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팅 클럽 ㅣ 민음사 오늘의 작가 총서 32
강영숙 지음 / 민음사 / 2020년 5월
평점 :
그동안 수많은 책을 읽어왔지만, 그 중에서도 읽지 않는 작품이 셀 수 없이 많다는 사실에 좌절감을 느낀다. 되도록이면 외국문학 보다는 한국문학을 더 읽겠다고 생각해 왔으면서도 읽지 않은 작가가 있었다는 사실에, 이 세상의 책들을 다 읽을 수는 없는 법이라는 것을 다시 실감한다. 어디에선가 강영숙 작가의 『라이팅 클럽』이라는 책 제목을 보고 궁금하다, 읽고 싶다라는 생각을 해 왔음에도 여태 읽지 못했다. 드디어 강영숙 작가의 작품을 읽게 되었다. 그것도 『라이팅 클럽』을.
『라이팅 클럽』을 읽으며 글쓰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된다. 글은 어떻게 써야 하며, 어떤 내용을 써야 하는가. 삶이 곧 글쓰기인 주인공들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그들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생각들을 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글을 쓰려고 한다. 지금도 여전히 쓰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며 자신의 삶에서 책 한 권쯤 펴내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글쓰기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김 작가와 영인이라는 두 주인공의 손을 빌려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계동의 어느 골목에서 글짓기 교실을 하는 김 작가와 그의 딸 영인의 이야기다. 평생을 글을 쓰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 삶이 곧 글쓰기의 작업과도 같은 김 작가를 바라보는 냉정하고도 애정어린 시선이, 작품을 다 읽고나면 어느샌가 따뜻한 감동이 느껴진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 삶. 소설을 쓰겠다고 늘 끄적거리는 영인. 사랑하는 친구에게도 편지로 좋아하는 마음을 날려보냈다.
김 작가와 영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인물은 이름이 없는 알파벳 이니셜로 존재할 뿐이다. 즉 다른 사람의 삶과 글쓰기 작업은 중요하지 않았을 수 있다. 카페의 창가 자리에 앉아 늘 글을 쓰고 있었던 여성이 책을 낸 작가라는 사실을 알고 그에게 글은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물었을 때도 그 작가는 J라는 이니셜로 존재할 뿐이었다. 다만 오래된 계동의 집 주인인 할머니는 김 작가와 영인을 따스하게 품어준 인물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작가가 되려고 하면 대학에 가서 창작을 공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영인은 대학을 가지 않고 그저 글을 쓸 뿐이었다. 영인 곁에 존재하는 R이나 A도 특별한 인물은 아니다. 그저 시니컬하게 바라보거나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으로 존재한다. J 작가가 영인에게 일러주었던 대로 글을 쓸 때는 묘사가 중요하다. 묘사를 하기 위해 골목길의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살피고 그것을 글로 쓰고자 했다. 글쓰기 교실에 찾아온 키가 크고 하얀 피부를 가진 장이라는 남자에게 마치 경쟁하듯 마음을 주었던 영인과 김 작가에게 마치 그들의 삶을 그대로 묘사할 수 있겠금 시련을 주었다.
그 사람의 삶은 한 편의 이야기이다. 수많은 사람이 내 이야기를 소설로 쓰면 한두 권의 책이 될수도 있다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십 대 후반에서 삼십 대 중반까지의 영인의 삶이 나오는데 그가 경험한 삶은 스스로 고통의 삶으로 들어간 것과 같았다. 미국에서 네일아트를 하던 영인이 라이팅 클럽을 열었던 것은 김 작가에 대한 그리움, 계동의 글쓰기 교실이 진정한 글쓰기 작업의 일환이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비로소 진정한 자신과 마주하는 느낌이었다.
지금도 눈을 감으면 글짓기 교실의 유리문이 드드륵 열리는 소리가 들리는 것만 같다. 사선을 그으며 떨어져 내리던 굵은 여름 빗방울, 축구하던 아이들의 까르륵거리는 웃음소리, 그곳에 드나들던 온갖 구질구질하고 우울한 인간들, 그들이 몰고 들어온 먼지 입자들과 값싼 술 냄새, 그리고 대책 없는 자기 폭로, 두고 찾아가지 않은 물건들, 라이터, 담배, 스타킹, 립스틱, 서류 봉투, 한 페이지씩 파르르 떨며 되살아나는 여러 종류의 책들, 왜 그때 만났던 허접한 인간들에 대한 기억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선명해지기만 하는 걸까. (18~19페이지)
결국 글쓰기 라는 작업은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 나기도 하지만 다양한 삶을 살아온 경험의 산물이다. 소설에서는 그것을 나타낸 것 같다. 영인이 갈구하는 글쓰기는 그가 걸어온 삶의 궤적과도 같다는 거다. 기쁨과 슬픔, 때로는 자신의 존재때문에 삶이 버겁다 느끼는 것 또한 이러한 삶이 글쓰기의 작업과도 같다는 것을 나타낸 것 같았다.
엄마와 딸 사이라고 하기 보다는 그저 남남 관계처럼 보였던 김 작가와 영인의 관계가 끈끈한 애정으로 뭉쳐져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김 작가가 병원에서 아팠던 것도 영인을 향한 간절한 마음이었는지도 몰랐다. 강영숙 작가를 알게 되어 다행이다.
#라이팅클럽 #강영숙 #민음사 #오늘의작가 #오늘의작가총서 #오늘의작가총서시리즈 #책 #책추천 #소설 #소설추천 #책리뷰 #다시읽게될줄알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