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자병법으로 돌파한다 1
박재희 지음 / 문예당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동양고전과 현대적 변용]
사이버강의 교재겸 참고도서로 증정받았다. 하긴 나같은 사람이라면 절대로 돈주고 사보지는 않을 것이다. 내용자체가 소위 후지다는 측면이 아니라, 차라리 원전을 보겠다는 말이다.
<손자병법>을 현대 경영활동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가가 이 책의 주안점이다. 전에 읽은 <빅토리>와도 연계된다고 하겠다. '손자병법'을 모르는 한국인은 별로 없을 것이다. 소설로도 윤색되어 화제작이 되었던 화려한 전력이 있는 동양의 고전이며, 동시에 서양에서도 열렬히 환호받은 군사교재이다.
1권에서는 전체 중 시계편, 작전편, 모공편, 군형편, 병세편을 다루고 있다. 손자는 결코 호전론자가 아니었다고 한다. 전쟁을 문제해결의 우선수단이 아니라 최후수단으로 간주했다는 것. 그리고 싸우지않고 이기는 것을 최선으로 여겼다는 점 등이 무척이나 흥미롭다.
전쟁을 준비하고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치밀하고도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경영도 마찬가지다. 사전에 철저히 계산하고 준비하며, 치밀한 전략의 바탕에 조직을 편제하고, 조직원의 사기를 진작하라는 손자의 주의는 과거나 현재나 여전히 유효적절하다.
조직의 리더라면 감정에 휩싸여서 전략없이 무질서하게 조직원과 유리된채 독단적으로 조직을 이끄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많은 리더들이 그리함을 볼 때, 당위론의 한계가 엿보인다. 즉 따르고 안 따르고는 마음대로이다.
동양고전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일은 지극히 자연스러우며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것이 대부분 처세와 경영적 관점에 치우쳐 있다는게 위험스러울 뿐이다. <손자병법>의 태생상 어찌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논어><노자> 등에서 편리한 부분을 발췌하여 재구성한다면, 과연 원전을 모르는 사람들은 참으로 고전으로 마음속 깊이 새기게 될런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