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 일본 근현대 정신의 뿌리, 요시다 쇼인과 쇼카손주쿠의 학생들
김세진 지음 / 호밀밭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시다 쇼인(1830-1859)은 서른에 죽었다. 조슈번 하기에서 태어났고 어렸을 때부터 천재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똑똑했다. 젊은 시절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며 지식인들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다. 허가증 없이 부단으로 동북지방을 탐방했고, 사무라이 신분을 박탕당하고도 조슈번 주에게 다양한 건의사항을 올렸고, 미국 페리함대(1853년)에 접근해 밀항을 시도했다. 그 죄로 감옥에 갇혔다.
쇼인은 존왕양이 운동과 에도막부 타도 운동의 정신적 지주였다. 천황은 종교제사를 수행하는 존재였으나 메이지유신을 기점으로 신격화되어 절대권력을 갖게 됐다. 천황의 존재근거는 8세기경 만들어진 일본의 서적인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담겨있다.
1192년 권력을 쥔 사무라이 집단은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천황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했다. 사무라이 집단의 논리는 '일본은 신이 만들고, 신이 다스리는 나라다. 그 신(천황)을 대신해 사무라이 집단이 정치를 담당한다.'
사무라이 집단인 에도막부는 개항을 요구하는 서양 세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국체를 지키자는 내용의 미토학은, 젊은 지사들의 목소리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 나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에도막부를 없애야한다고 주장했다.
쇼인은 250년 넘게 안정적으로 이어져 온 사무라이 체제를 완전히 부정했다.
쇼인의 한반도 정벌론, 소위 말하는 정한론은 고사기를 근거로 한다. 고사기는 정한론의 원형이다. 일본 역사학자 대다수는 고사기는 사실적인 근거가 없는 '신화'에 불과하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일본의 우익정치세력과 그에 동조하는 사람들에게는 사상적 기반이 되는 문헌이다.
일본은 신의 나라다라는 선민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며, 시마네 현으로 편입시키고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시마네 현의 초대 현령인 사이토 에조는 쇼인의 제자, 쇼카손주쿠 학생이었다. 그는 퇴직 이후의 여생을 요시다 쇼인의 유산과 쇼카손주쿠를 보존하는 주요 인물이었다.
쇼인의 침략론, 정한론, 그리고 다케시마 개척론은 쇼카손주쿠의 학생으로 총리까지 오른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일본 군국주의의 이론이 되는 탈아론과 대동아공영론에도 영향을 주며, 일본의 지도자들이 제국주의적 통치를 발전시키는데 밑거름이 됐다. 그가 조선, 만주, 훗카이도, 캄차카(러시아),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 호주에 걸쳐 그렸떤 일본의 '큰 그림'이 1940년대 태평양전쟁에서 잠시나마 완성된 것은 놀라운 일이다.
쇼인은 가는 곳 어디든 학교로 만들어버릴 만큼 재능과 열정이 있었다. 현대 일본은 도쿄와 하기에 있는 두 개의 쇼인신사에서 쇼인을 숭배한다. 감옥의 죄수와 간수들까지도 감화시키고 교육했던 쇼인을 학문의 신으로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