사법제도가 편성되었다. 언론의 자유는 보장(?)하지만 정부의 이익에 위배되면 당연히 처벌감이다. 언론매체의 소유주가 부유한 기득권층인데, 어디 감히 체제비판이 허용되겠는가.
다시 한번 상기한다. 링컨이 선언한 것은 노예해방이었지, 인종평등은 아니었다. 법적으로 노예가 아니었을뿐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노예상태를 강요받은 결과, 여전히 다수의 흑인들은 빈민굴을 전전하고 가난과 무지를 세습하고 있다. 하물며 인디언에 대해서는 언급할 것조차 없다.
한마디로 이 책은 미국에 대한 무자비한 비판서이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런 책이 자유로이 출판되고 마음껏 정부와 권력층을 비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여유. 오히려 이것이 미국의 진정한 힘의 근원이 아닐까 싶다. 한가닥 언로를 열어놓음으로써 체제가 폭발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만들어 놓는 섬뜩한 이데올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