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know where you're having trouble, Mickey, seems to me that's the place to start working."

 (문제가 어디서 생겼는지를 네가 알고 있다면 말이지 미키야, 네가 일을 시작할 곳이 바로 거기라는 얘기 아니겠니?)

 

 아이들 책인데, 저자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들어본 적도 없었으나, 제목이 재미있고, 표지 그림도, 표지 구성도 재미있어서 빌려온 책이다. 

어릴 때부터 무척 따르던 외할아버지께서 심장병으로 갑자기 돌아가신 후, 우울한 기분에서 좀처럼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던 주인공 남자 아이 미키. 처음 부터 거의 책 중반 까지,  미키가 모든 일에 의욕을 읽고 시큰둥해있는 내용만 계속 되어 좀 지루해하며 읽고 있던 차에, 미키가 아빠의 옛 친구인 앤드류 아저씨에게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는 내용이 나오면서 재미있어 지기 시작한다. 

위의 말은 돌아가신 외할아버지께서 미키에게 하셨던 말씀인데, 그림 그리기가 만족스럽게 잘 안되고 있던 중 미키가 떠올리는 말이다. 

 

 

 

 

 

 

 

 

제목 'Fair has nothing to do with it' 은, '이건 절대 공평하지 않아 (정당하지 않아)', 뭐 이런 뜻 아닐까?  

조맘때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잘 던지는 말, 'It's unfair!' 혹은 'It's not fair!' 를 저렇게도 표현할 수 있겠구나, 끄덕끄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09-07-24 0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끄덕끄덕~
전 저나이도 지났는데 왜 맨날 'It's unfair!'라고 투덜될까요 ㅎㅎ

hnine 2009-07-24 10:47   좋아요 0 | URL
책에서는 할아버지가 그러시네요. 인생이 원래 그런거라고요 ^^
 
남자아이 심리백과 - 아들의 마음을 알면 아들의 미래가 달라진다 굿 페어런츠 시리즈 2
마이클 거리언 지음, 도희진 옮김 / 살림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개인적으로도 남자와 여자는 분명히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차별을 두자는 말이 아니라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정자와 난자 사이에 수정이 이루어지는 순간 염색체의 조성에 따라 남, 여 성별이 결정이 되고, 수정 6주 째가 되면 드디어 남, 여 구별을 해주는 생식기의 분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남자로 발생을 지속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은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 여기까지는 전공 지식으로 알고 있던 바인데, 이런 심리 서적에서 이 점을 이토록 중요하게 다룰지는 몰랐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가 거역할 수 없는 생리적인 차원에서 남자는 여자와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무조건 남녀 구별을 없애려고 할 것이 아니라 다른 점을 이해하고 인정하여 서로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순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남자 아이를 키우면서 고개를 갸우뚱 하는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내 아이의 성향이 저런 것일까, 아니면 남자 아이들은 원래 저런 것인가 하면서 말이다. 언젠가 한번은 이런 것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던 차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저자는 남성 생태의 거의 모든 면을 지배하는 것이 테스토스테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면서, 여기서 말미암은 남자들의 행동 양식으로서, 무슨 일이든 즉각적이고 빠른 만족을 찾는 것, 감정적으로 복잡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것, 신체적 긴장감을 고조시켰다가 이완시킬 수 있는 활동을 찾는 것 등을 들고 있다. 두번째로, 호르몬과 더불어 남녀의 큰 차이를 가져 오는 것으로서 두뇌 구조 차이를 들고 있는데, 뇌의 크기, 뇌량의 크기 등의 차이로 말미암아 남성의 두뇌는 공간 지각적으로 설정되어 있고, 여자 아이보다 더 단기간 동안, 더 적극적으로 사물을 보게 된다고 했다.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저자는 남자 아이들의 남성성은 타고나는것이 아니라 사회가 만드는 것이라는 것은 허구라고 말하고 있다. 남녀의 분명한 차이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그런 모든 차이를 인정한다고 한다면, 남자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그럼 무엇인가. 남자 아이들은 핵가족 내에서만 모든 것을 만족스럽게 취할 수 없다. 부모와 형제로만 이루어진 일차적인 가족 형태 뿐 아니라, 대가족 구성원이 제2가족으로, 사회가 제3가족으로서 남자 아이를 양육하는데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한다. 남자 아이들은 이런 집단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지를 알아간다는 것이다. 또한 이책에서는 남자 아이들에 있어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아들을 비로소 남성으로 만드는데에는 아버지의 책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는 가정에서 아버지가 차지하는 비중과 시간이 줄어들어, 남자 아이가 점차 남성성을 갖춰나가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남자 아이들은 경쟁을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해가며, 경쟁은 남성의 발달과 자아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 남자들의 호전성과 공격성은 본질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무조건 억누르고 죄악시 할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해야하며, 가장 무난한 수단이 되는 것이 바로 스포츠라는 것, 이 것은 다른 책에서도 읽은 적이 있다. 

아들, 더 나아가 남자라는 또 하나의 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 많았다. 타고난 생물학적 특성으로 말미암은 것들을 이해하고 인정해주자는 것에는 이의가 없으나, 그건 남자 아이들 뿐 아니라 여자 아이들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여자 아이들의 이런 생리적 특징과 이로 말미암은 특징에 대한 얘기는 지금까지 많은 관심을 받아 왔고 연구되어 오는 것에 비해 남자들의 경우는 너무 간과되어 오고 있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남자 아이 뿐 아니라, 어른된 남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읽어보면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마지막으로, 옮겨 놓고 싶은 한 페이지 중 하나이다.

   
  워크숍에 참석했던 다른 어머니는  "아이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시기를 어떻게 알 수 있죠? 저는 엄마로서 많은 실수를 했어요. 제 아들은 이제 40대에 접어들었지만 아직도 아들의 문제점을 보면 제 자신을 탓하곤 하죠. 아들을 바로 잡기 위해 그동안 별짓을 다했어요." 라고 토로했다.
어머니들은 존경받아 마땅하다. 모든 어머니들은 일단 아들이 성인이 되면 죄책감 없이 이렇게 말해도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난 너를 위해 정말 최선을 다했단다."
"나도 그동안 실수를 많이 했지. 앞으로 살아가면서 이제 네가 그 결과에 맞서야 해."
"이제 그건 네 문제란다. 내가 해결해야 할 일이 아니라고."
"그래도 엄마가 항상 너를 사랑한다는 걸 잊지 마."
"네가 정말 잘되길 기도한다."
 
   

아직도 가슴에 부모에 대해 서운함을 담고 사는 사람들을 위하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09-07-24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nine 님께서 정말 잘 요약 · 정리해서 들려주시니까, 제가 책을 다 읽은 듯한 느낌이 들 정도네요^^ hnine 님, 바쁘신 와중에도 책을 참 “많이” 그리고 “빨리” 읽으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책의 핵심 내용을 잘 요약 · 정리해서 전해주시는 hnine 님 솜씨에 저는 늘 감탄한답니다. 아, 정말 부럽네요, hnine 님^^

hnine 2009-07-24 05:55   좋아요 0 | URL
400여 페이지 되는 책을 그야 말로 수박 겉 핥기 식으로 요약해놓았을 뿐인걸요.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라는 기본 입장에서 쓰여진 책이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들도 계실 것 같지만, 저는 수용할 만 했습니다.
잘 읽어주시니 감사드릴 뿐입니다 ^^
 
그로잉 Growing - 내 안의 성장본능을 깨워라
문요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내가 생각하는 성공적인 삶이란 무엇일지 생각해보라는 글을 본 적이 있다. 성공적인 삶을 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나 무엇을 성공적이 삶이라고 하는지는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아무리 아닌 척 해도 결국 너도 나도 '성공'을 목표로 살아가는 요즘, 내가 생각하는 성공적인 삶이라기 보다, 남이 보기에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삶은, 낭비된 인생이 될수도 있지 않을런지.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것이다.' 이 책의 서문의 첫 문장이다.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느냐에 의해 우리의 자아상을 결정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며 사는 대신에, 중심을 자신으로 돌려 하루 하루 더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 그것이 곧 성장형 삶이고 이 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정신적 패러다임이 되어야 하지 않겠냐고 제안하고 있다. 

무언가를 시도해서 실패했다는 것,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포기해야했던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이것을 '성공'의 반대 경험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내 인생이 성장해나가는 과정중의 한 단계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 실패나 성공의 바탕이 되지는 않는다고 저자는 말한다. 실패의 경험이 성장으로 이어지려면 중간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분석과 반성'이라고. 이렇게 우리가 자칫 간과하기 쉬운 점들을 상기시켜주기 때문이 아닐까. 대단한 주장이 있는 것이 아님에도 이 책의 내용이 처음부터 끝까지 참신하게 마음에 들어오는 이유는.

성공은 누군가의 실패를 담보로 이루어지지만, 성장은 관계와 집단의 지원과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성장은 기다림을 필요로 한다.
성장은 안에서 여문다.
성장 패러다임은 삶의 초점을 타인이 아닌 자신의 존재에 두고 살아가는 마음의 자세를 말한다. 자기 속도대로 살아가고, 피해자가 아닌 해결자로 산다. 해결 중심적으로 생각한다.
삶의 중심을 관계에서 존재 쪽으로 이동시킨다. 

우리 삶의 성장판은 영원이 닫히지 않음을, 언제나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그것이 바로 우리의 삶이 아름다운 이유이며 축복임을, 평범하기 그지 없는 말이 이토록 고맙게 들리면서 공감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 여름 들어 지금까지 아이 데리고 다니며 본 영화가 꽤 된다.
내 취향과 별 상관없고, 아홉살 아이 관람가 영화인가 여부만 상관 있다. 

 

 <코렐라인> 나도 재미있게 보았다.

 

 <킹콩을 들다> 끝날 무렵, 눈물을 찔끔거리며 봤다. 나 아니고 아이가.

 

 <링스 어드벤쳐> 엄마인 나는 거의 집중 안하고 본 영화.

 

 <요시노이발관>

 

 <해리 포터 : 혼혈 왕자>

  

<도라에몽 : 공룡대탐험>  아이는 재미있어 했지만, 엄마인 나는 
                                                                       그저 동반자 역할에 충실했음.

            

 

 앞으로도 아이가 개봉을 기다리고 있는 영화들이 줄줄이 있다.  

 

   

 

  

<국가대표> 이 영화는 아직 등급판정 전.  

 

내 취향의 영화들은 아니었다고는 하지만, 그리고 아이 데리고 영화관 가는 '기분'을 더 즐긴 편이였긴 하지만, 그래도 나름 재미있게 본 영화들도 있다. 내가 보고 싶었지만 놓친 영화들은, 뭐 언젠가 비디오를 통해서든지, 기회가 있겠지.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9-07-20 0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코렐라인, 예전에 님의 페이퍼 보고 아이랑 보러 갔다지요.^^

hnine 2009-07-20 18:11   좋아요 0 | URL
예, 보고 오셨다는 글 읽었어요. 그런데 워낙 평소에도 영화를 많이 보시니 코렐라인처럼 아이들 취향의 영화는 그닥 재미가 없으셨을 것 같아요. 저는 평소에도 워낙 아이들 취향 영화를 많이 보기 때문에 이 정도 되어도 재미있다고 보는데요 ^^

무스탕 2009-07-20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어제 링스 어드벤쳐 봤어요. 그래도 재미있게 봤어요 ^^
이제 업을 노리고 있답니다. 정성이는 :)

hnine 2009-07-20 12:38   좋아요 0 | URL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제작한 영화, 맞지요? 그래서 영화 중의 지명도 스페인어가 많았고요.
'업'은 저도 기대하고 있답니다. 풍선 타고 올라가는 포스터가 너무 유쾌해 보이지 않던가요? ^^

울보 2009-07-20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류도 업을 보여달라고 하던데,,
그런데 코난도 나오나요 몰랐어요,
코난도 보러가야겠어요,,

hnine 2009-07-20 17:24   좋아요 0 | URL
초등학생 방학에 맞춰 개봉하는 영화들이 꽤 있더라구요. 코난과 업, 모두 7월 30일에 개봉한다고 알고 있는데 정확한 건 모르겠네요.

하양물감 2009-07-21 0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솔이가 도라에몽 보러가자고 난리인데....

아직 극장에서 영화는 한번도 본적 없는 아이라, 이번 기회에 데려가볼까 생각중이에요.

hnine 2009-07-21 18:20   좋아요 0 | URL
한솔이가 벌써 보고 싶은 영화를 골라서 요구할 줄도 아는군요. 데리고 가서 보여 주세요. 제 생각엔 좋아할 것 같은데요. 도라에몽도 귀엽고, 공룡들도 많이 출연하거든요. 한솔이, 공룡 좋아하지요? ^^

세실 2009-07-21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본 영화가 하나도 없다는 ㅎㅎ
이제 나이가 들었는지 애니메이션 못 보겠어요. 마음도 늙었나벼..ㅠㅠ

hnine 2009-07-21 18:20   좋아요 0 | URL
세실님, 나이는 제가 더 들었을텐데...ㅋㅋ

세실 2009-07-21 19:46   좋아요 0 | URL
ㅎㅎㅎ 그러게 말입니다^*^

가시장미 2009-07-21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언젠가는 현호 손 잡고 영화보러 갈 수 있겠죠? -_ㅠ 넘흐 넘흐 부럽습니다. 저도 <해리포터>랑 <킹콩을 들다> 보고 싶은데, 극장을 갈 수가 없네요. 윽!

hnine 2009-07-21 18:25   좋아요 0 | URL
부러워하는 마음이 지금 저에게도 생생이 느껴질만큼, 시간은 금방이랍니다. 지금도 제가 보고 싶은 영화보다는 아이 위주로 보고 있지만, 이렇게 옆에서 뭐 해달라고 조르지도 않을만큼 아이가 쑥 커버리면, 그것 또한 허전하지 않을까요? 이렇게 마인드 컨트롤 하는 시간만 해도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흑흑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7월3주)

 너도 나도 화제에 올리는 영화나 책 중에 나 자신은 별 재미를 못 본 것들이 있는데, 내 경우엔 해리 포터가 바로 그런 경우였다. 해리 포터라는 책이 한참 유행하기 시작할 무렵, 아이를 가지고 있던 내가 태교 삼아 매일 뱃속의 아기에게 조금씩 읽어줄 생각으로 산 책 중의 하나가 이 책이었다. 

    

 

 

 

 

 

 

 

 $ 25.95 씩이나 주고 샀건만, 첫장부터 무슨 얘기인지 감도 안오고, 더 읽어가봐도  도무지 책의 이야기 속으로 몰입이 안되는 것이다.  결국 뱃속의 아기보다, 내가 재미가 없어서 이 책 읽어주기는 곧 중단 되었고, 지금도 이 책은 책꽂이 한켠에 먼지를 뒤집어 쓴 채 자리만 지키고 있다. 

그리고 몇년 후, 해리 포터가 영화로 만들어져 나오기 시작했다. 그래, 영화로 한번 봐야겠다고 마음 먹고 비디오를 빌려왔다. 그런데 역시 보다가 영화 초반에 잠이 들어버리고 만 것이다. 그래서 난 지금도 그 비디오가 '마법사의 돌'이었는지, '아즈카반의 죄수'였는지, '불의 잔'이었는지도 기억을 못한다.

그러다가 올 여름, 아홉살 아이에게 관람가인 영화는 거의 모두 섭렵하고 있는 중인데 마침 개봉한 이 해리 포터를 안보고 지나칠 수가 없었다.
어제 저녁까지 일찍 해서 먹은 후 내가 또 나섰다.
"여보, 다린아, 해리 포터 보러 안갈래?"
상영 시간 맞추느라 저녁 먹고 난 설겆이도 미룬 채 극장으로 향했다.

 

 

 

  

 

 이번엔 잠들지 않고, 두 눈 똑바로 뜨고 끝까지 보았다. 재미있다고 해야하나? 아니, 그냥 '재미있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한, 나의 상상을 뛰어 넘는 스케일과 스토리의 방대함에 놀랐다고 해야겠다. 가정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위기에 닥친 조안 롤링이 궁여지책으로 혼심을 다해 써낸 책이 해리 포터라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그때까지 전문 작가도 아니었던 그녀가 어찌 이런 기상 천외한, 4차원도 아니고 5, 6차원쯤 될 것 같은 스토리를 구상해낼 수 있었을까.

아이들도 볼 수 있는 영화이길래 길어야 두시간 정도 되려나 했더니, 거기에 30분 보태서 2시간 30분. 끝나고 나니 밤 9시 30분이었다. 길다면 긴 시간인데 옆에 앉은 남편도, 아이도 꼼짝 않고 보고 나서는 2시간 30분이나 되는 줄 못느끼고 봤다고 한다.  

집에 돌아온 나. 먼지 쌓인 해리 포터 책을 다시 꺼내본다. 두껍긴 또 얼마나 두꺼운지.
해리 포터 영화를 처음 본 아이는 이전의 영화도 봐야겠다며 비디오를 빌려야겠다고 한다.  

   
   "고도로 발전된 기술은 마법과 구별되지 않는다. (Any sufficiently advanced technology is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즐겨 보는 한 인터넷 과학 신문의 기사에 인용된, 지난해 작고한 과학소설 작가 아서 클락 (Arthur C. Clark, 1917-2008)의 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7-19 2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7-19 2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스탕 2009-07-19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판타지엔 도대체 흥미가 없어요 ㅡ.ㅜ 아쉬운 부분이죠. 판타지를 재미있게 읽을수 있다면 볼 꺼리들이 얼마나 많이 늘어났겠어요.
울 애들도 해리 포터를 보겠다고는 안조르더라구요. 이것도 엄마 닮았나봐요..;;;

hnine 2009-07-19 23:02   좋아요 0 | URL
무스탕님, 반갑습니다. 저는 왜 제가 판타지에 흥미가 안생기는 것일까 분석해보고 싶을 때도 있답니다. 두 아드님 모두 해리 포터 아니어도 충분히 흥미있는것들이 많은가 봅니다 ^^ 어제 해리 포터 영화 처음 보고난 후 제 아이는 오늘 벌써 다른 해리 포터 비디오 빌려다가 또 2시간 넘게 꼼짝 않고 앉아서 보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