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우연히 알게 된 '작은 서점'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 궁금해서 들어보았다.

방송한지 얼마 안되는 신생 프로그램이다.

'역사저널 그날'의 아나운서 최원정과 장강명 작가님이 진행을 한다.





처음 들은 이날, 은희경의 '새의 선물'애 대한 이야기였다.

1995년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이 작품으로 문학동네라는 출판사도 알게 되었고,

이 작품에 반하여 한동안 은희경의 작품들을 읽었더랬다.

그리고 잊고 있었는데... 방송을 들으니 옛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벌써 30년 전 일. 그때의 나로 다시 돌아갔다.

책이나 노래는 예전의 나를 소환해서 좋다. 물론 안 좋은 기억이 있을 때도 있지만.

개정판이 나왔고, 100쇄 기념판이란 얘기는 방송을 통해서 알았다.

아! 다시 읽어봐야지 싶어 얼른 구매했다.

(알라딘이 적립금을 자꾸 준 덕분, 시니컬한 게 인상적이었던 '마이너리그'도 다시 읽어봐야지)

물론 아직 읽지는 못했다. ㅠㅠ




첫 방송이 맘에 들어 아예 KBS 라디오 앱 콩 KONG을 설치했다.

그리고 매일 오후 11시, 자동 실행되게 루틴을 설정해놨다.

알람을 맞춘다거나 시간을 확인하거나 하지 않아도 되니 편하다.

지금도 꾸준히까지는 아니지만 챙겨 들으려고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미식경제학
토스.박민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반개 정도는 빼고 싶다.
판형이나 편집은 좋았지만, 그 폭이 좁은 판형의 제약때문에 도표같은 참고자료들이 잘 안보인다
내용면에서도 B주류경제학과 살짝 겹치고 보기보다 정보의 양도 적다
덕분에(?) 한 권 후다닥 읽긴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20250602.

'밤에 우리 영혼은'에 관심을 갖게 된 건, 2020년 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 때문이다.

(찜한지 5년 만에 읽었다 ㅋ)

드라마를 완전히 몰입해서 봤었고, OST도, 주조연들의 연기도 다 좋았다.

(특히 예지원이 연기한 그런 친구 같은 존재가 부러웠다)

주옥같은 대사들은 이제 다 기억나지 않지만, 그때의 좋았던 기억은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다.

그 해, 이례적으로 김선아와 감우성이 연기대상 공동 대상을 받았더래서 기억에 더 남는다.



저 표지 보니 '밤에 우리 영혼은'이 맞네.

드라마에서 불면증에 시달리는 김선아에게 책을 읽어주고, 같이 잘래요? 이런 대목이었는데 책 내용이 좋았던 기억이 계속 남아있었다.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도대체 어느 대목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드라마의 이 장면은 책 내용과도 일치한다.

북플 이웃 h님이 영화도 있다고 알려줘서 반가워 책을 읽은 후 영화도 봤다.



https://youtu.be/MjVzSnkmF2Q?si=ld7YRszsTR0FWM9u

'밤에 우리 영혼은' 책은 2015년 출간된 것으로,

저자 켄트 하루프가 사망하기 몇 주 전(2014년)에 완성한 작품이라고 한다.

영화는 2017년 작으로 로버트 레드포드와 제인 폰다가 주연을 맡았고,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영화 관련 포스팅을 보다 보니 '노년의 성생활'이라는 주제로('죽어도 좋아' 같은) 다룬 글도 있었지만,

내가 느끼기엔 그보다 훨씬 더 따뜻하고 인간적인 이야기였다.


내일 어떻게 되는지 보죠. (p.79)

한번 두고 보세요.(p.86)


크게 특별한 대사도, 거창한 결말도 없지만 나는 이 대목에서 어쩐지 위로를 받았다.

대체로 문장이나 대사가 짧고 절제된 표현이 삶에 대한 태도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지금 당장 큰일이 날 것 같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 같지만,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물 흐르는 대로 두어라,

좀 더 여유롭게 생각해라... 이런 메시지 같았다.


책도, 영화도 모두 잔잔하고 조용했다.

그게 좋았다.

삶이 조용히 흘러갈 수 있다는 것, 나이 들수록 그런 이야기들이 더 깊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20250522.

저자의 '당신도 느리게 나이들 수 있습니다'와 크리스 반 툴레켄의 '초가공식품' 에 이어 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관한 책.

저자가 여러 매체를 통해 강조한 렌틸콩, 올리브오일, 두유, 블루베리, 채소라는 결론!에 대해 왜 그런지 여러 근거를 제시한다.


거기에 상식적인 선에서의 건강비결법인 충분한 운동, 술과 담배의 자제는 당연한 것이고, MIND 식사법을 강조했다. (MIND = Mediterranean-DASH Intervention for Neurodegenerative Delay, 지중해식 + DASH식 식단의 장점을 결합해서, 뇌 건강에 최적화한 식사법)

15점 만점 중에서 현재 나는 11점이다. 와인은 마시지 않는 것이 더 긍정적인 걸 고려하면 12점.

내 식습관 중, 튀기지 않은 생선류에 신경을 쓰면 점수를 더 올릴 수 있을 것 같다.

궁금한 건, 여기에 베리류를 제외한 과일-아, 여름 과일은 다이어터에게 너무 힘들다 ㅠ-은 어떤지...

과일류 당지수는 제시하지만 이게 많이 먹는다고 좋진 않을게 뻔하다.

상식선에서 섭취하기로.

현재의 식단을 더하기와 빼기로 리모델링 해보자.

GMO콩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는데 책을 읽고 먹는 게 낫다는 결론. 안심이다.


올리브오일이 킹오브오일이라는데, 어디서 주워들은 바로는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E가 올리브오일보다 많은 아보카도오일이라고도 한 것 같은데 저자는 아보카도오일에 대한 언급은 없다.

(똑바로 주워들어야 하는데 저장 공간의 한계로 매번 결론만 기억해서라고 변명함)

저자가 평소 탄소배출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아 아보카도가 탄소배출량이 어마하다고 해서 아예 고려하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올리브오일, 렌틸콩 등등이 좋은 건 알겠는데, 매일 똑같은 걸 먹을 순 없잖아?

(아침은 거의 똑같은 걸로 10개월째 먹고 있지만 질리지 않긴 한다.)

이에 대한 예시로 저속노화 주간식단표와 응용 레시피가 있다.

참고할 만은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20250511.

지난 3월, 증권사 오프라인 세미나에 참석하고서 트럼프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게 되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까지는 아니더라도 대비하고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그때 추천받았던 책이었다.

트럼프 자서전이 있다는 것도 이때 알았다.

그밖에 관련 도서들도 꽤 많네.

왜 읽어볼 생각을 못 했었지?

초판은 1987년 출판되었고, 국내 번역은 2016년이다.

1987년 시점으로 읽는데 지금과도 참 맞아떨어진다.

워낙 오래된 얘기지만 현재의 트럼프 성향이 다 드러나 있다.

Art, 기술보다는 예술에 가깝다.

반트럼프 입장에서 보면 미치광이가 분명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배울 점도 꽤 있긴 하다.

그의 말 한마디에 울고 웃게 만드는 방식이 맘에 안 들긴 하지만,

전략적으로 이용해 볼 수도 있을 듯. 어려워서 그렇지.

책은.... 재미없다. ㅋ


나의 사업 스타일 11가지 원칙

1. 크게 생각하라

2. 항상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라

3. 선택의 폭을 최대한 넓혀라

4. 발로 뛰면서 시장을 조사하라

5. 지렛대를 사용하라

6. 입지보다 전략에 주력하라

7. 언론을 이용하라

8. 신념을 위해 저항하라

9. 최고의 물건을 만들어라

10. 희망은 크게, 비용은 적당히

11. 사업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