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의외로 멋지다 - 당신 삶에 숨어 있는 '유쾌한 프로젝트'를 찾아서
김진애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나의 테마는 사람, 나의 프로젝트는 세계' 라는 책을 읽고서 김진애 라는 사람에 대해 알게 되고 매력을 느끼게 된 것이 1995년 20대 끝자락.

이후로 저자가 말하듯 자아분열적 30대를 지내면서 '사람으로 자라기 ('자라기 시리즈'로 출판된 세권의 책 중 한권)'  를 읽은 것이 2004년 30대 끝자락.

 '마흔살 성년 파티'를 해야할 때라고 저자가 주장하는 40대에 이르러 읽게된 '인생은 의외로 멋지다'.

어쨌건 계속 일하는 사람이던 나에게, 여성, 남성을 막론하고 자기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모름지기 이 정도의 마인드와 자세(attitude)를 가져야하지 않겠냐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드는 글들이었다.

20대는 부럽긴 하지만 다시 되돌아가고 싶지는 않은 시기라고 한 것이라든지, 위에 말한 '자아분열적 30대 여자'라는 글은 어느 잡지에서 처음 대하고서는 얼마나 공감을 했든지,  내가 느껴오던 것들을 이렇게 글로 딱떨어지게 묘사를 해내는 저자에게 감탄을 금치 못했었다. 40대에도 일하고 있지 않으면 전혀 일을 안 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저자의 소신. 30대 여자를 품평하는 딱 한가지 기준은 근사한 40대로 넘어갈 만큼 될성부른가 하는 것이란다.

어쩌면 글을 이리도 호탕하면서 섬세하게, 자기 철학 분명하게 쓸수 있는가.

나의 경우, 30대의 그 분열적 시기를 결국은 분열로 마감한 때문인지 그리 근사한 40대를 맞이하진 못했다. 하지만 아직 40대의 초반 아닌가? 아직도 치열한 30대의 연장선을 걷고 있는 느낌이지만, 언젠가 오리라.

좌우명이 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저자가 하는 말, '일을 한다. 일을 잘한다. 일을 즐긴다.' 란다. 멋지지 않은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06-03-12 0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져요~~
아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저도 곧 40대 반열에 들어섭니다. 읽어봐야 겠습니다~

이리스 2006-03-12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아분열적 30대 라니.. 으흠.. 어쩐지 위로가 되는 표현입니다.. ^^

hnine 2006-03-12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실님, 책 구하셨다니 재미있게 읽으셨길 바랍니다.
낡은구두님, 읽어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어요.

LovePhoto 2006-03-13 0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아분열적 30대 여자"라.....
"자아분열적 30대 남자"도 있는데.....
 
된장 끓이는 여자
한혜영 / 문이당 / 1999년 3월
평점 :
절판


아주 오래 전에 읽은 소설, 이 덕자의 '나팔수'를 다시 읽는 느낌이었다.

미국 이민자, 중년의 삶, 삶에 대한, 인생에 대한 고단함, 그러면서 한편으로 관조적으로 바라볼수 있는 여유, 나름대로 결국 평화로운 안정에 정착함으로 소설이 마무리 됨으로써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식상하지만 안심되게 하는 것들이라든지.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라면 '된장 끓이는 여자'라는 제목이 안 붙었을것이다.

작가의 시집을 먼저 읽고서, 소설도 낸 적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중 제일 먼저 구해진 것을 읽은 것인데, 작가의 말대로 체험이 우러나오는, 그것이 작가 자신의 체험이든, 아니면 이웃의 체험이든, 솔직한 소설. 그래서 너무 극적이지도 않고, 특별한 문학적인 돋보임이 발견되지도 않았다.

오히려,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장들은 적지 않았던 반면, 전체적인 스토리 자체가 참신하다든지, 감동적이라든지, 미처  생각 못했던 어떤 것을 말해준다든지 하는 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읽게 하는 소설이었다.

미국에서 십년, 이십년을 살아도 된장을 그리워 할 수 밖에 없는, 어쩌면 사람의 입맛이 말보다, 마음보다, 표정보다 더 정직한 것일지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6-03-10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상하게 한국소설이 안 맞는게, 그 '솔직함' 과 '공감' 때문이더라구요.
소설에서만큼은 좀 '다른' 삶을 체험하고 싶은가봐요.

hnine 2006-03-10 1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하이드님, 그게 바로 제가 외국 소설에 올인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랍니다.
이럴수가 ^ ^
 
백만불짜리 습관 - 브라이언 트레이시의 부자, CEO 습관론
브라이언 트레이시 지음, 서사봉 옮김 / 용오름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때 친구가 했던 말이 생각난다.  공부는 시간 날때 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가 습관이 되어야 하는 거라고. 한창 대학 입시로 열올릴 때의 이야기이다.

우리의 지금의 모습은 우리의 습관적인 사고와 행동의 결과이며, 위대한 인격과 능력, 리더의 자질을 가진 사람은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 수많은 세월을 자신을 갈고 닦는데 바쳐온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상적인 미래상을 창조하고, 그렇게 되기 위한 행동들을 습관화 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반복해서 저자는 말하고 있다. 어떤 습관도 연습과 반복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고.

밑줄칠 부분이 많은 책이었고, 나름 유익한 책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3-09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밑줄치며 읽어보고프네요
 

하류에서

 

너의 아름다움을 찾아주기 위해서

내가 더 낮아지고

더러워지는 거다.

 

너의 깊은 슬픔 배 띄워주려고

더 넓어지고 깊어질 뿐이다.

 

그렇지만 너는 연꽃

나는 뻘,

이렇게 흘러흘러

바다에서나 함께 될 수밖에 없는가.

 

찬란히 피어나거라.

네가 지면

바다가 거두어갈 것이다.

 

기다리겠다.

---------------------------------------

성원근, 처음 들어보는 시인이다.

지금 읽고 있는 황경신의 '그림같은 세상'이라는 책 중,

쇠라의 그림 끝에 인용되어 있는 시.

인간 사이의 사랑이라는거, 다 거기서 거기라고,

언제 변할지 모르는, 시시각각 색깔을 달리하는 요술 거울같은 것이라고,

멋대로 생각하고 있는 중에 이런 시를 대하니,

이 시의 대상은 어느 한 사람이 아닐 것이라는,

그런 생각이 든다.

'...찬란히 피어나거라, 네가 지면 바다가 거두어갈 것이다...기다리겠다...'

찬란히 피어나고, 지기 까지 그래서 바다가 거두기까지,

내가 할 일은 그저 기다리는 일 뿐이란 말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6-03-24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시네요. 시 별로 안 좋아하는데...일깨워 주시는 분들이 계세요.^^

hnine 2006-03-24 2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요....저도 어느 순간 좋아졌어요.
 
착한 아이의 비극
가토 다이조 지음, 오근영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자녀에게 너를 보살피는 것이 이렇게 기쁘다는 마음을 전하는 부모와 너를 돌보는 것이 이렇게 힘들다고 전하는 부모가 갖는 의미는 자녀의 심리적 성장에서 전혀 다르게 작용한다. 너를 돌보는 것이 이렇게 기쁘다는 얼굴을 하고 자녀를 보살피면 자녀는 스스로의 존재에 자신감을 가진다...반대로 불편한 심기를 가지고 불편한 표정을 지으며 키운 자녀는 어른이 되고 나서 아무리 성공을 거두어도 그것만으로는 결코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없다...'

이런 책들을 읽을 때마다 나는 정말 여러가지를 떠올리게 된다. 나름대로 나의 성장 과정을 분석한 결과로서 혼자 마음에 담고 있던 것들이, 내가 모르는 사람에 의해서 한권의 책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고백하자. '무언가를 결정해야 할때 난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결정을 해야 부모님의 마음에 들까를 먼저 생각하곤 했어.' 이건 내가 친구와 얘기할때 자주 하던 말 아닌가.

착한 아이로 키우지 말고, 좋은 아이로 키우자고 저자는 말한다. 다시 말하지만 아이를 나의 소유물로 생각하고, 나의 각본대로 키우려고 하지 말자.

'마음의 가면을 쓰고 불안한 '착한 아이'를 연기해 온 모든 사람을 위해'  라는 이 책의 첫장을 보고 이미 덜컹~했음이라...

아이를 낳아서 키우지 않았다면 아마 이 책을 읽을 기회가 생겼을까 생각하니, 아이를 키우며 어른도 다시 태어난다는 말을 실감하겠다.

우리 아이를 비극의 주인공으로 키우고 싶은 부모는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 아이를 키우다는 일은 정말 태어나서 할수 있는 가장 귀한 기회를 부여받은 것이며, 어려운 여정 아닌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5-11 0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