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올 시간. 빨래를 널다말고 밖으로 난 창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온다! 그런데 어깨가 축 처진게, 평소같으면 촐랑촐랑거리며 들어설텐데, 가방을 질질 끌며 힘없이 천천히 걸어오고 있다. 창을 두드리며 손짓을 하고는 현관문을 열어주었더니, 아이가 들어서자마자 내게 안기며 "나, 울었어요..." 그런다.
-왜??
"5학년 J형아 (아이와 같은 버스를 타고 오는 동네 형이다)가 나를 뒤에서 밀었어요. 그래서 넘어졌어요. 나 이제 그 버스 안타고 다녀야겠어요. 엉 엉..."
- 그랬구나...
그리고는 한동안 아이를 껴안고 있었다. 현관에서, 아이는 신발도 아직 벗지 않은 채로.
조금 있다가,
-이제 좀 마음이 가라앉았어?
"네..."
다른 말은 하지 않았다. 더 묻지도 않았다. 요즘 들어 아이는 학교에서도 누가 자기를 괴롭힌다는 말을 자주 한다. 선생님과 면담도 했는데, 실제로 다른 아이들이 괴롭혀서가 아니라, 관심과 애정을 받고 싶은 표현으로 생각된다고 말씀하신다. 아이가 그럴때마다 처음에는 네가 먼저 잘못했다느니, 네가 양보하면 그런 일 없을거라느니, 어른도 하기 힘든 것을 아이에게 참 쉽게도 말했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냥 아이 말을 들어주기만 한다. 거기까지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고 나머지는 시간이 지나, 아이가 좀 더 학교라는 사회에 적응을 하면서 배워나가리라 생각하면서.
그렇지만 물론 마음이 가뿐하지는 않다.
------------------------------------------------------------------------------------
"엄마, 사람은 다 언젠가 죽어요? 그럼, 엄마도 나중에 죽어요?"
- 응, 태어난 것들은 다 언젠가 죽어.
"정말요?"
- 그런데 엄마는 안 죽는 방법을 알아.
"어떻게요?"
- 그건 지금은 비밀이야. 그러니 걱정마.
(네 마음 속에 영원히 살아있을거란다 아이야...)
------------------------------------------------------------------------------------
유태인들은 절대 어린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 환상을 심어주지 않는다고 한다. 죽어서 천국에 간다든지 지옥에 간다든지, 그러기보다는 죽음이란 현상에 대해 처음부터 확실히 사실적으로 얘기해준다고 한다.
그런데 나는 오늘 아이 앞에서 그러질 못했다. 물어보는 아이의 표정이 나도 모르게 저렇게 대답을 해버리고 말았다. 그냥 본능적으로 아이를 안심시켜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화가 안되어 누워있었더니, 아이가 책을 한권 들고 온다. 내 옆에 눕는다. 그러더니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다. 그럴 때 자기가 책을 읽어주면 엄마가 좋아한다는 것을 아는 모양이다. 밤마다 졸려서 헛소리 할 때까지 책을 읽어주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 아이가 내게 책을 읽어준다.
------------------------------------------------------------------------------------
남편이 들어오는 소리에 깨었다. 아이가 책 읽어주는 소리를 들으며 잠이 든 모양이다. 옆을 보니, 책을 읽어주다가 아이도 그대로 잠이 들어있고.
그때가 11시 쯤인데, 문득 엊그제 아이가 빼빼로 데이에 선생님께 빼빼로 초컬릿을 사다드리고 싶다고 했던 기억이 났다. 토요일에 학교엘 가지 않으니 내일 갖다드려야 하는데, 오늘 사다놓는 것을 깜빡하고 잠이 든 것이다. 그 얘기를 듣고 남편이 두말 않고 현관을 나선다. 잠시 후 남편은 아이를 위해 예쁘게 포장된 빼빼로 초컬릿을 사가지고 들어왔다. 마침 동네 제과점 한 곳이 아직 문을 닫지 않았더란다. 아이 가방에 넣어주었다.

(옛날 사진 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