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권세와 하나님의 교회 - 교회의 참된 소명은 무엇인가
마르바 던 지음, 노종문 옮김 / 복있는사람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BC 시사보도 프로그램인 '뉴스후'가 설날을 전후하여 한국교회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렸다. 누리꾼들은 물 만난 물고기처럼 인터넷에 흙탕물을 튀기고 있고, 교계는 한국교회를 일방적으로 폄훼했다고 격앙하는가 하면 자성의 목소리도 내고 있다. 크리스천 언론인들은 조심스럽게 보도 태도를 문제 삼는다. 역사는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영웅도 만들고 역적도 만든다. 내가 보기에 MBC는 미디어의 권세를 악용하여 정치적 권세와 밀접한 한국교회에 공영방송이라는 경제적 권세를 지키려고 악마적 권세를 행사하고 있다. MBC처럼 악의적으로 한국교회를 흠집 내려는 언론사가 있는가 하면 마르바 던처럼 애정을 가지고 교회를 갱신하려는 선각자도 있다. 던은 예수님이 세상 권세를 물리치셨지만 우리는 타락한 세상에 오염됐다고 한탄한다. 목사님들은 어떻게 하면 이웃을 도울까를 논의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교세를 확장할까를 고민한다고 개탄한다. 던은 교회의 고유한 사명은 약함이라고 주장한다. 성경에는 약함이라는 주제가 널리 퍼져있다고 예증한다. 예수님은 영광의 메시야가 아니라 고난의 메시야다. 우리는 스스로 구원할 수 없고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등등. 그러나 우리는 약함을 부끄러워하고 강함을 자랑스러워한다. 일부 대형교회 목사님들이 호화 생활을 하는 것도 미흡한 자녀에게 교회를 승계하는 것도 어쩌면 강함에서 나온 오만한 처사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강하다고 생각할 때 하나님은 채찍을 드시지만 우리가 약하다고 고백할 때 하나님은 능력을 펼치신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만나와 메추라기를 내려주셨던 것도, 엘리야에게 떡과 고기를 날라다주셨던 것도 약함을 통해 얻는 은혜이리라. 던은 지금은 전투중이라고 경각심을 불어넣는다. 마귀는 굶주린 사자처럼 우리를 노리고 있다. 우리는 혈과 육이 아니라 정사와 통치자들을 상대하고 있다. 우리는 세상 권세보다 약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어야 한다. 전신갑주는 단순한 방어용 무기가 아니라 마귀를 축출하는 공격용 무기다. 우리는 전쟁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쟁을 억지하기 위해 무장해야 한다. 전쟁에서 패배한다면 우리는 강하다고 착각하게 되고 하나님은 우리를 외면하시지만 전쟁에서 승리한다면 우리는 약하다고 고백하게 되고 하나님은 우리 안에 거하시게 된다. 하나님이 내주하실 때 우리는 내 배를 불리지 않고 이웃을 향해 다가가게 되고, 하나님이 내주하셔야만 우리는 바다를 오염시키는 적조가 아니라 세상을 정화시키는 황토가 될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약함 안에서 강해지신다. 한국교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교인 숫자가 아니라 약함을 발견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 17:1-9 그의 말을 들으라.

김영삼 전 대통령은 중대한 결단을 내리기 전에 측근들을 이끌고 산행을 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예수님도 중요한 일(갈릴리에서 사역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들어가는 일)을 앞두고 핵심 제자들(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시고 높은 산에 올라가셨습니다.(마17:1) 성경학자들은 마태복음 16장 13절을 통해 예수님이 빌립보 가이사랴 지방에 계셨기 때문에 이 산이 헐몬 산이거나 아니면 갈릴리에 있는 다볼 산일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사실 이 산이 어느 산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이 산에 올라가신 이유가 중요합니다. 성경을 보면 산은 특별한 장소입니다. 모세는 시내 산에 올라가 하나님을 만났습니다.(출24:12이하) 엘리야는 호렙 산에서 하나님을 만났습니다.(왕상19:8이하) 시내 산과 호렙 산은 동일한 산입니다. 성경에서 산은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였습니다. 장광영 전 감독회장님은 산 기도를 하다 성령님을 체험하고 하산하는 길에 꼽추를 만나는데 간절히 기도했더니 나았다고 합니다. 오늘날도 산은 하나님을 체험하는 장소입니다. 기도원을 보십시오. 대부분 산에 있잖아요? 그러나 저를 비롯해서 갈수록 산 기도를 안 하는 것 같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께 가까이 나가기 위해 산에 올라가셨습니다.

예수님이 산에 오르시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도 중요합니다. 산에서 예수님의 모습이 변하셨습니다. 얼굴이 해 같이 빛나며 옷이 빛 같이 희어졌습니다.(17:2) 출애굽기 34장 29절 이하를 통해 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내려 올 때에 얼굴 피부에 광채가 났다고 합니다. 예수님도 얼굴이 해 같이 빛났습니다. 다니엘서 7장 9절을 통해 하나님의 옷은 눈 같이 희다고 말씀합니다. 예수님도 옷이 빛 같이 희어졌습니다. (저도 기도하다가 환상 중에 예수님을 보았는데 옷이 빛 같이 희었습니다.) 그러더니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님과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모세는 율법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신명기 18장 15절을 통해 모세는 하나님께서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일으키신다고 말했습니다. 모세는 메시야가 오신다고 예고했습니다. 엘리야는 선지자를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말라기 4장 5절을 통해 메시야가 오시기 전에 엘리야가 먼저 온다고 예언됐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이 엘리야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11:14) 엘리야는 메시야의 오실 길을 준비한 선구자입니다. 예수님은 산에서 얼굴이 해 같이 빛나고 옷이 빛 같이 희어져 율법을 대표하는 모세와 선지자를 대표하는 엘리야와 이야기를 나누셨습니다.

베드로의 반응도 궁금합니다. 베드로는 아이가 어른들 이야기에 끼어들듯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가 이야기를 나누는데 끼어들었습니다. 베드로는 이스라엘의 삼대 절기 중에 하나인 장막절이 되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노예에서 구원하신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초막을 짓듯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가 이야기를 나눈 것을 기념하여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했습니다.(마17:4) 베드로는 예수님이 영광스럽게 변모하신 것을 보고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했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영광이 있기 전에 고난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간과했습니다.(마16:21) 오늘날도 눈물로 씨를 뿌리지 않으면서 기쁨으로 단을 거두려고 합니다. 무임승차를 하려고 합니다. 차려 놓은 밥상을 받으려고 합니다. 고난이 없는 영광은 모래위에 지은 성과 같지만 고난이 있는 영광은 반석위에 지은 집과 같습니다. 고난은 성장통입니다. 어찌 보면 우리 교회는 지금 고난을 겪고 있습니다. 나중에 영광을 누리기 위해서입니다. 지금은 아주 미약하지만 나중에는 심히 창대해질 겁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의 영광스런 모습을 보고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했습니다.

하나님의 반응도 궁금합니다. 베드로가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할 때에 빛난 구름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를 덮으며 구름 속에서 소리가 들렸습니다. 성경에서 구름은 하나님이 임하셨다는 상징입니다. 하나님은 구름 기둥으로 애굽을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인도하셨고(출13;21), 솔로몬이 성전을 봉헌할 때에 구름으로 가득하게 임하셨습니다.(왕상8:10) 하나님은 시내 산을 덮은 구름 속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듯이(출19:9) 높은 산을 덮은 구름 속에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이 세례를 받고 물에서 올라오실 때 세례자 요한에게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마3:17)고 말씀하셨듯이, 높은 산에서 영광스런 모습으로 변형되셨을 때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들으라는 듣고 순종하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예수님이 메시야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과 욕심을 버리고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제자들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두려워하였습니다. 성경을 보면 거룩하신 하나님이 임하시면 죄로 얼룩진 인간들은 두려워합니다.(단10:7-9) 예수님은 어떻게 반응하셨을까요? 예수님은 두려워서 떠는 제자들을 손으로 어루만지시며 두려워하지 말라고 위로하셨습니다.(마17:7) 예수님은 죄 지은 인간들을 대신해서 속죄의 피를 흘리셨습니다. 제자들이 눈을 들어 보니 구름도 사라졌고 모세와 엘리야도 사라졌고 예수님만 보였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산에서 내려오시면서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기 전까지 보고 들은 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당부하셨습니다.(마17:9) 제자들은 예수님이 메시야일 것이라고 짐작은 했으나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나서는 메시야라고 확신하게 되었지만 아무에게도 발설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이 신분을 감추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마태복음 16장 13절 이하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수님을 선지자라고 생각했으나 베드로는 예수님을 그리스도(메시야)라고 고백했습니다.(마16:16) 베드로는 예수님이 로마의 압제로부터 이스라엘을 해방시킬 영광의 메시야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16장 21절을 통해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올라가 유대교 종교지도자들에게 많은 고난을 받고 죽임을 당하고 삼일 만에 살아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대신해서 돌아가실 고난의 메시야라고 밝히셨습니다. 예수님이 고난의 메시야라고 설명해줘도 제자들은 영광의 메시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분을 감추셨습니다. 

예수님이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따로 데려가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예수님에게는 500명의 제자가 있었고(고전15:6), 70명의 제자도 있었고(눅10;1), 12명의 제자도 있었고(마10;1-4), 3명의 애제자도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이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후에 초대교회를 이끈 제자입니다.(행1:15), 야고보는 12제자 중에서 가장 먼저 순교한 제자입니다.(행12:2) 그리고 요한은 가장 늦게 순교한 제자입니다. 갈라디아서 2장 9절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이 초대교회의 기둥이라고 증언합니다.(여기서 야고보는 12제자 야고보가 아니라 예수님의 동생 야고보입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크게 쓰시려고 높은 산으로 제자들을 데리고 가셔서 영광스럽게 변형된 모습도 보여주시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말씀도 듣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도 크게 쓰시려고 놀라운 은혜를 베푸십니다. 정선희 사모님이 기적적으로 방송대학교를 졸업할 수 있는 것도 하나님께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시다고 생각됩니다. 하나님은 ‘너희는 그의 말을 들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헤아려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가 순종하면 하나님께서 크게 들어 쓰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설교자는 시인이 되어야 한다
월터 부르그만 지음, 주승중.소을순 옮김 / 겨자씨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저명한 구약학자가 펴낸 설교학 도서라 설교학자가 펴낸 도서와 뭔가 다를 거라는 기대를 가졌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1989년 미국 예일대학교의 라이만 비처 설교학 강좌에서 강의한 내용을 편집한 것이더군요. 필립스 브룩스의 [설교론 특강,1877]처럼 말이죠. 나는 설교자는 시인이 되어야 한다는 제목을 보고 새로운 설교학 운동을 반영한 책이라고 확신했습니다. 저자는 구약성경의 예언자는 오늘날의 시인이었다며 설교하기는 세상에 대한 시적인 해석 작업이라고 주장하네요. 유진 로우리가 수사학에서 시학으로의 전환을 역설했듯이 말이죠. 나는 저자가 설교를 위해서 성경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해주기를 바랬습니다. 저자는 설교자가 시인의 상상력으로 성경을 해석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트렘퍼 롱맨3세가 구약의 시는 압축성과 평행법과 비유법으로 이루어졌다고 했듯이 말이죠. 나는 산문 주도적인 설교에서 운문 중심적인 설교로의 전환을 역설한 총론에는 공감하지만 각론으로 들어가 설교자들이 어떻게 현실화시킬 수 있는지 방법론의 제시가 미약해 큰 도움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 책은 설교학 도서라기보다는 설교자를 위한 해석학 책이라야 할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ristianity Today: Top 50 Books That Have
Shaped Evangelicals*
Hurst Library
Northwest University


The living Bible, paraphrased (1971). Wheaton, IL: Tyndale House. 220.52083 L785, 1971

Anderson, B. W., Butler, J. T., Conrad, E. W., & Ollenburger, B. C. (1985). Understanding the word:
Essays in honour of Bernhard W. Anderson. Sheffield, Eng.:JSOT 220.6 U55

Andrew, Sherrill, J. L., & Sherrill, E. (1967). God's smuggler. Old Tappan, NJ: F. H. Revell Co. 266.347
A562gr

Bonhoeffer, D. (1959). The cost of discipleship. New York: Collier Books. 226.9 B714c, 1959r

Briner, B. (2000). Roaring lambs: A gentle plan to radically change your world.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261.1 B8582r, 2000

Bruce, F. F. (1960). The new testament document : Are they reliable (5th ed.). London: Inter-Varsity
Fellowship. 225.13 B886n

Cloud, H., & Townsend, J. S. (1992). Boundaries: When to say yes, when to say no to take control of your
life.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 House. 248.4 C647b

Coleman, R. E. (1964). The master plan of evangelism. Westwood, NJ: F.H. Revell Co. 269.2 C692m

Colson, C. W. (1976). Born again. Old Tappan, NJ: F. H. Revell Co. 248.20924 C723b, 1997

Dobson, J. C. (1970). Dare to discipline. Wheaton, IL: Tyndale House Publishers. 649.1 D635d

Elliot, E. (1957). Through gates of splendor (1st ed. ed.). New York: Harper. 266.0092 E46et, 1957

Engstrom, T. W., & Mackenzie, R. A. (1967). Managing your time: Practical guidelines on the effective use
of time.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 House.
658 E58m, 1967r

Foster, R. J. (1988). Celebration of discipline: The path to spiritual growth (Rev. 1st ed.). San Francisco:
Harper & Row. 248.4896 F756c, 1988

Henry, C. F. H. (1947). 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 Grand Rapids: Eerdmans.
261 H521u

Jenkins, P. (2002). The next Christendom :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0.830112 J52n, 2002

Johnson, P. E. (1993). Darwin on trial (2nd ed.).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576.82
J68da, 1993

Johnstone, P. J. S. G. (2001). Operation world (21st century ed.). Carlisle, Cumbria, UK: Paternoster
Lifestyle. Ref. 266.023 J73o, 2001

Kennedy, D. J., & Parrish, A. (1977). Evangelism explosion. Wheaton, IL: Tyndale House Publishers.
269.2 K35e, 1977

Ladd, G. E. (1959). The gospel of the kingdom; Scriptural studies in the kingdom of God. Grand Rapids:
Eerdmans. 231 L154g

LaHaye, T. F., & Jenkins, J. B. (1995). Left behind: A novel of the earth's last days. Wheaton, IL: Tyndale
House Publishers. 813.54 L183L, 1996

LaHaye, T. F., & LaHaye, B. (1978). The act of marriage: The beauty of sexual love.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248.844 L183a, 1978

L'Engle, M. (1962). A wrinkle in time. New York: Dell Publishing Co. Child. 813.54 L566wr, 1973

Lewis, C. S. (1960). Mere Christianity. New York: Macmillan. 201.1 L673m

Lindsey, H., & Carlson, C. C. (1970). The late great planet earth. Grand Rapids: Zondervan. 236.3
L752l

Little, P. E. (1967). Know why you believe. Wheaton, IL: Scripture Press Publications. 239 L778k

Marshall, C. (1967). Christy (1st ed. ed.). New York: McGraw-Hill. 813 M367c

McDowell, J. (1972). Evidence that demands a verdict: Historical evidences for the Christian faith. San
Bernardino, CA: Campus Crusade for Christ International. 220.601 M138e

Newbigin, L. (1989). The gospel in a pluralist societ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WCC
Publications. 261 N534g

Noll, M. A. (1994). 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 Grand Rapids, MI: W.B. Eerdmans. 280.40973
N793s

Packer, J. I. (1973). Knowing God.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31.1 P119k

Peretti, F. E. (1986). This present darkness. Westchester, IL: Crossway Books. 813.54 P437th

Perkins, J. (1976). Let justice roll down: John Perkins tells his own story. Ventura, CA: G/L Regal Books.
280.4092 P449L, 1976

Piper, J. (1986). Desiring God: Meditations of a Christian hedonist. Portland, OR: Multnomah Press.
248.4 P665d

Pippert, R. M. (1979). Out of the saltshaker & into the world: Evangelism as a way of life.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69.2 P665o

Rinker, R. (1959). Prayer: Conversing with God. Grand Rapids: Zondervan. 248.32 R582p

Scanzoni, L., & Hardesty, N. (1975). All we're meant to be: A biblical approach to women's liberation.
Waco, TX: Word Books. 261.83412 S283a, 1975r

Schaeffer, F. A. (1968). The God who is there; speaking historic Christianity into the twentieth century.
Chicago: Inter-varsity Press. 230.015 S294g

Shedd, C. W. (1968). The stork is dead. Waco, TX: Word Books. 176 S541s

Sider, R. J. (1990). Rich Christians in an age of hunger. Dallas: Word Pub. 261.85 S568r, 1990

Smith, T. L. (1980). Revivalism and social reform in mid-nineteenth-century America revivalism and social
reform: American Protestantism on the eve of the civil war.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69.240973 S662r, 1980

Stott, J. R. W. (1966). Basic Christianity. Grand Rapids, MI: Eerdmans. 239 S888b

Ten Boom, C., Sherrill, J. L., & Sherrill, E. (1971). The hiding place. Washington Depot: CT: Chosen
Books. 269.2092 T289h, 1971

Tournier, P. (1957). The meaning of persons. New York: Harper. 137 T728m

Tozer, A. W. (1961). The knowledge of the holy: The attributes of god, their meaning in the Christian life
(1st ed.). New York: Harper & Row. 231.4 T757k

Warren, R. (2002). The purpose-driven life: What on earth am I here for? Grand Rapids, MI: Zondervan.
248.4 W292p, 2002

Whitcomb, J. C., & Morris, H. M. (1961). The genesis flood; the Biblical record and its scientific
implications.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222.11 W581g

Wilkerson, D. R. (1963). The cross and the switchblade. New York: B. Geis Associates. 259.5 W681c

Willard, D. (1998). The divine conspiracy: Rediscovering our hidden life in God (1st ed.). San Francisco:
HarperSanFrancisco. 248.4 W692d, 1998

Wimber, J., & Springer, K. (1986). Power evangelism (1st ed.). San Francisco: Harper & Row. 231.73
W757p

Yancey, P. (1997). What's so amazing about grace? Grand Rapids, MI: Zondervan. 234 Y21w, 1997

*List from http://www.christianitytoday.com/ct/2006/october/23.51.html
1/07l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 4:1-11 사탄아 물러가라

대구에 대구 광림교회가 있습니다. 저는 서울 광림교회에서 개척한 교회인가 싶어 물어봤더니 목사님이 부임할 때는 대구 광야교회였는데 너무 황량하게 느껴져 대구 광림교회로 바꿨다고 알려주더군요. 광야는 사막입니다. 어디를 둘러봐도 물 한 모금 마실 수 없는 메마른 땅입니다.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자랄 수 없는 척박한 땅이죠. 낮에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밤에는 추위가 살을 에 입니다. 광야는 죽음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런 죽음의 땅에도 들짐승은 살아있습니다. 밤이 되면 들짐승들이 먹을거리를 찾아 헤매고 돌아다닙니다. 어디선가 들짐승의 울음소리가 들려오면 머리가 쭈뼛해지고 식은땀이 흘러내립니다. 소름이 쫙 끼치죠. 광야는 공포의 땅입니다./ 이런 땅에서 하루를 지낸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글거리는 태양에 노출되어 일사병에 걸릴지도 모릅니다. 들짐승을 경계하느라 신경과민에 걸릴지도 모릅니다. 예수님은 이런 광야에서 하루도 아니고 무려 40 일을 지내셨습니다. 그것도 그냥 지내신 게 아니라 금식하면서 지내셨습니다.

첫 번째 유혹
예수님이 얼마나 목마르고 얼마나 배고프셨겠습니까? 아마 몸 안에 있는 모든 수분이 빠져나가 입술은 마르다 못해 갈라졌을 겁니다. 눈에는 오아시스가 아른거리고 코는 음식냄새가 나는지 벌름거릴 겁니다. 이때 마귀가 회심의 미소를 지으며 나타났습니다. 마귀는 예수님이 금방 시험에 넘어갈 것이라 확신했습니다. 마귀는 선심을 쓰는 척 말했습니다.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이 돌들로 떡덩이가 되게 하라.(마4:3)” 마귀는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이라고 말했습니다. 달리 번역하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니까’입니다. 마귀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가정하지 않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인정했습니다. 예수님의 신분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죠. 마귀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니까 ‘돌로 떡(빵, 밥)을 만들어 굶주림을 면하라’고 유혹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라 돌로 떡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귀는 하나님께서 주신 능력을 예수님의 육체적인 필요를 채우는데 사용하라고 유혹했습니다. 마귀의 첫 번째 유혹은 배고픔을 면하라는 경제적인 유혹입니다. 예수님을 유혹했듯이 물질에 약한 사람은 물질 공세로 유혹합니다. 돈을 주겠으니 죄를 저지르라고 유혹합니다. 물질에 강한 사람은 물질 궁핍으로 유혹합니다. 돈이 필요하니 죄를 저지르라고 유혹합니다. 우리나라는 돈이라면 안되는 게 없는 나라입니다. 목사님 딸도 돈을 준다니까 술 광고도 찍더라고요.

그러나 예수님은 마귀를 타이르셨습니다.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마4:4)” 예수님은 신명기 8장 3절을 인용하며 마귀는 자신을 위해 능력을 사용하라고 유혹했지만 예수님은 먹고 사는 문제를 하나님께 맡기겠다고 대답하셨습니다. 마귀는 흠칫 놀랐습니다. 마귀는 돈으로 유혹하면 넘어 갈 것이라고 자신했지만 예수님은 끄덕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우리도 어려울수록 돈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을 의지해야 하겠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광야에서 만나와 메추라기를 내려주셨고, 엘리야에게 까마귀를 통해 떡과 고기를 날라다 주셨습니다. 우리도 하나님을 의지한다면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베풀어 주실 겁니다.

두 번째 유혹
마귀는 예수님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웠습니다. 천 길 낭떠러지가 보였습니다. 아찔했습니다. 마귀가 비아냥거리며 말했습니다.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뛰어내리라. 그가 너를 위하여 그의 사자들을 명하시리니 그들이 손으로 너를 받들어 발이 돌에 부딪치지 않게 하리로다.(마4:6)” 마귀는 번지 점프를 하면 밧줄을 몸에 감았기 때문에 아래로 뛰어내려도 부딪치지 않듯이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니까 ‘성전 꼭대기에서 뛰어내리면 하나님이 천사를 보내서 지켜 주시는지 확인해 보라.’고 유혹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라 성전 꼭대기에서 뛰어내려도 다치지 않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수님을 보고 메시야라고 열광할 겁니다. 백성들은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난리를 떨겠죠. 그러나 예수님은 영광을 받으러 오시지 않고 고난을 받으러 오셨습니다. 왕이 되려고 오시지 않고 백성들의 죄를 대신하여 피를 흘리고 돌아가시려 오셨습니다. 마귀는 하나님께서 주신 능력을 예수님의 감정적인 필요를 채우는데 사용하라고 유혹했습니다. 마귀의 두 번째 유혹은 인기를 얻으라는 사회적인 유혹입니다. 예수님을 유혹했듯이 마귀는 남의 시선을 받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튀는 행동을 하라고 유혹합니다. 인기를 얻기 위해 크리스천 연예인에게도 섹시 컨셉으로 나가라고 부추깁니다. 마귀는 돈보다 한 차원 높은 인기로 유혹했습니다. 인기를 얻으면 돈은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마귀를 꾸짖으셨습니다. “주 너의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마4;7)” 예수님은 신명기 6장 16절을 인용하며 마귀는 하나님이 지켜주는지 확인해 보라고 유혹했지만 예수님은 인기를 얻기 위해 하나님을 시험하지 않겠다고 대답하셨습니다. 마귀는 그만 다운되고 말았습니다. 마귀는 유명세를 타게 해주겠다고 유혹하면 솔깃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예수님은 미동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우리도 사람의 관심을 끌려고 안달하지 말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고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기뻐하면 하나님께서 우리를 세워주실 겁니다.

 

세 번째 유혹
마귀는 예수님을 이끌고 높은 산으로 가서 천하만국과 그 영광을 보여주었습니다. 마귀가 달콤하게 속삭였습니다. “만일 내게 엎드려 경배하면 이 모든 것을 네게 주리라(마4:9).” 마귀는 세상의 모든 나라와 그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며 ‘천하만국을 주겠다.’고 유혹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요한복음 14장 30절과 16장 11절을 통해 지금은 마귀가 세상의 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귀는 눈 딱 감고 절하면 세상을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예수님은 나중에 세상을 다스리게 될 겁니다.(빌2:9-11) 마귀는 하나님께서 주신 능력을 예수님의 정신적인 필요를 채우는데 사용하라고 유혹했습니다. 마귀의 세 번째 유혹은 권력을 주겠다는 정치적인 유혹입니다. 예수님을 유혹했듯이 마귀는 감투를 씌어줄 테니 신앙을 팔아먹으라고 유혹합니다. 권력을 얻기 위해 신앙을 타협하라고 손짓합니다. 마귀는 인기보다 한 차원 높은 권력으로 유혹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인기를 얻었다 싶으면 정치를 한다고 나섭니다. 유명한 목사님도 정당을 창당한다고 시끄럽더라고요.

그러나 예수님은 마귀를 호통 치셨습니다. “사탄아 물러가라. 주 너의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마4:10)” 예수님은 신명기 6장 13절을 인용하며 마귀는 권력을 주겠다고 유혹했지만 예수님은 하나님을 섬기겠다고 대답하셨습니다. 마귀는 케이오 되었습니다. 우리도 자신을 높이려하지 말고 하나님을 높여야 하겠습니다. 하나님은 상석에 앉지 말고 말석에 앉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섬긴다면 하나님께서 높여주실 겁니다.

그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시험에 탈락하여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광야에서 시험에 합격하여 하나님의 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광야는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만사형통하지 않고 날마다 영적 전쟁을 벌이며 살고 있습니다. 마귀는 우리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쓰러뜨리려 하고 예수님은 신앙의 결승선을 통과하라고 우리를 격려합니다. 우리의 힘으로는 능력으로는 마귀를 이겨낼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야 가능합니다. 예수님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마귀를 물리쳤듯이 우리도 하나님의 말씀으로 무장하여 마귀를 물리쳐야 하겠습니다. 중도에서 낙오하지 말고 천국까지 입성해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