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만과 편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8
제인 오스틴 지음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출간된 지 200년이 넘은 소설이 여태까지 사랑받는 이유는 뭘까? 보편적인 정서를 담았다는 이유일 것이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고 마치 내 일처럼 여겨진다는 것. 여전히 진행되는 일이라는 것. 제인 오스틴의 소설이 사랑받는 이유다. 많은 로맨스 소설의 결말은 결혼이다. 남자와 여자가 만나 사랑을 하고 여러 갈등 요소를 겪은 이후에 결혼으로 대단원의 막이 내린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 대부분이 결혼과 사랑 이야기다.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결혼 풍속도는 소설을 쓴 시대와 현재를 아우른다.
『오만과 편견』은 19세기 영국의 결혼 문화와 로맨스를 엿볼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의 지위, 경제적인 이유로 나누어진 계급 사회를 풍자한다. 더불어 아들이 없는 경우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그 재산이 아내와 딸들에게 가는 게 아니라 가까운 사촌 남자에게로 가는 한정상속제도를 비꼰다.
소설에서처럼 많지 않은 재산을 가진 베넷 씨가 사망했을 때 딸 다섯인 베넷 가의 재산이 그의 사촌 콜린스 씨에게로 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 부분을 베넷 부인의 무척 억울해한다. 콜린스 씨의 방문이 반갑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콜린스 씨는 자기가 베넷 가의 재산을 탐낸다는 인상을 주고 싶지 않아 그들의 딸 중 한 명과 결혼 하고 싶다. 하지만 엘리자베스의 강력한 거절로 가난한 집의 딸인 샬럿과 결혼하게 된다. 엘리자베스의 거절 장면은 무척 즐겁다. 재산 때문에 사랑 없는 결혼은 하고 싶지 않은 엘리자베스의 당찬 성격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샬럿의 결혼은 엘리자베스를 안타깝게 한다. 그렇지만 샬럿의 입장에서 최선의 선택이었다. 돈이 많지 않은 스물일곱 살의 노처녀인 샬럿이 결혼하기란 매우 어려운 상태였다. 엘리자베스는 나중에야 그걸 인정하지만 안타까운 건 어쩔 수 없다.
소설 속 주요 인물은 베넷 가의 첫째 딸 제인과 엘리자베스다. 그들과 짝을 이루는 빙리 씨와 다아시 씨는 영국 사회의 신분과 계급, 경제적인 면에서 최고의 신랑감이다. 아름다운 제인을 보고 첫 눈에 반하게 된 상냥한 빙리. 성격상 잘 알지 못한 사람과 친분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다소 무뚝뚝한 다아시는 여러 면에서 비교된다.
최고 신랑감의 구분은 연 수입이 몇 파운드냐에 따라 다르다. 빙리는 만 파운드 이상이고 다아시 씨는 그보다 훨씬 많다. 즉 경제적인 면만 보면 다아시 씨가 훨씬 훌륭한 신랑감이다. 돈을 밝히는 속물로 비치는 베넷 부인은 빙리가 제인에게 다정하게 대하자 그들이 곧 결혼할 거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자기의 감정을 확실하게 표현하지 않은 제인 때문에 빙리와 제인은 한 번의 이별을 겪는다. 물론 제인에게 직접 마음을 확인했으면 좋으련만 빙리는 자신보다는 다아시 씨의 판단을 믿는다.
아마 많은 여성 독자들은 엘리자베스에게 감정이입을 했을 것 같다. 제인보다 외모가 출중하지 않지만 당찬 성격에 할 말은 하고 눈빛이 아름다운 영특한 인물이다. 무엇보다 분별력이 좋았다. 평생 결혼하지 않은 제인 오스틴은 엘리자베스에게 자신을 투영했을 것 같은데 사랑의 결말을 결혼으로 나타냈다는 점이 다르다. 엘리자베스와 다아시 씨는 서로 사랑에 빠지지만 자신의 마음과는 다르게 상대방을 믿지 못했다. 엘리자베스는 위컴의 말을 믿고 진실을 알려 하지 않았고 다아시 씨는 자기의 눈에 비친 베넷 부인의 천박함과 제인의 불분명한 감정 표현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아마 제인의 마음이 빙리를 향하고 있지 않다는 판단은 베넷 부인 때문에 더 그렇게 보였을 수도 있다. 어떻게든 베넷 집안에서 빙리를 떼어놓고 싶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자신은 엘리자베스에게 사로잡혔다.
애를 써보았지만 소용이 없습니다. 그래 봤자 안 될 것 같습니다. 제 감정을 억누를 수가 없습니다. 제가 당신을 얼마나 열렬히 사모하고 사랑하는지 말씀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267페이지)
엘리자베스가 자신의 청혼을 거절하자 받아들이지 못했던 장면은 그의 오만함을 엿볼 수 있다. 자신 정도의 조건이라면 엘리자베스가 거절하지 못했을 거라는 생각이었다. 엘리자베스는 외삼촌 가드너 씨와 여행 중 더비셔의 펨벌리 저택에 가게 되었다. 자연의 아름다움이 살이 있는 펨벌리를 보고 펨벌리의 안주인이 되었을 수도 있었다고 탄식하는 부분은 어쩐지 우리를 보는 것 같아 슬며시 웃음이 나왔다.
예나 지금이나 결혼은 사랑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직업도 좋아야 하고 성격도 좋아야 하며 화목한 가정에서 자랐으면 더 좋다. 무엇보다 다아시 씨처럼 부자면 금상첨화다. 그럼에도 우리는 사랑에 울고 웃는다. 『오만과 편견』이 오랫동안 사랑받는 이유는 우리의 현실을 마주했기 때문이 아닐까.
#오만과편견 #제인오스틴 #민음사 #책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김영하북클럽_오만과편견 #김영하북클럽_3월의책 #소설 #소설추천 #영미소설 #영미문학 #고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