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트 갤러리 웹 사이트에 가면 주제 별로 그림을 묶어 놓은 곳이 있다.
그 중 '행복 (Happiness)' 이라는 카테고리 아래 있는 그림들을 제일 먼저 클릭해 보았다.
첫번째 그림~

Julius Caesar Ibbetson (1759-1817)
An unmarried sailor's return
결혼 안한 총각 선원의 무사한 귀환을 축하하는 파티가 열렸나보다.
가운데 앉아 있는 사람이 그 선원인가? 옆에 앉아 함께 사랑의 눈길을 주고 받는 여인은 그가 돌아오기를 기다려준 여인일지도 모르겠다. 행복, 그렇지. 그 순간의 기분이 행복 아니고 무엇이랴.
그림의 중앙에만 조명이 비춘 듯 환하게 그려진 기법, 렘브란트의 그림에서 익숙해진, 이걸 무슨 기법이라고 하더라?

William Collins (1788-1847)
Happy as a king
ㅋㅋ 장난치며 노는 아이들. 제목에서처럼 왕이 부러우랴? 밀어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저 나무 문에 타고 있는 저 아이는 다른 아이가 그걸 이리 저리 밀 때마다 떨어질 듯 하는 스릴감으로 더욱 소리를 지르며 즐거워했겠지. 그 모습이 재미있어 보인 다른 아이들도 위로 기어오르고 있다. 그러다 떨어진 아이도 왼쪽에 보이고.

Sir Eduardo Paolozzi (1924-2005)
Sack-o-sauce
우리 집에서 내가 아이에게 잘 안 사주는 먹거리 중 하나가 소시지인데, 언젠가 먹어본 그 소시지가 들어간 핫덕을 아이는 가끔 먹고 싶어한다. 핫덕이 우리 말인 줄 알았는지 언젠가 핫덕이 영어로 뭔지 아냐고 묻더니 바로 '위너'란다. 그러면서 '오스카 마이어' 어쩌구 하길래 무슨 소리인가 했는데 어제 이 그림을 무심코 들여보다가 알았다. 무슨 비밀 암호를 알아낸 느낌 ^^
빨강, 노랑, 파랑 색의 육면체는 어릴 때 가지고 놀던 쌓기 놀이 나무 토막 장남감을 연상시킨다. 꼴라쥬 작품.

Agnes Martin (1912-2004)
Morning
허걱~ 이건 마치 실험실에서 데이터를 뽑아내던 용지처럼 생겼다. 크고 작은 피크가 그려지던.
크기가 182.6 x 181.9 cm이니 꽤 큰 작픔인데, 이 그림이 '행복'이란 카테고리에 들어간 이유는 무엇일까. 작가의 작품 설명을 일부러 안 읽어보다. 내 나름대로 좀 생각해보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