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클레어 > 김윤아 - 봄이 오면

 


     봄이오면 / 김윤아


봄이 오면
하얗게 핀 꽃 들녁으로

당신과 나
단 둘이 봄 맞으러 가야지

바구니엔 앵두와
풀꽃 가득 담아

하얗고 붉은 향기 가득
봄 맞으러 가야지

봄이 오면
연두빛 고운 숲속으로

어리고 단비 마시러
봄 맞으러 가야지

풀무덤에 새까만 앙금 모두 묻고
마음엔 한껏 꽃 피워
봄 맞으러 가야지

봄바람 부는 흰 꽃
들녘에 시름을 벗고

다정한 당신을 가만히 안으면
마음엔 온통

봄이 봄이 흐드러지고
들녁은 활짝 피어나네

봄이 오면
봄바람 부는 연못으로

당신과 나
단 둘이 노저으러 가야지

나룻배에
가는 겨울 오는 봄 싣고

노래하는 당신과 나
봄 맞으러 가야지

봄이 오면
봄이 오면

 

 
 
 
어지러운 거리를 오늘도 하루종일 걸었습니다.
바람이 많이 불었습니다.
낯선 거리를 거닐며
낯선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낯설어
잠시 심호흡을 했습니다.
 
이 봄을,
이 순간을,
이 아름다움을,
이 생을
함께  느끼지 못하고
뚜벅뚜벅 걸어 가야한다는 외톨이의 마음을
들키고 싶지 않았습니다.
 
당신..
날이 많이 따스해졌습니다.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대기가
지치고 시린 육체를
안아주고 있습니다.
 
햇살은,
'네 마음을 열지 않으면
행복해질 수 없어'
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용히
제 머리칼을
쓰다듬어 주었습니다.
 
당신..
다른 이들과 다른 삶을 살고 있는 당신..
쓰라림을 잘 알면서도
가슴 속 모래알을 뱉어내지 않는 진주조개처럼
삶의 상처를 품어 안고는
혼자 외로이 상처를 핥고 있는 당신..
그렇게 세상의 많은 길 중 
자신의 길을 만들어가는 당신,
 
 
자신의 상처만 바라보고 있어서
알아보지 못했었나요?
같은 시간, 같은 거리를 걸어도
알아보지 못하는
눈먼 이들의 사랑이야기가
지금 이 도시의 사랑이야기입니다.
 
당신..
봄밤에 잔잔히 섞여 드는
봄꽃의 향기에
내 향기도 함께 섞여 있다는 것을
알아주세요..
 
하루하루 일곱 날이
 무지개빛깔처럼
하나하나 모여
의미가 있다는 것을
살며시 귓가에 속삭여 주었던 그날은
다시 돌아올 수 없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 봄밤에
당신의 코끝을 스칠
나의 향기의 이름은
'그리움'입니다.
어쩌면 당신이 알아채지 못한다고 해도
없는 것이 아니랍니다.
 
눈먼 이들의 사랑 노래가
이 도시의 사랑 노래랍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4-22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좋아요 가져갈게요

hnine 2006-04-22 14: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지요? 저도 어제부터 내내 듣고 있어요.
 

 

나는 그냥 이렇게 그리워하며 살래

그리워만 할래

눈물나도록 하늘 파아란 날은

하늘이 당신이려니

날 쳐다보고 있나보다 할래

 

자꾸만 비가 창문을 두드리는 날이면

밖으로 나가 손 내밀어

내 손바닥에서 비를 느껴볼래

그리고 반가와 할래, 당신과의 악수라 생각할래

 

지치도록 더운 날

한줄기 바람이라도 잠깐 스쳐지나가면

아! 당신이구나,

나를 위로해주러 당신이 다녀 가는구나

고마와 할래

 

그리움으로 마음 더 무거워지지 말고

마음 멍들지 말고

오히려 가벼워지고, 더 투명해져갈래

훗날

언제가 될지 나도 모를 그 날,

가볍고 투명한 웃음으로

당신 앞에 서고 싶어.

 

 

-- 2006.4.21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6-04-21 2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의 테마는 다 봄이시네요. 황사가 온다던데 날씨는 괜찮습니까? 이런 봄날엔 무채색을 입기가 싫어집니다. 연분홍 치마까진 아니더라도요.

하늘바람 2006-04-22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봄을 기다리다 어느새 봄이 간걸 느낄 것같아요

hnine 2006-04-22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Manci님, 하늘바람님, 끄적거려 놓고는 뭐라고 제목을 달아야할지 몰라 그냥 듣고 있던 노래 제목을 따라 '봄이 오면'이라고 적었어요.
 
 전출처 : 물만두 > 봄날은 간다 - 한영애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가며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

새파란 풀잎이 물에 떠서 흘러가더라
오늘도 꽃편지 내던지며
청노새 짤랑대는 역마차 길에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실없는 그 기약에 봄날은 간다

열아홉 시절은 황혼 속에 슬퍼지더라
오늘도 앙가슴 두드리며

뜬구름 흘러가는 신작로 길에
새가 날면 따라웃고 새가 울면 따라울던
얄궂은 그 노래에 봄날은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감히 이 책을 '용서'에 관한 책이라고 하고 싶다.  누구든 크고 작은 상처 없는 사람 없다는데, 결국에 자기에게 상처를 남긴 그 대상을 '용서'하는 것. 사형수 정윤수가 자기와 동생을 두고 나가버린 엄마를 죽기 전에 용서하고, 자기 딸을 죽인 사형수 정윤수를 그 어머니가 용서한다. 열다섯살때 그 무섭던 일이 벌어지고 나서 벌벌 떨며 매달리는 딸을, 매몰차게 외면했던 엄마를 용서하는 주인공 문유정...

죽을 때까지 죄를 짓고 사는 인간이지만, 또 용서를 할수 있는 것도 인간인가보다.

그 인기가 어떻든,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는 작가가 아니었던 공지영. 그래서 <봉순이 언니>를 끝으로 더 이상 이 작가의 소설엔 관심을 안두고 있다가 우연히 이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으며 난 조금도 행복하지 않았다. '이거 또 한참 가겠군...' 하고, 예전의 영화 Dead Man Walking이나 Dancer in the dark을 보고 난 후를 떠올렸다.

그리고, 공지영의 소설이 예전보다 한 단계 더 깊어진 것 같음을 느낀 것은 나만의 생각인지 모르겠다.

정말 인생이 도대체 뭐야, 사는게 도대체 뭐야, 내 서재 제목처럼 말이다.

내가 용서를 할 대상을 난 언제쯤 용서 할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첫 째;

중학교 때였는지 고등학교 때였는지,

주말의 영화 쯤 되었나보다 늦은 밤 우연히 TV에서 방영되는 영화를 중간부터 보게 되었는데,

그 이후로 지금까지 한번도 다시 그 영화를 접할 기회가 없다 꼭 한번 다시 보고 싶건만.

내용은, 알콜중독 (이었나? 가물가물)에 빠진 엄마와 둘이 사는 한 소녀. 말이 없고 얼굴에 어떠한 감정도 실려 있지 않은, 자기의 관심 분야에 몰두하는 혼자의 세계에 사는 어린 소녀가 주인공이다. 학교에서 과학경진대회 같은 것이 열리는데, 일정 기간 동안 자기가 관찰, 또는 탐구한 내용을 발표하여 잘 된 사람에게 상을 주는 그런 대회이다.  소녀가 택한 주제는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것. 열심히 준비를 하지만, 발표날, 고양이 해부를 하여 자신감에 넘친 친구 쪽으로 우승의 승세는 기울고.

결국 누가 우승했는지도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다만 이 영화를 보고, 자기의 상황이 어떻든, 누가 알아주든 그렇지 않든, 자기가 정한 주제를 가지고 꿋꿋하게 열심히 관찰을 하고 기록하고 정리하는 그 어린 소녀의 모습을 보면서,  공부하는 사람의 자세는 저래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지금의 내 전공을 정하는데에도 분명히 기여를 한 바 있는 그 영화.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실지. 아마도 영화 제목이, 그 소녀의 관찰 제목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과 같지 않았나 싶은데.

그 둘 째;

이건 대학때 읽은 책에 관한 것인데, 친구가 빌려주어 읽게 되고, 너무 맘에 들어 교보문고 가서 어렵게 구해 내것으로 소장하고 있었는데, 누굴 빌려 준 기억도 없는데 아무리 찾아도 없다. 거의 20년이 지난 지금, 다시 그 책을 읽고 싶어 여기 저기 검색을 해보아도 못찾겠으니. 이 책의 제목은 '관 (觀)' . 저자가 기억이 안난다. 위빠사나 라고 명상과 관련된 책이나 꼭 그렇지만도 않은. 페이지마다 간단한 그림이 크게 그려져 있고, 인쇄체가 아닌 손으로 쓴 듯한 글씨체로 몇 줄 안되는 글이 띄엄 띄엄 쓰여있는데, 그 시절 나의 경전이나 마찬가지였었다. 혹시 이 책을 가지고 계신 분이 있을까? 구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4-17 14: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고 도움을 못드려서 안타까워요

hnine 2006-08-22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찾았다 이책. 오늘 동네 도서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