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이츠의 Innisfree 와  프리츠 오르트만의 곰스크

 

공통점은

 

원했으나 끝내 가보진 못한 곳

 

하지만 그들의 삶을 기대 속에 지탱할 수 있게 해준 곳

 

 

 

 

 

 

 

 

 

 

 

 

 

 

 

 

 

 

 

 

 

 

 

밥 하기 싫은 날

집 가까이 있는 한 식당에 갔다

분위기도 좋고

음식도 맛있었는데

 

잘 먹고 들어와 탈이 난건

음식이 잘못되어서는 아니었던 것 같다

남편과 아들은 멀쩡한데 나만 그랬다

식성이 변해가나보다

 

어머니 말씀에 의하면 내가 아주 어릴땐

집에서 고기 요리를 할라치면

옆에 와서 아직 굽지도 않은 고기를 집어먹으려고 할만큼 잘 먹었다는데

중학교때 언제인가부터 고기를 먹지 않는다

심지어 아이를 임신하고 있는 중에도 고기를 한번도 안먹었다

(그 아들 지금, 하루 걸러 한번은 고기 반찬이 있어야 할 정도로 고기 대장이다)

 

고기를 안먹다 뿐이지 그외의 음식은

어디서 무얼 먹어도

내 사전에 소화불량이란 없다! 자신했는데

그게

집에서 내가 만든 맛없는 음식은

맛없으니 많이 먹게 되지 않아서 그런지 별로 문제되는 일이 없는데

가끔 식구들과 함께 하느라 밖에서 먹으면

이렇게 탈 나는 때가 종종 있다

 

나는 아무래도 누가 해준 음식을 편하게 먹을 운명이 아닌 모양 ㅠㅠ

 

 

 

 

 

 

 

 

 

레슨 빼먹기를 밥먹듯 하고

연습도 잘 안해가고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닌데

꼭 다니기 싫은 애 억지로 보내는 것 처럼 배우고 있는 기타

 

벌써 5년째 기타 레슨을 받고 있는 아들 얘기다

 

하고 싶지 않으면 그만 두라고 해도

그건 싫단다

 

그나마 레슨 가기전 몇분 연습을 하나보다 했던 어느 날

처음 듣는 곡인데 어쩐지 마음에 들어오기에

그곡 제목이 뭐냐고 물으니 모른단다

 

성의없는 대답 듣고서 몇분 후

모른다고만 답한게 자기가 생각해도 좀 미안했는지

Bach의 폴로네이즈라고만 한마디 하고 가네

 

Bach의 폴로네이즈가 자그마치 몇개인데 ㅠㅠ

 

악보를 보니 G minor

Youtube에서 찾아냈다

바로 위의 곡 (이건 합시코드로 연주되어 있다).

 

 

 

 

 

 

 

 

 

어쩌다가  스마트폰으로 BBC radio 여러 채널들을 돌리다가 듣게 된 프로그램에서 알게 된 노래

 

통기타 연주를 하며 

통기타 곡으로 아주 어울리는 이 노래를 부르는 이 듀엣 아가씨들은

오래 전 가수들이 아니라 바로 요즘 가수들이다

1994년 영국 출생 Ward Thomas

모던 컨트리 뮤직이라고 해야하나

 

고무줄로 연결된 것 처럼

당신을 떠나려고 해도 자꾸 되돌아오게 된다고 노래하는

이 노래의 제목은 부머랭 (Boomerang)

 

사랑만 Boomerang이 아닌 것 같다고

Karma에, 윤회 까지 떠올리고 있는

나는 아마도 정상이 아닌 것 같아

그냥 단순하게 들으면 될 노래 가지고 말이다

 

 

 

 

 

조각 조각 일상들을 이렇게라도 남겨둔다

일기는 일기장에!

→ 나도 그러고 싶으나

벌써 몇년 째 종이 일기장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상하게 거기에는 자주 쓰지도 않고

써도 너무 어둡고 우울한 얘기만 집중적으로 끄적거려 놓으니

일기장이라고 부르기도 뭐하다

그러니 아주 자세하게는 아니더라도

이렇게 시간이 갔다는 흔적을 남겨놓게 된다

깊이도 없고 연결도 안되는 조각조각들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oule 2017-03-12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기는 알라딘에! 쓰자고요^^ 동영상은 못 봤어요. 제 맥북이 보살핌이 소홀한 탓으로 좀 부실하거든요 요즘. 나중에 유튜브로 따로 찾아봐야겠어요 모던 컨트리라니 궁금해요. 그나저나 식당에 걸린 그릇 액자 예쁘네요. 그릇을 저렇게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니 좀 묘한데요. 저도 찍어봐야겠어요 저렇게.

hnine 2017-03-12 11:02   좋아요 0 | URL
자주는 못써도 알라딘에라도 살아온 흔적을 남겨두려고요 하다못해 저렇게 즐거 들은 음악이라도, 잠시 들렸던 식당이라도요. 저 식당은 피자, 파스타, 리조토, 덮밥 등, 여러 가지 메뉴가 있는데, 식당 이름도 특이해요. 그릇 액자 예쁘죠?
저 쌍둥이 자매 밴드 노래는 컨트리 풍이라 들으면 리듬을 타고 따라 부르고 싶어지게 만들고요, 맨 위의 이니스프리 호도 노래는 딱 그 시 분위기예요. 동영상 찾아보니까 예이츠의 음성으로 직접 읽어주는 것도 있더라고요.

세실 2017-03-12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집에서 내가 만든 음식은 맛 없어서 많이 먹게 되지 않는데 식당에서는 과식해서 더부룩하다는.....어쩜 찌찌뽕입니다.
소식만이 살 길인데 여전히 식탐이 있어요......
아들은 참 힘드네요.

hnine 2017-03-12 11:04   좋아요 0 | URL
저 날은 식당에서도 별로 많이 먹은 것 같지 않은데, 제가 출퇴근 하는 직장 그만두고 나서 너무 집밥에 적응이 되었는지 외식하고 나면 후유증이 생길 때가 많더라고요. 소화만 안되는게 아니고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말이죠.
예전엔 그 수다스럽던 아들이 요즘 리액션이 저 모양이다보니 저희 집 강아지만 저에게 두배로 애정 공세를 받고 있지요 ^
 
[전자책] 어셔가의 몰락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착한문고 영어소설 시리즈 71
에드거 앨런 포우 지음 / 유페이퍼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문해서 배송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어서 e-book으로 다운받아 읽었다. 아주 옛날 우연히 TV 주말의 명화로 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있으나 흑백 영화였고 밤에 혼자 보는데 아주 무서웠다는 것 밖에 생각나는 게 없을 정도로 옛날이었다. 그래도 읽으면 내용이 생각날거라고, 원서로 도전을 했다. 60쪽이 좀 넘는 단편이라는 이유도 있었다. 그래서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웬걸. 모르는 단어도 의외로 많이 나오고, 문장의 길이가 긴 것들이 많아서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 쭉 읽고 났는데 내용을 완전히 파악했다고 할 수가 없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이번엔 되도록 사전을 찾아가며 두번째 읽었더니 비로소 읽었다고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단편이었기에 망정이지.

하지만 내용을 알았다고 해서 이 작품의 문학적 의의까지 이해된 건 아니다. 내일 강의를 더 호기심을 가지고 듣고 싶어서 다른 해설은 보지 않고 참기로 한다.

에드가 앨런 포의 다른 대표작 <검은 고양이> 역시 <어셔가의 몰락> 처럼 미스테리하고 괴기스런 내용이다. 그는 시인으로도 유명해서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시로 <애너벨 리>가 있는데, 나는 지금까지도 읽으며 어디에서 감동을 받아야하는지 모르고 있는 시이기도 하다. 일찍 세상을 떠난, 어린 부인을 생각하며 쓴 것일까?

에드가 앨런 포도 그리 오래 살지 못했고 살아 있는 동안에도 별로 행복한 삶을 살지 못했다고 한다.

만만치 않은 문장들 속에서도 옮겨 적어두고 싶은 표현들이 꽤 있었다. 내일  이 작가에 대해 어떤 강의를 듣게 될지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너오다 - 다큐 피디 김현우의 출장 산문집
김현우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큐 피디 김현우의 출장 산문집 이라고 부제가 붙어 있다. 맞다. EBS 에서 다큐멘터리를 주로 제작해오고 있는 피디의 취재 일기이다. 심각한 주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진지한 성찰의 산물이라기 보다 직업으로서 여러 나라를 취재 다녀야했고, 그때 그때의 느낌을 적은 글을 모아놓은 것, 딱 거기까지. 문학을 전공하였고 이미 여러 프로그램을 제작한 경력에 문학 서적의 번역까지 여러권 낸 연륜이 있는 저자이기 때문에 남다른 감성도 엿보이고 글솜씨도 있다. 책의 제목에서도, 각 모음글의 소제목에서도 뭔가를 기대하게 만들고 있지 않은가. 다 읽고보니 제목은  저자가 직접 정했을수도 있었겠지만고 어쩌면 출판사 편집자가 정했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편집자가 누구인가. 문학동네 김민정 아닌가. 제목 잘 뽑기로 유명한. 저자의 이력을 볼때 좀 더 공을 들였더라면 훨씬 더 울림있는, 책을 다 읽고 덮으며 뿌듯할 수 있는 책을 낼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순간적인 느낌을 매끈한 문장으로 잘 표현한 글과, 더 나아가 그 느낌을 어떤 주제와 연결시켜 자기만의 생각이 담긴 글로 탄생시키는 것과의 차이를 생각하게 해주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컨디션 2017-03-03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외출장 다니면서 글도 쓰고 책도 내고.. 아..
제 눈높이에서 세상을 보건데 이런 삶을 살 수 있다는 건 그야말로 출세 중에 출세가 아닌가 싶습니다.^^

hnine 2017-03-03 13:43   좋아요 0 | URL
해외출장을 자주, 여러 곳을 다녔기 때문에 아마도 쓸거리는 이 책 한권 분량보다 더 많을것으로 짐작되어요. 그런데 아마도 출판사의 의뢰가 이 책을 쓰게 된 동기의 거의 대부분이었는지, 글과 사진 모두 저에겐 좀 아쉬웠답니다.
 

 

http://healthcare.utah.edu/publicaffairs/news/2017/02/chris-gregg-genetics-close-up.php

 

 

http://www.cell.com/neuron/fulltext/S0896-6273(17)30057-0

 

 

기계와 기술의 발달로 젊음과 건강을 몇년 까지 연장 시킬 수 있을지 모르나,

그리고 아직은 그게 전 인류의 희망사항인 것처럼 생각하기 쉬우나,

과연 그럴까?

 

위의 기사에서 우리는 또한번 현재 알려져 있는 유전과 뇌과학 상식에 한방 맞지 않았는가.

멘델의 유전 법칙이 절대 진리가 아닌 예는 이미 유전 법칙이 발표된 이후로 지금까지 계속 알려져 오고 있고, 그것이 멘델 법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기 보다는 모든 법칙에는 예외가 있기 마련이라는,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하나의 예로 인정될 뿐이다.

 

원하는 유전자를 마음대로 조작하여 원하는 유전자형의 인간을 만든다는 것은 사실 현재 기술 수준으로만 보면 그렇게 불가능한 미래는 아니다. 얼마전에 npr news에서도, 강력하고 제한적인 조건하에서 유전자 조작을 허용하는 방침이 곧 실행될거라는 기사를 들었다.

 

하지만 생명현상은 우리가 예상한대로 꼭 실현되지 않는다. 98%까지는 가능할지 모르나 100%는 아주 다른 세계.

나머지 2%는 영원한 장벽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인간에게 전해지는 유전자는 부모 양쪽으로부터 하나씩 물려받게 되어 있고, 양쪽 유전자가 다른 대립형질일 경우 우성 유전자가 발현된다는 것. 이것이 멘델의 유전 법칙중 우성의 법칙이고, 이 법칙은 각 유전자에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멘델의 유전법칙중 독립유전의 법칙인데 위의 기사의 내용은 부모중 어느 한쪽에 편향되게 닮는다는 것이다. 즉, 각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같은 형제라 할지라도 어떤 자식은 엄마 쪽 유전자를 많이 발현시키고 어떤 자식은 아빠 쪽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많이 발현시킨다는 것이다.

왜?

어떤 기작으로?

이건 연관과 또 다른 차원에서 설명되어야 할 현상이다. 아직 우리가 모르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아직 우리가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 조차 잊고 살지는 않는가.

 

 

 

 

 

 

 

 

 

 

 

 

 

 

 

 

 

 

 

 

 

 

 

 

인간의 수명이 계속 연장된다면 인간은 과연 행복할까.

벌써 오래전인데 위의 책을 읽고서 받은 그 놀라움과 충격을 잊을 수가 없다. 이건 무슨 미래 소설도 아니고 SF 도 아니다. 그저 아이들에게 많이 권장되고 있는 고학년 정도가 읽을만한 이야기 책이다. 우리 나라에 <트리갭의 샘물>이라고 번역되어 나와있는.

 

어쩌면 문학은 과학이 설명할 수 없는, 예측할 수 없는 그 너머를 내다볼 수 있겠구나 생각했던 것도 저 책을 읽고 나서이다.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은 98%까지는 설명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100%는 아니다.

그래서 오만해서도 안되겠고, 그렇다고 98%까지 알아내기까지의 인간의 노력과 기술과 능력을 무시해서도 안될것이다.

 

 

* 98%라는 수치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값이 아니라 100% 에 못미치는 값으로 예시한 것일 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alph 2017-02-26 2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의 기사를보니.. 아는게 많아질수록 모르는것이 많아지는 것이....과학이 그런게 아닐까하는 생각이드는군요

hnine 2017-02-27 06:51   좋아요 0 | URL
네, Ralph님은 아시겠지만 random X inactivation이나 genomic imprinting 같은 것 외에도 또 어떤 후성유전학적 효과가 밝혀지지 않은채 존재하고 있는지 모르고 있고, 그런 후성유전학을 조절하는 것은 또 무엇인지, 그리고 이런 효과가 뇌신경 세포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또 무엇을 의미하는지...잠깐 위에 링크한 Neuron 저널의 논문만 읽어도 모르는 것이 꼬리를 물고 이어집니다.
말씀하신대로 아는게 많아질수록 모르는것도 함께 많아지니, 빙산의 안보이는 부분의 존재를 의식하고 있어야하고 아마도 과학의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누구보다도 그것을 피부로 느낄지 모르는데 그것이 상업성과 연결되어 대중에게 과장되게 발표되거나 일부 사실만 알려지게 되면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2017-02-27 23: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발견

봄까치꽃

 

 

 

 

 

 

 

 

 

 

 

 

 

 

마곡사 다녀온 날

 

 

 

 

 

 

땅이 폭신폭신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새아의서재 2017-02-26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ㅡㅡㅡㅡ름...다워요!!!

hnine 2017-02-26 08:20   좋아요 1 | URL
저 꽃이요, 얼마나 작은지 눈에도 잘 안띄어요. 엄지 손톱보다도 더 작을걸요.
마곡사는 벌써 몇번째 가는지 모르는데, 저보다 더 오래전부터 마곡사에 와봤던 남편은 마곡사 들어가는 입구가 너무 상업화되었다면서 늘 안타까워해요.

새아의서재 2017-02-26 0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꽃은 돌 때문에 눈에 들어오다 말았어요.. 마지막 사진, 흙과 돌, 돌의 각각의 색과 담벼락과 처마의 그림자.. 그 마지막 사진에..뿅!! (꽃에게.. 미안해야할까요? ㅜ ㅜ )

hnine 2017-02-26 11:33   좋아요 0 | URL
그쵸? 차량진입방지용 말뚝을 콘크리트 말뚝이 아니라 저렇게 자연석을 주워다 적당히 세워놓았더라고요. 담벼락 배경은 볼때마다 찍고 싶은 유혹을 느끼는 배경이고요. 담쟁이가 있으면 담쟁이까지, 그늘이 드리우고 있으면 그늘까지...^^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블루데이지 2017-02-26 1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봄에 가면 그만이라는 춘마곡이지만..저는 개인적으로 사계절이 모두 아름다운 곳이라고 생각해요^^특히 한여름 비 많이 온 다음날 계곡을 따라 걷는 길이 매우 매력이지요~ 잊고 지냈던 마곡사! hnine님 덕분에 오늘하루를 기분좋게 이어이어 갑니다. 빙둘러가는길이 설레임을 주는 마곡사 저도 떠나볼래요~봄까치꽃 만나러^^

hnine 2017-02-26 16:27   좋아요 0 | URL
블루데이지님도 마곡사 좋아하시죠? ^^ 한여름 비 많이 온 다음날, 꼭 가보고 싶어요. 별로 말이 없는 제 남편이 마곡사만 가면 수다스러워져요. 옛날엔 이랬는데 저랬는데, 어떤 일이 있었는데, 하면서 얘기가 끊이질 않지요. 어제도 예전에 뭐가 있던 곳까지 한번 가보자고 하는걸 제가 다리 아프다고 핑계대고 돌아왔어요.
볕이 잘 드는 곳엔 저렇게 간신히 보일 정도의 꽃이 피기도 했고, 그늘이 진 쪽은 아직도 얼음이 있고, 그렇더군요. 날이 좋아서 그런지 어제는 사람들이 꽤 있었어요. 매화 피고 벚꽃 피면, 어디나 그렇겠지만 여기도 무척 아름다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