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 소설과 음식 그리고 번역 이야기
김지현 지음, 최연호 감수 / 비채 / 2020년 3월
평점 :
국물용 멸치와 다시마를 넣고 육수를 만들었다. 거기에 감자를 많이 넣고 양파, 당근, 대파, 오이고추를 썰어 넣었다. 소금과 후추로만 약하게 간을 하고 뭉근하게 끓였다. 돼지고기로 만든 스테이크나 김치볶음밥을 먹을때 곁들여 먹으니 좋았다. 일명 감자 수프. 김지현 작가의 『생강빵과 진저브레드』를 읽다가 미하엘 엔데의 『마법의 수프』를 읽는데 문득 수프가 먹고 싶어졌다. 넣고자 하는 재료를 넣어 마치 마법의 수프처럼 배불리 먹을 것을 만들고 싶었다. 물론 맛이 있었다. 마치 소설의 마법의 수프처럼 뭉근하게 끓인 감자 수프는 속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데워주었다.
문학작품들 속에서 수많은 요리법이 나온다. 한국인에게는 생소한 요리나 빵 종류 등도 나와 그게 무엇일까 검색해 보기도 한다. 문학 작품을 읽어왔고,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 번역가로 활동하는 이에게 소설 속 요리법은 호기심이 생기게 마련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음식의 이름을 한국의 정서에 맞게 번역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작가는 문학 작품 속에서만 존재하는 음식들을 한국어에 맞게 옮겨져 오고 알 수 없는 그 맛에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했다. 우리는 다시금 소설 속 음식들을 읽으며 소설을 생각하고 작가가 창조한 음식들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된다.
생강빵이라는 건 아이들과 함께 보던 애니메이션에서 먼저 보고는 아기 모양의 빵을 어떻게 먹는단 말인가 고심했던 적이 있었다. 문학 작품속에서는 진저브레드로 나와 있지만 생강빵이라고 번역하는 것에서 번역 작가가 어떤 것을 바라보느냐, 우리 만의 고유한 언어의 탄생을 지켜보는 즐거움이 있다. 물론 번역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만들어내야 하는 고충도 말하고 있다. 번역가로서의 무거운 책임감까지 엿볼 수 있었다.
그러고보면 번역가는 참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월귤이라는 단어를 생각해보자. 영어 단어로는 블루베리나 링곤베리로 표현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된 단어가 없었다. 블루베리는 그냥 블루베리로 불리고 링곤베리는 월귤로 불리는 모양인데, '월귤'이라는 단어는 또 얼마나 예쁜가. 달 같은 귤모양으로 보아야 하나. 링곤베리에 대한 설명을 듣는데, 어렸을 때 뒷산에서 따먹곤 했던 정금나무 열매가 떠올랐다. 알프 프레이센의 『호호아줌마가 작아졌어요』에 나오는 링곤베리 즉 월귤나무 열매가 정금나무 열매가 아니었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블루베리보다는 살짝 열매가 작고 익으면 진한 보랏빛으로 변해 새콤달콤했던 과일로 기억된다.
이처럼 언어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월귤나무로 굳어진 링곤베리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그 이름만으로도 상당히 예쁘고 월귤나무 열매가 맛있을 것만 같다. 호호아줌마처럼 월귤나무 열매를 따다가 잼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최근에 『하이디』 나 『작은 아씨들』, 『다락방의 꽃들』,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키다리 아저씨』,『빨간머리 앤』 등을 다시 읽었다. 어렸을 때 읽었던 소설을 나이가 들어 다시 읽는다는 건 그 시절의 추억을 읽는 것과도 같다. 그저 책을 읽을 때 음식에 대한 부분을 보며 참 거창하게 식사를 하는구나 싶었다.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음식이었기에 그랬을 수도 있다. 『빨간머리 앤』에서 앤이 다이애나에게 식사 대접을 하는 장면은 외국의 식사 문화에 대하여 엿볼 수 있다. 주스와 케이크, 차를 대접하며 친근한 관계로 다져진다는 것을. 물론 앤은 다이애나에게 나무딸기 주스라며 주었지만 그것이 마릴라 아주머니가 넣어둔 포도주 였음이 나중에야 드러나 배리 부인이 다시는 다이애나와 놀지 못하게 만들었던 건 지금 생각해도 앤에게는 마음 아픈 일이었다. 물론 내가 배리 부인이었어도 똑같이 행동했겠지만 말이다.
외국의 소설을 읽을 경우 '돼지고기 파이'가 나올때 돼지고기 파이를 차게해서 먹는다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맛이 없을 것 같다. 돼지 기름을 제거 했겠으나 뜨거운 것을 먹을 때와 차가운 것은 어쩐지 기름이 많이 배어있을 것만 같은 것이다. 애니드 브라이튼의 『세인트클레어의 말괄량이 쌍둥이』에서는 정어리 샌드위치까지 먹는다. 기숙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먹는 음식은 무엇을 먹어도 맛있을 것이다. 하지만 돼지고기 파이나 정어리 샌드위치의 조합이 나에게는 썩 달갑지 않다. 정어리 통조림은 김치찌개용으로 생각되는데 문화의 차이인가도 모르겠다.
식전 음식과 메인 요리, 디저트의 순서대로 문학 작품 속 음식들을 말했다. 아울러 번역가로서 우리나라의 정서와 맞는 단어를 찾으려 애썼다.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다양한 음식을 바라보는 방법도 이야기했으며 그 시절 우리가 읽었던 소년소녀 소설의 추억과 함께 한 산문이었다. 문학 작품 속 음식들을 바라보는 시선 또한 좋은 것 같다. 상상 속에서만 그려왔던 음식의 실체와 그 나라에 얽힌 문화를 함께 알아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더불어 책 속의 또다른 책들을 다시 만나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읽은 책은 다시 읽고 싶었고, 읽지 않은 책들도 읽어보고 싶었다. 역시 책은 또다른 책을 부른다.
#생강빵과진저브레드 #김지연 #비채 #김영사 #에세이 #에세이추천 #책추천 #문학작품 #문학작품속음식 #음식 #월귤나무 #번역 #번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