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란 꼭 어린이만 대상으로 하는 책이 아니라, 어린이가 등장하는 책이며, 어린이의 마음을 공감할 수 있는 어른도 읽는 책이라고, 바로 이 사람, 황 선미 작가가 말했단다.
아직 우리 나라 창작 동화를 그리 많이 읽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제일 먼저 황 선미 작가의 책들을 골라서 읽어보기로 했다. 앞으로도 이렇게 작가별로 모아서 읽어보려고 하는데 얼마나 갈지는 모르겠다^^
일단 오늘 도서관에 가서 황 선미 작가의 책을 다 뽑아다가 앉아서 읽기 시작했는데 그 중 세권이다.
(2007 베틀북)
네 편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첫번째 이야기는 '코딱지만한 괴물'
부모의 이혼으로 할머니를 따라 이사가는 영민이가 단짝 친구이던 푸름이에게 남긴 선물은 세마리의 물고기가 담긴 어항. 이름도 지어 불렀을 정도로 영민이가 아끼던 물고기를, 떠나간 영민이 생각하며 애지중지 보살피는 푸름이의 마음이 그려져 있는 이야기이다.
두번째 이야기는 '울타리를 넘어서'
'네티'라는 이름의 개를 보기 위해 경비 아저씨의 야단을 불사하고 아파트 사이의 울타리를 넘는 아이들의 이야기이다. 네티가 도둑을 잡는 수훈을 세우자 관리사무소 측에서는 울타리에 쪽문을 만들어 아이들이 네티를 맘놓고 만날수 있게 해준다.
세번째 이야기는 '앵초의 노란집'
앵초는 민우가 새로 이사간 동네에 사는 이상한 여자 아이의 이름이다. 별명이 꼬마무당인 이 여자아이는 무당이었던 할머니가 돌아가신후 새가 되었다고 믿고 소원을 빌며 돌탑을 쌓는다. 처음엔 몸싸움도 벌일 정도로 사이가 나쁘던 민우와 앵초는 점차 둘도 없는 친구가 된다.
네번째 이야기는 이 책의 이야기들 중 제일 좋았다고 생각되는 '괭이 할아버지'
어릴 때부터 책을 좋아하여 책이 많은 곳은 그냥 못 지나쳤다는 작가의 경험담이 생각나는 이야기였다.
알고보니 이 네편의 이야기중 '울타리를 넘어서'와 '앵초의 노란집' 두편은 한권의 책으로 먼저 출판된 적이 있었다.
(2003, 두산동아)
책 앞 머리에서 작가가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을 읽으면서 벌써 마음이 무거워졌다.
미용실에서 일하는 엄마와 단둘이 살면서, 다리의 매자국 때문에 늘 긴 양말을 신고 다니는 아이, 패스트푸드로 점심과 저녁까지 혼자 때워야하는 아이, 그러면서 반 친구들로부터는 따돌림을 당하는 종호에게 반장이며 모범생인 다빈은 은근히 마음이 쓰인다. 하지만 다빈의 엄마는 다빈이가 종호와 어울리는 것을 그리 탐탁지 못하게 생각한다. 그것을 알아챈 종호, 학원을 빼먹고 종호집에 들렀다가 엄마에게 호출을 받고 급히 떠나는 다빈을 보내는 결말 부분이 마음에 울림을 주기에 옮겨 본다.
골목을 나설때 였다.
"윤다빈!"
종호가 불렀다. 돌아보니 어느새 어둠이 내려 골목이 어두웠다. 종호 모습이 잘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목소리는 분명히 들렸다.
"다시는 나랑 안 논다고 해!"
나는 침을 꿀꺽 삼켰다. 별안간 울음이 가슴에 꽉 차는 것 같았다.
나는 고개를 저었다. 어두워서 잘 안 보여도 괜찮다. 막다른 골목에 서 있는 내 친구에게 할 수 있는 대답은 그것 뿐이었다.
황선미 작가는 특히 글의 엔딩 처리를 참 잘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읽고 난 후에도 그 울림이 한참 가도록.
막다른 골목은 종호의 집이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현재 종호의 상황을 의미한 것 같다.
(2001, 두산동아)
작가가 아버지를 그리며 쓴 작품이라고 한다. 과거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아버지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내용 자체가 참신한 소재는 아니었지만, 작가의 생생한 표현력과 등장 인물에 대한 섬세한 심리 묘사로 지루하지 않게 읽혀졌으며, 오히려 다른 곳에서도 많이 접했음직한 흔한 소재로도 이렇게 감동을 주는 글로 써낼 수 있음에 대해 이래서 그녀의 책이 많이 읽히는가 보다 짐작해보기도.
사람은 말야, 복권이 당첨되는 것처럼 살 수 없는거다. 하루 아침에 뭐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는거다. 나쁜 일이든 좋은 일이든 하나하나가 쌓여서 이루어지는거지.
아버지가 아들 찬우에게 한 말이다.
힘든 상황이지만 한줄기 희망의 빛을 보이며 끝맺어서 마음이 가벼울수 있었고, 역시 훌륭한 마무리.
올라타기만 하면 새처럼 날 듯한 말끔한 자전거, 그것은 앞으로 항상 아들을 지탱하기 위해 고단하게 낡아질 아버지의 삶이라는 걸 찬우는 알았다
.
이 밖에 예전에 읽은 책으로'나쁜어린이표'가 있고, 그러고보니 황선미 작가의 대표작이라고 할만한 '마당을 나온 암탉' 도 귀에만 익었지 아직 못 읽어보았다. 포함하여 더 읽어보면서 작가에 대해 더 알아 가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