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잘 쓰는 말이 아닌데 예전엔 "숙직"이라는게 있었다. 직원들이 돌아가며 집에 안가고 잠을 자며 직장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아버지도 한달에 한번씩 숙직인 날이 있었고 그 날은 내가 엄마 옆에서 잘 수 있는 날이기도 했다.
새달이 시작하면 할머니에게 묻곤 했다.
"이번 달엔 아빠 숙직날이 언제예요?"
"그건 왜 묻냐?"
"......"
단순히 엄마 옆에서 잘 수 있다는 것 뿐 아니었다. 새벽에 일찍 출근하시고 밤 늦게나 집에 돌아오시는 아버지는 늘 피곤해보였고 웃으시는 법이 없어, 보기만 해도 무서웠다. 나와 동생들은 아버지가 집에 계시다는 것만으로도 저절로 긴장, 말도 소근소근, 발도 까치발로 걸어다니며 괜히 앞에 얼쩡거리다가 야단맞는 일이 없도록 조심 조심해야했다. 아버지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는 일이란 없었다. 그러니 아버지가 하루쯤 집에 안계신다는 것 자체가 어딘가 숨통을 트이게 한 것이다.
커서도 아버지를 어려워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할 일을 뒤로 미루거나, 몸을 사리거나, 무슨 일이든 대충 하는 법이 없는 아버지 맘에 드는 자식이 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더구나 나는 삼남매의 맏이었기 때문에 하나의 역할이 더해졌다. 네가 제대로 못하면 동생들도 다 그렇게 되고 만다는. 그 말씀이 어찌나 부담이었던지 지금도 나는 누가 아무 사심없이 "언니~"라고 불러도 움찔한다. 언니 역할을 해야하는 것 아닌가 해서. 그때부터 나는 결심했다. 나는 나중에 절대 저렇게 무서운 부모가 되지 말아야지!
그런데 막상 내가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면서 조금씩 아버지가 이해되기 시작했다. 물려받은 재산 한 푼 없이, 내 힘으로 가정을 꾸려나가는 가장의 부담과 책임감이 어떠했을거라는 걸, 마찬가지로 거의 바닥부터 시작한 나의 결혼 생활을 해나가며 알게 된 것이다. 이해가 되기 시작한 정도가 아니라 그런 상황에서도 아버지께서 나에게 해주신 것들이 하나씩 둘씩 생각나 아버지를 조금씩 다시 보기 시작했다. 지금처럼 자가용이라는게 있기도 전이고 통금 시간이 다 되어 들어오시면서도 그때 막 배우기 시작한 피아노에 재미 붙인 나를 위해 그때 배우고 있는 피아노곡이 뭔지 물어보시고는 그 곡이 들어있는 레코드를 사러 시내 대한음악사까지 일부러 다녀오시기도 했고, 내가 중학교 들어가기 전 겨울방학때 내게 미리 한문 공부를 시키시기 위해 중학교 국어 책에 나오는 한자를 손수 펜글씨로 다 적어서 한권의 교재를 만들어주시기도 했다. 파는 것 사도 되는데 굳이 손수 만드셔서 그 교재로 나중에 동생들까지 공부할 수 있었다.
부모에게 자식은 다섯살이든 오십이든 그냥 똑같은 자식일뿐.
세달전 아버지께서 처음 병원에 입원하신 날 내가 찾아갔을때, 아버지는 옆에 계신 엄마에게 말씀하셨다.
"이봐, 내려가서 OO이 맛있는것좀 사줘. 멀리서 왔는데."
중환자실 침대에 누워서 당신은 식사도 제대로 못하시면서 병문안이랍시고 들른 나이 오십된 딸에게 맛있는 것좀 사주라고.
그 말씀이 아버지로부터 내가 들은 마지막 말씀이 될 줄이야.
인공호흡기, 투석, 삽관, 수혈, 패혈증, 다제내성균 (수퍼박테리아라고 흔히 말하는) 감염, 심폐소생술...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온갖 고생 다 하신지 95일만에, 가족들 모두 임종을 지키라는 연락을 받았다. 투석기를 빼고 나자 심박동수 (Heart rate)가 서서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40에서 39, 38, 37...
중환자실에서 마지막까지 아버지를 담당해주시던 주치의 선생님. 나이가 아직 많아 보이지 않은 젊은 선생님이 일부러 아버지에게로 와서 엄마와 가족들을 위로해주고 인사를 하고 갔다.
"이 수치가 20이하로 떨어지면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라고 간호사가 말했다.
그걸 기다리고 있는 동안 참 참담했다. 하지만 아버지만큼 참담했으랴. 아버지의 몸은 이미 어디 하나 성한 곳이 없었고, 90여일 동안 의식이 없으셨지만 설마 마지막까지 아무 눈길도 안주시고, 인사도 안받으시고 가실까 했는데, 결국 그렇게 가셨다.
음악을 좋아하시던 아버지께서 평소에 나 죽을때 이 음악 틀어달라고 했던 것이 문득 생각나서 그 음악 (이 앞 페이퍼에 올린 음악,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을 틀어드리니 일시적으로 호흡수가 60으로 뛰는 것을 보았다. 불러도 흔들어도 아무 반응 없으신 아버지께서 음악을 알아들으신걸까?
다린이네 집 (우리집)에 한번 가고 싶다고 몇번을 말씀하시는걸, 제대로 치우지도 못하고 사는 집안 꼴 보여드리면 아버지 성격에 마음에 안드실까봐, 아니 그것보다도 내가 책 잡히기 싫어서 미루기만 했는데 결국 우리집에 와보지 못하셨다.
이제 아버지는 매일이 숙직이네. 매일 매일 집에 안계시네.
아버지께서 좋아하시던 음악을 틀어놓고 자꾸만 운다.
영정 사진 속의 아버지는 마치 청년같은데.
그 아버지를 제일 많이 닮았다는 나는 믿어지지가 않아서 자꾸만 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