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엽을 감아줘! 창체독 시리즈
이성엽 지음, 김준영 그림, 갈진영 기획 / 부카주니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깨비 마을의 태양을 태엽으로 감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문하는 독서의 힘 - 토론을 위한 논제 만들기
김민영 외 지음 / 북바이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토론을 위한 논제가 뭐지? 간단히 말하면 질문이다. 제대로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가이드가 필요하다. 

크게 자유 논제와 선택 논제로 나눌 수 있다. 

자유 논제는  발췌문과 함께 생각을 묻는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어떻게 다가왔나요? 어떻게 읽으셨나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선택 논제는 공감한다/공감하기 어렵다, 찬성/반대, 한다/ 한담 선택하게 하는 질문이다.


부록에 어린이, 청소년, 성인(소설/비소설) 논제에 대한 충분한 예시가 있어, 논제 만들기 가이드로 손색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인어들 - 전설 신화 속 신비한 인어를 찾아서 고래동화마을 11
차율이 지음, 가지 그림 / 고래가숨쉬는도서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어와 바다를 사랑하는 작가가 쓴 고마운 책.

전래 동화, 설화에 이렇게 인어 이야기가 많은지 몰랐다.


1. 어우야담, 김빙령과 인어

강원도 흡곡 현령 김빙령이 어망에 걸린 아이 인어 여섯 마리를 발견한다. 어부를 설득해 모두 풀어준다.


2. 거문도, 신지께가 된 은갈치

천년 묵은 은갈치는 뭍에서 살고 싶어 고두리(고등어) 영감과 용왕을 찾아간다. 100년처럼 인간처럼 먹고 자고 똑같이 행동하면 인간으로 변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50년 동안 은갈치는 노력하지만, 위기를 맞아 눈을 뜨고 잔다. 그러자 물고기도 아니고 인간도 아닌 상태로 살게 된다. 태풍이 오면 어부들에게 도움을 주자 어부들은 은갈치를 신지께, 신지끼, 흔지끼라 부르게 되었다.


3. 도초도, 인어를 구한 명씨

명씨는 오십이 넘도록 장가를 못 갔다. 어선에 잡힌 인어를 보고 마음이 아파 전 제산을 털어 인어를 구한다. 그러자 인어는 은혜를 갚기 위해서인지 명씨에게 아이를 선물한다. 명씨 아들은 심성이 곱고 반듯한 어른으로 자라 훗날 도승지 벼슬까지 했다.


4. 부산, 동백섬 인어 공주 황옥

동백섬에 하늘에서 황금 상자가 내려와 황금알 하나가 있었다. 알에서 은혜왕이 나온다. 은혜왕의 왕비로 나란다 나라의 공주 황옥이 온다. 황옥은 인어였다.  황옥 왕비는 매월 보름달이 되면 황옥 구슬로 인어로 변했다. 


5. 해동역사, 고구려 여인 인어

사도라는 남자가 고구려에 가고 있었는데 섬에 머무르게 된다. 모래밭에 인어를 발견한다. 인어가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돕는다.


6. 울산, 춘도의 인어 공주

마음씨 착한 청년 어부는 그물에 걸린 인어를 구해주었는데 마을 사람들의 미움을 산다. 구해준 인어는 동해 용왕의 딸이었다. 인어 공주는 청년과 결혼하기로 마음 먹는다. 다른 어부들이 무서워 용왕에게 작은 섬 하나를 만들어달라고 부탁한다.

인어공주와 청년은 작은 섬에서 행복하게 산다.


7. 제주, 굼둘애기물의 인어

귀덕 앞바다에 귀여운 인어가 가오리에 물리자 인간들이 사는 마을의 용천수에서 목욕을 하자 치료가 되었다. 인간들은 인어가 씻은 용천수를 '굼둘애기물'이라고 불렀다. 굼둘애기는 물오리가 물고기를 잡기 위해 바닷속으로 재빠르게 들어간다는 뜻인데, 상처를 씻고 바다로 사라진 인어의 모습과 비슷해 보였다.


8. 인천, 장봉도 어부와 인어

장봉도에 최씨 성을 가진 젊은 어부가 있었다. 노부모를 모시고 있었는데 어느날 인어를 잡는다. 측은하게 여겨 풀어주자 그 다음날부터 물고기가 매일 넉넉하게 잡힌다.


9. 평양, 비구니 낭간

평양 남문 밖에 이진수라는 어부가 살고 있었다. 아내와 어린 딸 낭간이 있었다. 대동강에서 낚시를 하는데  용왕님의 그의 기도를 듣고 구중궁궐에 초대했다. 선물로 인어고기를 준다. 이를 딸 낭간이 먹자 불로장생하게 된다. 부모님도 죽고 결혼도 못하자 낭간은 기생이 된다. 하지만 200년이 넘도록 늙지 않자 절에 들어간다. 300년 뒤 낭간은 험한 산속으로 들어가 삼백 살이 넘게 살다 행방이 묘연해졌다.


10. 자산어보, 인어도감

흑산도에 유배를 간 정약전은 227종 물고기와 해초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인어에 대해서도 수집한 설화를 기록했다.


인어라는 전설의 존재가 서양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전해져 내려온 게 신기하다. 한국의 인어들은 하나같이 연약하고 착하다. 인간을 도와주거나, 그물에 걸려 잡아먹힐 위기에서 자신을 구한 이에게 꼭 은혜를 갚는다.

인어 보은담이 참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싱커 (양장) - 제3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배미주 지음 / 창비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코로나 이후에 읽으니 더 놀랍다. 2060년 온난화 때문에 해수면 상승으로 영토를 잃었다. 영토전쟁이라 불리는 제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2063년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다시 한 번 인류를 공격한다. 초국적 제약회사인 바이오옥토퍼스는 백신을 개발하지만 바이러스는 변이를 계속하면서 인류를 몰살 지경으로 몰아 간다. 2068년 시안은 봉쇄를 선언하고 지상 세계와 단절한다. 그후 지표면은 빙하기에 접어 든다.

바이오옥토퍼스 파에타 회장은 시안의 초대 시장으로 취임한다. 

 

줄거리

욕망: 거대 지하도시 '시안'과 열대우림을 그대로 재현한 '신아마존' 프로젝트.  유전자 귀족과 늦둥이들로 아이들이 나뉜다. 주인공 미마는 늦둥이로 스마트약을 구입하기 위해 메이징타운에 간다.

메이징 타운은 본래 신아마존으로 가는 고속철도와 연결된 시안 최대의 전자 상업구역이었다. 시안 봉쇄 후 신아마존으로 이어지는 철도는 폐쇄되었다. 메이징 타운에는 난민들, 비시민들이 산다. 그곳에서 미마는 쿠게오와 헤이메이를 만난다. 그들은 불법으로 동물들을 키우고 있었다. 그들은 아마존을 경험할 수 있는 게임, 싱커를 홍보하기 위해 미마에게 게임팩과 물고기를 준다. 미마는 같은 반 친구 장부건에게 물고기를 보여준다. 부건이의 아버지는 바이오옥토퍼스 사의 미생물 연구원이었다. 부건은 물고기가 역진화로 태어난 생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사건:  미마, 부건, 다흡이는  쿠게오가 준 게임에 접속한다. 아이들 사이에서 게임은 인기를 얻는다. 미마는 파워 싱커로 통한다. 아이들이 여름 공원에 모여 춤과 공연을 하기 시작한다. 노인 자치대는 이들을 불량스럽게 여겨 진압한다. 부건은 바이오오토퍽스에서 과학자를 두 명 죽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정부는 부건과 미마를 잡으러 오자 둘은 난민촌으로 도망친다. 신아마존에 가게 되는데 바깥이 빙하기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진짜 하늘을 보게 된다. 


절정: 정부는 미마와 부건이 난민촌 암흑 조직에 납치되었다는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난민촌에 처들어온다. 암흑 조직은 아이들에게 불법 게임까지 보급하고 있으며 중독된 청소년들은 일종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광견병에 걸린 것처럼 동물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미마와 부건은 가짜 칩으로 난민촌을 빠져나간다. 괴생물체인 곰쥐 떼가 시안에 출몰한다. 아이들은 거리로 나가 곰쥐들을 시안에서 떠나게 했다. 그리고 처음으로 지상에 첫발을 내딛었다.


지금 보면 2060년은 그리 멀지 않았다. 40년이면 다가오는데, 그때 난 살아있을까? 보통 100세까지 산다고 하니, 이런 암울한 미래가 온다면, 난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하다. 오래 살고 싶지 않다. 코로나 때문에 3년의 공백기를 경험한 인류이기에 바이러스 이야기가 나오면 허구 같지 않다. 복잡한 이야기를 게임과 가상 도시를 만들어 잘 보여주고 있다. 공상과학을 좋아한다면 <싱커>를 추천한다.


어떤 종류의 경험은 사람의 인생을 전과 후로 나눈다. 미마에겐 지금이 바로 그랬다. 이제 다시는 저 파란 천공을 보기 전으로 돌아가지 못하리라. 온 마음과 몸이 저 푸른빛을 꿈꾸리라.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지랄의 기쁨과 슬픔 - 물욕 먼슬리에세이 1
신예희 지음 / 드렁큰에디터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가치관과 안 맞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