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니아의 작은 집 - 작은 집도 넓게 쓰는 독일식 정리.수납 생활
가도쿠라 타니아 지음, 조우리 옮김 / 홍시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정리와 수납을 잘하면 같은 공간이라도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이 책을 펼치게 한 이유였다. 작은 집은 아니지만 살림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지금도 그냥 스치고 지나치지 못한다. 살림이 좋고, 한 번씩 정리하는 시간을 좋아해서 며칠 전에도 책들을 정리했다. 책장의 책들을 모두 다시금 살펴보면서 분류하고 다시금 정리했다. 다시금 꺼내서 읽어보고 싶은 책들도 보여서 좋았기에 이러한 정리 시간을 좋아한다.

이 책은 독일식 정리 수납 생활법이 하나씩 전해진다. 부모의 영향을 받고 성장한 저자분의 생활력이 묻어나는 책이다. 독일에서 코감기에 걸리거나 코가 막히면 어떻게 민간요법을 이용했는지도 이 책은 전해주고 있다. 허브 키우는 것을 좋아해서 매일 물을 분무해 주면서 수형도 잡고 있는데 이 책에도 식물 화분들이 인테리어 효과를 주는 사진들이 보여서 보는 재미도 좋았던 책이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부모님의 집이었다. 오래된 집이지만 고치고 가꾸면서 집안을 꾸준히 가꾸는 손길이 고스란히 느껴졌기에 좋았다. 커튼 뒷면에 숨은 수납장이 있는 것도 놀라웠다. 좋은 집이라면 이 책이 전하는 tip도 유용할 듯하다.

필요한 만큼만 살림을 가지고 살고 있다. 집은 작지 않다 보니 빈 공간도 제법 많은 편이다. 그래도 가구나 살림을 채워 넣는 것에는 흥미가 없다. 그저 작은 살림으로 큰 공간을 어떻게 이쁘게 아름답게 살아볼까 하는 것에만 늘 관심이 많다. 정리하는 법, 수납하는 법은 늘 배우면서 따라 해보는 것도 많은 편이다.

이 책은 일본 요리와 라이프스타일 전문가가 독일인 어머니에게 배운 아늑하게 사는 법이 소개되고 있는 책이다. 생각한 것보다는 내용이 풍성하지는 않다. 책 사이즈도 작고, 페이지도 많지 않은 편이다. 요리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는 tip이 있다. 허브에 대한 정보도 있으며, 주방 수납에 대한 정보도 사진자료와 함께 많이 소개되고 있다. 가볍게 읽기에 좋았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코의 진자 - 하 열린책들 세계문학 269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작품은 처음이라 설레입니다. 3권 세트. 방대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코의 진자 - 중 열린책들 세계문학 268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작품은 처음이라 설레입니다. 3권 세트. 방대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코의 진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267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작품은 처음이라 설레입니다. 3권 세트. 방대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여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0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좋아한다. 한국소설보다는 세계문학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이 책에 실려있는 한국의 여성작가들의 한국소설들을 몇 편 정도만을 읽었을 뿐이라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한국소설을 더 읽어보는 계기가 될 것 같아서 고른 책이다. 시대별로 나뉘면서 여성작가들의 작품들과 그들의 이야기들까지도 소개되고 있다. 읽었던 작품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와서 그 작가들에 대한 글들부터 읽었던 책이다. 문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작품을 읽는 독자로서의 위치에서만 느끼고 흐름을 느끼는 한 사람이라 조목조목 문학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들까지 분석하는 저자의 글들은 낯설었다. 작품을 읽고 내가 느꼈던 그때의 감정들과 감상들이 흩어지는 듯해서 아쉽기까지 했다. 호의적이지 않은 글들이 많아서 당혹스러웠고, 당황하면서 불편함이 가득하게 읽은 그들이 많았던 책이다.

한국소설이 가지는 분위기와 외국소설이 가지는 분위기는 저마다 다르다. 그 시대를 살아간 여성작가들이 작품으로 통해서 그들 자신만의 소설을 작품으로 독자들과 교류하는 것 자체만으로 바라보면서 작품을 읽게 된다. 배제되고 부족함이 보일지라도 독자로써 우리 문학을 그렇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 그 시대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 시대의 가족의 이야기이며 어머니의 이야기였고, 개인의 이야기이기도 하기에 비판보다는 있는 그 자체를 들여다보는 시대의 자화상 같다고 느꼈다. 이 책은 전문적으로 작품과 작가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부족함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 한국소설을 집필하고 준비하는 소설가들에게는 방향등같은 역할을 해주는 책이 될 것 같다고 느꼈던 책이다.

여성작가 편부터 읽었다. 다른 한 권인 남성작가편도 읽을 시간이 기다려진다. 남성작가편은 어떠한 관점에서 여러 작가들의 작품들이 이야기될지 기대된다. 여성작가 편에서는 아직 읽어보지 않은 작품을 번역한 번역가에 대한 글이 매우 끌렸다. 그 작가가 번역한 책들부터 한 권씩 읽어보아야겠다고 느꼈다. 그리고 다시금 이 책을 펼쳐서 작품과 소개된 여성작가들을 접목해보면서 작품을 떠올려보려고 한다. 문학수업을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었다. 이러한 책도 처음이라 많이 당혹스럽기까지 했다. 글을 작품으로 쓰는 작가들에게는 작가라는 길은 결코 쉽지 않은 길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던 책이기도 했다. 집필을 하고자 고독을 찾고, 외로운 집필의 공간을 찾아들어가는 작가들의 그 시간들과 공간들을 다시금 떠올려보게 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