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13:24-30 추수 때가 되면

예수님은 농촌목회를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주로 이스라엘의 북부인 갈릴리 지방을 돌아다니시면서 목회하셨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보리와 밀 같은 밭농사를 짓거나, 양이나 염소 같은 가축을 치거나, 갈릴리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했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영적인 진리를 친숙한 일상생활과 연결시켜서 말씀하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밭에다 씨를 뿌렸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농부가 밭에다 보리나 밀 씨를 뿌리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 사람은 좋은 씨를 골라서 뿌렸습니다. 농부는 쭉정이는 버리고 알곡을 골라서 뿌렸습니다. 이 사람이 자고 있는데 원수가 와서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이 사람의 원수가 독 보리씨를 뿌린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보리나 밀 씨는 독 보리씨와 모양이 비슷했습니다. 그러나 싹이 나고 결실할 때면 보리나 밀과 독 보리는 생김새가 달랐습니다. 독 보리가 작았습니다. 이 사람의 종들이 주인에게 “주여, 밭에 좋은 씨를 뿌리지 아니하였나이까? 그런데 가라지가 어디서 생겼나이까?”하고 물었습니다. 주인이 “원수가 이렇게 하였구나.”하고 대답했습니다. 종들이 “우리가 가서 이것을 뽑기를 원하시나이까? 하고 물었습니다. 주인이 “가만 두라 가라지를 뽑다가 곡식까지 뽑을까 염려하노라. 둘 다 추수 때까지 함께 자라게 두라. 추수 때에 내가 추수꾼들에게 말하기를 가라지는 먼저 거두어 불사르게 단으로 묶고 곡식은 모아 내 곳간에 넣으라 하리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씨를 뿌린 사람은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씨를 뿌린 밭은 세상을 가리킵니다.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을 가리킵니다. 예수님은 세상에 천국의 아들들을 보내셨습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을 보내셨습니다. 그러나 원수가 가라지를 덧뿌렸습니다. 원수는 마귀를 가리킵니다. 원수가 뿌린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을 가리킵니다. 사탄은 세상에 마귀의 자녀들을 보냈습니다. 이 세상에는 하나님의 자녀들과 마귀의 자녀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세상에서 하나님의 자녀들과 마귀의 자녀들을 떼어놓지 않습니다. 가라지를 뽑다가 곡식까지 뽑을까봐 그렇습니다. 마귀의 자녀들을 쫓아내다가 하나님의 자녀들까지 다칠까봐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추수 때까지 기다리십니다. 추수 때는 세상 끝 날입니다. 심판 날입니다. 예수님은 추수 때가 되면 추수 꾼을 보내십니다. 추수 꾼은 천사들을 가리킵니다. 예수님은 세상 끝 날에 천사들을 보내셔서 가라지는 먼저 거두어 불사르십니다. 불은 지옥 불을 가리킵니다. 마귀의 자녀들을 지옥 불에 던져집니다. 그러나 곡식은 모아 곳간에 넣습니다. 곳간은 천국을 가리킵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을 천국으로 보내십니다.

제가 시골에서 목회할 때 교인들은 교회 밭에다 콩을 심었습니다. 교인들은 쭉정이를 버리고 알곡을 골라 뿌렸지만 어디선가 잡초가 자라났습니다. 밭에 곡식과 잡초가 함께 자라나듯이 이 땅에 선과 악이 함께 존재합니다. 교인들은 잡초가 보이면 뽑아주었으나 예수님은 악에 대한 심판을 미루셨습니다. 가라지를 뽑다가 곡식까지 뽑힐까봐서입니다. 악인을 심판하다 선인까지 피해를 볼까봐서입니다. 그러다 보니 세상에는 선한 사람도 있고 악한 사람도 있나 봅니다. 여기서 밭은 세상이기도 하지만 교회이기도 합니다. 예수님이 좋은 씨를 뿌렸지만 마귀가 가라지를 덧뿌렸듯이 예수님은 좋은 교인을 만드시려 하시지만 마귀는 나쁜 교인을 만들려고 혈안이 되었습니다. 나쁜 교인은 이단을 가리킵니다. 초대교회는 가라지 다시 말해 거짓 교사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습니다.(벧후2:1-3,13-22) 거짓 교사들은 교인들을 선동해 다른 복음에 빠지게 했습니다. 요즘도 이단 때문에 골치가 아픕니다. 요즘 가장 악랄한 이단은 신천지입니다. 신천지는 기존 교회로 침투하여 교인들을 빼가고 있습니다. 작은 교회는 담임목사를 몰아내고 교회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더니 교회 망신은 이단들이 시키고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이단들의 광신적인 신앙생활을 보며 교회 다니면 이상해지는 줄 생각합니다. 사도 바울이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갈1:8,9) 하고 저주했듯이 교인들도 이단에게 불벼락이 떨어지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심판을 미루십니다. 이단 관계자를 심판하다가 선량한 사람도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추수 때가 되면 곡식과 가라지를 구분하듯이 정통과 이단도 구분하실 것이고 가라지를 불속에 던지고 곡식은 곳간에 넣듯이 이단은 심판을 하고 정통은 상급을 주실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그때까지 전능하신 하나님이 왜 세상에 악을 주셨나 물을 것이 아니라 이 악한 세상에서 하나님의 자녀로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물어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S 여름 방학생활 2학년 - 2008년 7월 14일 ~ 2008년 8월 24일, 2008
한국교육방송공사 엮음 / EBS(한국교육방송공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낮에는 찜통더위에

밤에는 열대야로 고생하는 아이들에게

엄마가

수요일과 목요일 오후 5시부터 5시 20분까지

여름방학생활을 함께 봐 준다면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가 될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S 여름 방학생활 4학년 - 2008년 7월 14일 ~ 2008년 8월 24일, 2008
한국교육방송공사 엮음 / EBS(한국교육방송공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어제 주문했더니 오늘 도착했네요.

배송이 엄청 빠르고요 

내용을 살펴보니

선행학습이 아니라

전인교육을 하는 거네요.

지식을 전달하는 교실형 모델이 아니라

현장훈련하는 코치형 모델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 13:1-9 좋은 땅에 떨어지매

예수님은 농촌목회를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주로 이스라엘의 북부인 갈릴리 지방을 돌아다니시면서 목회하셨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보리와 밀 같은 밭농사를 짓거나, 양이나 염소 같은 가축을 치거나, 갈릴리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했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영적인 진리를 친숙한 일상생활과 연결시켜서 말씀하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밭에다 씨를 뿌렸습니다. 우리나라는 땅을 갈아엎고 흙을 잘게 깨뜨리고 나서 씨를 뿌립니다만 이스라엘은 땅위에다 그대로 씨를 뿌렸습니다. 농부는 씨앗 주머니를 둘러매고 씨를 한 움큼 집어서 흩뿌리거나 나귀에 씨앗자루를 걸쳐놓고 구멍을 뚫어서 씨를 떨어뜨렸습니다. 씨를 뿌리다 보면 어떤 씨는 길가에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는 밭과 길이 확연히 구분되지만 이스라엘은 밭과 길이 불명확하다 보니 길가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어떤 씨는 흙이 얕은 돌밭에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는 밭에 돌이 많지 않아 돌을 골라낼 수 있으나 이스라엘은 밭 아래에 돌이 널려 있어 골라내지를 못했습니다./ 어떤 씨는 가시떨기 위에 떨어졌습니다. 농부가 가시에 씨를 뿌렸다기보다는 씨가 떨어진 자리에 잡초 씨가 들어 있었던 모양입니다./ 어떤 씨는 좋은 땅에 떨어졌습니다. 영양분이 있고 수분이 있고 햇빛이 잘 들고 자랄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땅이 좋은 땅입니다./

여기서 씨를 뿌리는 농부는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오늘날로 말하면 말씀을 전하는 목사님이나 교회학교 선생님이겠죠. 씨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킵니다. 설교겠죠. 4가지 땅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다양한 마음상태를 가리킵니다. 오늘날로 말하면 설교를 듣는 교인들의 여러 가지 마음상태겠죠. 씨는 하나인데 땅은 4가지입니다. 예전에는 씨를 강조하다 보니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라고 했는데 요즘에는 땅을 강조하다 보니 4가지 땅의 비유라고 말합니다. 본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열매를 맺기 위해 씨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땅이 중요하다고 말씀합니다. 말씀을 전하는 사람보다 말씀을 듣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죠. 저자보다 청자를 중요시한 거죠. 흔한 말로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으면 효과 만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농부가 씨를 뿌렸습니다. 아마 보리씨나 밀 씨일 겁니다. 씨가 길가에 떨어졌습니다. 길은 사람들이 다니다보니 딱딱해져서 싹이 틀 수 없습니다. 씨가 길에 떨어져있자 새들이 먹어버렸습니다.(마13:4) 여기서 새는 악한 자를 가리킵니다. 사탄을 가리킵니다. 우리가 말씀을 듣고 깨닫지 못할 때에 사탄은 마음에 뿌려진 말씀의 씨를 빼앗아갑니다.(마13:19)

씨가 돌밭에 떨어졌습니다. 씨가 땅이 있고 수분이 있어 싹이 트고 뿌리를 내립니다. 흙이 깊지 않다 보니 뿌리가 돌에 걸립니다. 뿌리는 흙을 찾아 여기저기로 뻗어나가다가 따가운 햇살이 비치고 수분이 말라가면서 뿌리도 말라갑니다.(마13:5-6) 여기서 돌밭은 말씀을 듣고 즉시 기쁨으로 받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믿음의 뿌리가 깊이 내리지 않아 환난이나 박해가 일어나면 넘어지는 사람입니다.(마19:20-22) 본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길가에 떨어진 씨는 비유가 1절이고 설명이 1절인데 비해 돌밭에 떨어진 씨는 비유가 2절이고 설명이 3절입니다. 돌밭에 떨어진 씨가 많습니다.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돌밭에 떨어지는 씨가 많듯이 예수님은 말씀을 들을 때는 아멘 하지만 말씀을 듣고 나서는 실천하지 않는 교인들이 많다고 말씀하십니다.

씨가 가시떨기에 떨어졌습니다. 씨가 땅이 있고 수분이 있어 싹이 트고 뿌리를 내립니다. 뿌리가 내리다가 가시 뿌리와 만납니다. 가시는 보리나 밀보다 보다 성장속도가 빠릅니다. 가시가 영양분과 수분을 독차지 합니다. 씨는 쭈그러드는데 가시는 웃자랍니다. 가시가 자라 땅을 차지해 버리고 햇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씨를 가립니다. 씨는 가시에 막혀 자라지 못합니다.(마13:8) 여기서 가시 떨기는 말씀을 듣고 아멘하고 실천하려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말씀을 실천하려다 보니 세상의 염려가 밀려옵니다. 주일 성수했다간 해고될 것 같습니다. 재물의 유혹이 생겨납니다. 십일조 드렸다간 내 집 마련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다 포기해 버리는 사람입니다.(마13:22)

씨가 좋은 땅에 떨어졌습니다. 씨가 땅이 있고 수분이 있어 싹이 트고 뿌리를 내립니다. 뿌리를 내리는 동안 영양분도 있고 수분도 있고 햇살도 비치고 공간도 널다보니 잘 자랍니다. 이 씨는 삼십 배, 육십 배, 백배의 열매를 맺었습니다.(마13:9) 여기서 좋은 땅은 말씀을 듣고 깨닫고 그대로 실천하는 사람입니다. 환란이나 박해가 오더라도, 세상 염려와 재물의 유혹이 있더라도 꿋꿋이 나아갑니다. 그러자 삼십 배, 육십 배, 백배의 열매를 맺었습니다.(마13:23) 예수님 당시에 씨를 뿌리면 보통 열 배의 열매를 맺었는데 삼십 배, 육십 배, 백배의 열매를 맺은 것은 대단한 풍작입니다. 이 씨가 길가에 떨어진 씨와 돌밭에 떨어진 씨와 가시떨기에 떨어진 씨를 만회하였습니다. 정부에서 가족계획을 장려하기 위해 1980년대에 ‘잘 키운 딸 하나 열 아들 안 부럽다.’고 했는데 본문과 연결해 보면 잘 키운 씨 하나 열 씨 안 부럽다고 할 수 있겠네요. (참고로 정부에서 가족계획을 장려하기 위해 1960년대는‘무턱대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고 했고, 1970년대는 ‘딸 아들 구별 말고 둘 만 낳아 잘 기르자.’고 했고, 1980년대 ‘잘 키운 딸 하나 열 아들 안 부럽다.’고 했고, 1990년대는 출산율이 떨어지자 ‘아들 바람 부모세대 짝꿍 없는 우리세대’, ‘아빠! 혼자는 싫어요.’라고 바뀌게 되었습니다.)

자 그렇다면 여러분의 마음 밭은 무엇입니까? 길가입니까? 돌밭입니까? 가시떨기입니까? 아니면 좋은 땅입니까? 예수님은 여러분의 마음 밭이 좋은 땅이 되기를 바라십니다. 좋은 땅이 되려면 거름기가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어야 영양분을 공급받듯이 교인은 영혼의 양식을 먹어야 신앙이 자라납니다. 말씀은 우리를 좋은 땅으로 만들어주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이 무더위를 성경삼매경에 빠져 극복해 보십시오. 좋은 땅이 되려면 햇빛을 잘 받아야 합니다. 식물이 햇빛을 받아야 광합성 작용을 하듯이 교인은 기도에 몰입해야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습니다. 기도는 하나님과 우리를 연결해주는 파이프라인입니다. 올 여름 기도의 에어컨을 작동해 보십시오. 그러면 우리는 좋은 땅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좋은 땅이 되어 백배의 열매를 맺읍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S TV 중학 여름방학특강 1학년 - 2008, 2008년 07월 07일 - 08월 03일
한국교육방송공사 엮음 / EBS(한국교육방송공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책을 받아보니 생각했던 것처럼 맘에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