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겅호!
켄 블랜차드,셀든 보울즈 지음, 조천제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로 해당 분야에서는 꽤 유명한 책이다. 많지 않은 분량이라 잠시 짬을 내어 훑어 보았다.
겅호(工和)는 일종의 구호다. 예전에 이면우 교수가 W이론을 주창하면서, 신바람나는 직장만들기를 언급한 적이 있었다. 바로 겅호가 신바람나는 직장, 보람있는 회사를 만들기 위한 구호이다.
책의 핵심 내용은 간명하다. 다람쥐의 정신, 비버의 방식, 기러기의 선물.
다람쥐의 정신은 직원들이 자신들이 하는 일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내가 하는 일이 어떤 의의와 가치있는 결과를 올바로 인식한다면, 업무에 임하는 태도는 달라질 것이다.
비버의 방식은 직원들이 업무에 대한 자율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단지 시키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고, 본인의 일에 대하여는 권한과 자율을 위임받을 때, 책임의식도 높아지게 된다. 업무에 대한 자세가 능동적이 됨은 당연하다.
기러기의 선물은 경영자와 직원, 직원 상호간에 서로를 격려하고 칭찬하는 것이다. 이 부분은 저자의 후작인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등장한다. 부정적인 피드백보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이 훨씬 바람직하다는 주장은 재론하기에는 입이 아프다.
이렇게 단순한 지혜를 아는 것과 실제 기업에 적용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일대 베스트셀러이지만, 많은 적용이 이루어졌다는 말은 별로 없다. 너무나 자명해서 그럴까. 아니면 이미 그렇게 하고 있어서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인간관은 소위 Y이론에 가깝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업은 여전히 X이론을 선호한다. 그래야만 경영층에서 감독과 통제를 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고, 상대적 우월감을 향유할 수 있다. 양치기가 채찍과 개로 많은 양들을 이리저리 몰고 다니는 것처럼. 가끔씩 털을 깎으며, 시원찮은 양은 도살하여 고기로 팔고 그 자리는 새로운 양으로 대체한다.
인간사에 진리가 없어서, 도덕론이 부재하여 모두가 善人이 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성경은 2,000여년 전에, 불경은 그야말로 수천년 전부터 도덕을 설파하였다. 여전히 현대사회는 혼란과 패륜이 난무하고 있다. 경영학 관련 서적들도 마찬가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