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하나님을 위한 나의 최선
오스왈드 챔버스 지음, 김창대 옮김 / 브니엘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나는 하루를 새벽 기도부터 시작한다. 나는 새벽 시간에 성경을 주제별로 가르치거나 책별로 설교한다. 나는 그 날의 주제에 따라 기도 제목을 정하고 새벽에 도우시는 분과 영혼의 대화를 나눈다. 새벽 기도는 목회의 에너지원이었다. 어느 날부턴가 에너지가 고갈되는 느낌을 받았다. 영혼의 우물이 말라가고 있었다. 내가 가르치고 설교할 때마다 우물은 채워지지 않고 줄어들어갔다. 벌써 탈진인가? 나는 부흥회에 참석해 보았다. 하나님의 말씀이 소나기처럼 넘쳐났다. 소나기는 메마른 대지를 적시지 못한다. 너무 많기 때문에 휩쓸고 지나간다. 나에게는 메마른 영혼에 촉촉이 스며들 가랑비가 필요했다. 나는 365 일 묵상집을 찾아 헤맸다. 나의 눈에 Oswald Chambers의 [My Utmost For His Highest]가 눈에 띄었다. Christianity Today가 선정한 20세기 종교서적 중 Top 9이라니 믿음이 갔다. 게다가 역자는 영문학과 신학을 전공하고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박사 과정 중이었다. 여러 번역본들 중에서 가장 믿을만했다. 나는 새벽 기도를 마치고 오스왈드 챔버스가 인도하는 아침 기도회에 참석한다. 챔버스는 성경을 한 구절 읽고 깊은 우물에서 길어 올린 시원한 생수를 퍼준다. 그의 생수는 영혼 깊숙이 스며들어 내면의 변화를 몰고 온다. 나는 오늘 ‘두려움을 훈련하라’는 말씀을 읽었다. 시골 목회를 오래 하다 보니 예수님이 멀게만 느껴진다. 교회가 부흥은커녕 현상 유지 하기에도 벅차다. 예수님이 시골 교회를 잊은 건 아닌지 두려움이 엄습한다. 어떻게 해야 좋을 지 막막하다. 챔버스는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인위적인 노력을 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지나가기를 기다리라고 조언한다. 그는 두려움 속에서 예수님을 따를 수 있는 능력이 나오며 그 능력은 말할 수 없는 기쁨을 선사한다고 위로한다. 나는 두려움에 짓눌리지 않고 먹구름이 걷힐 때가지 무릎을 꿇는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님을 조종하지 않고 자아를 포기하는 일이다. 조급증이 물러간다. 메마른 우물에 다시 물이 솟아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예수인 어떻게 살아야 하나
토니 캠폴로 지음, 노기선 옮김 / 도서출판 누가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이 신앙 강연인지 설교인지 모호하였다. 신앙 강연이라기에는 성구 인용이 너무 잦았고 설교라기에는 세상 이야기가 너무 많았다. 나는 저자의 약력을 다시 살펴보고서야 이 책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저자는 저명한 사회학과 교수이자 탁월한 설교자였다. 저자는 당면한 사회 문제를 성경적인 시각으로 해석하였다. 저자의 설교를 읽다보면 이 당혹스런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방향을 제시받을 수 있다. 저자는 길을 잃고 헤매는 우리들에게 빛을 비춰주는 선지자이었다.

 

나는 이 설교가 이야기 설교인지 주제 설교인지 혼동되었다. 설교가 하나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성경의 세계로 진입할 때는 스토리 지연처럼 보였고 하나의 주제를 심화 발전시킬 때는 주제 설교처럼 보였다. 나는 저자가 이야기를 통해 공동체를 형성한 이탈리아계라는 배경을 알고서야 전개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저자는 민감한 주제를 딱딱한 논리가 아니라 부드러운 이야기로 풀어내었다. 저자의 설교를 듣다보면 감동적인 이야기가 주제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는 중심사상을 담아내는 이야기꾼이었다.  


나는 이 주제에 대한 답변이 진보적인지 복음적인지 혼란스러웠다. 사회 문제에 대해 참여를 촉구하거나 개방적인 사고에 이를 때는 행동가의 양심을 발견하였고 신앙 체험을 언급하거나 성경적인 결론을 내릴 때는 신비가의 모습을 발견하였다. 저자는 복음주의적 침례교 목사라고 고백하였다. 저자의 설교를 접하다 보면 신앙을 변질시킨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다. 저자는 육과 영을 통합시켰고 개인 구원을 사회 구원으로 승화시켰다. 저자는 이 시대가 요청하는 실천적인 신비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lnspirational

 

 

2005, It’s Not About Me by Max Lucado

Published by Integrity Publishers

2004. Next Door Savior, W Publishing Group

                        Max Lucado

2003. My Heart's Desire, Integrity Publishers, Inc.

                        David Jeremiah


2002. Wild At Heart, Thomas Nelson Publishers

John Eldredge


2001. He Chose The Nails, Word Publishing, a division of Thomas Nelson, Inc.  

Max Lucado


2000. The Bible Jesus Read, Philip Yancey,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9. Growing Deeper Series (Set of 5)

Eugene H. Peterson, Luci Shaw, Philip Yancey, Walter Wangerin, Jr. and Calvin Miller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8. What's So Amazing About Grace?, Philip Yancey,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In The Grip Of Grace - Max Lucado

- Word Publishing


1996. Finding God in Unexpected Places

Philip Yancey

Moorings


1995. God Works The Night Shift

Ron Mehl

Questar Publishers, Inc.


1994. Pain: The Gift Nobody Wants

Dr. Paul Brand and Philip Yancey

Zondervan Publishing House & HarperCollins Publishers


1993. Prayer: Finding The Heart's True Home

Richard J. Foster

HarperSanFrancisco, a division of HarperCollins Publishers


1992. In The Eye Of The Storm

Max Lucado

Word, Inc.


1991. Honest To God?

Bill Hybel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0. Six Hours One Friday

Max Lucado

Multnomah Press


1989. Disappointment With God: Three Questions No One Asks Aloud

Philip Yancey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8. The Quest For Character

Charles R. Swindoll

Multnomah Pres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설교 스타일
정성영 지음 / 한들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최근 국내 신학계에 설교학 전공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박영재 박사(1997,1998,2000)는 설교학 박사 1호(?)답게 한동안 주가를 날렸다. 서울신대의 정인교 교수(2000,2003)와 합신대의 정창균 교수(2002)는 독일과 남아공에서 학위를 하고 모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남아공 스텔렌보쉬 출신인 천안대의 이승진 교수(2001,2003,2004)는 연이어 번역서를 내놓았다. 신 설교학을 전공한 장신대의 김운용 교수(2004)는 월간지에 실은 논문을 묶어 단행본으로 출판하고 있다. 여기에 침신대의 정성영 교수(2004)가 명함을 내밀었다.

그의 책은 다른 설교학 책과 조금 다르다. 저자의 말대로 설교 방법론에 관한 책이 아니라 설교 방법론 점검표에 관한 책이다. 저자는 1권에서 설교를 작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 책은 2권으로 설교를 전달하는 과정을 다룬다. 사정상 1권보다 2권이 먼저 출판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부록 1. 설교평가를 통해 설교 점검표를 제시한다. 목사 혼자 좋아하는 설교가 아니라 교인과 함께 즐거워하는 설교가 되려면 꼭 피드백 해봐야 한다. 정장복 교수의 [한국교회의 설교학 개론]과 [설교전달의 클리닉]에서 비슷한 내용을 다뤘던 기억이 난다.

저자의 말대로 설교의 작성과 전달을 통합하려고 시도한 책이다. 설교는 글로 작성되어 말로 전달된다. 둘은 구분되지만 분리되면 안 된다. 저자는 전달을 염두에 두고 설교를 작성하라고 충고한다. 작성과 전달을 통합하기 위해 3가지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흥미. 설교는 관심을 끌어야 한다. 저자는 청중의 귀와 눈과 마음을 사로잡는 방법을 제시한다. 내 생각으로 설교의 모든 과정 중에서 서론 부분이 특히 흥미로워야 한다. 명료함. 설교는 알아듣기 쉬워야 한다. 믿음은 들음에게 나기 때문이다. 저자는 청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언해준다. 본론 부분이 특히 명료해야 한다. 역동성. 설교는 설득적이어야 한다. 저자는 청중을 감동의 도가니로 몰고 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결론 부분이 특히 역동적이어야 한다.(저자는 고전수사학에서 3요소를 차용하였다.) 이 책을 통해 강단에서 춤추는 해골이 생령이 되고 좌석에서 늘어진 송장이 소생했으면 좋겠다. 저자의 또 다른 책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어떻게 잠언을 읽을 것인가? 어떻게 읽을 것인가? (IVP) 7
트렘퍼 롱맨 3세 지음, 전의우 옮김 / IVP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1월 26일 수요일 저녁 시간에 나는 잠언 29 장을 설교하였다. 이 날의 주제는 자녀 교육 그 중에서도 체벌에 관한 내용이었다. 나는 15 절과 17절을 읽었다. “아이는 매를 맞고 꾸지람을 들어야 지혜를 얻고 내버려두면 어미에게 욕을 돌린다.” “아들에게 채찍을 대어라. 그래야 걱정이 사라지고 마음에 기쁨을 얻는다.”(공동번역 개정판) 나는 본문을 해설하고, 체벌에 관한 성경 구절을 인용하고(잠 13:24, 19:18, 22:15, 23:13-14), 체벌한 자녀와 하지 않은 자녀와의 차이를 설명하고, 체벌의 불가피성을 역설하였다. 나이든 세대는 공감하는 눈치였다. 그러나 신세대 엄마는 안색이 굳어졌다. 나는 무언가 잘못 되었다고 직감하였다. 나의 적용에 무리가 있던 지 아니면 요즘 부모에게 문제가 있던 지... 나는 이 책을 읽고서야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저자는 잠언은 모든 시대와 모든 문화를 초월하여 적용하는 보편타당한 진리가 아니라고 단언하였다. 오히려 잠언은 적절한 시간과 적절한 상황에 적절한 원리를 적절한 사람에게 적용해야 보석처럼 빛난다고 충고하였다. 어떤 아이는 질책으로도 충분한 반면 어떤 아이는 체벌하면 역효과를 초래한다. 체벌은 정언명령이 아니었다. 나는 주해는 읽었으나 개론은 읽지 않은 실수를 통해서 지혜를 얻었다. 개론은 본문을 해석하는 열쇠였다. 당신은 나처럼 실수하지 않아도 된다. 본서가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 책은 탁월한 잠언 개론서다. 잠언이라는 산에 오르기 위해 반드시 동행해야 하는 산악 안내인(셀파)이다. 저자는 고대근동이라는 베이스캠프를 거쳐 정상에 올라 예수 그리스도의 깃발을 꽂는다. 저자의 노력으로 지혜서와 예수님과의 간격이 한결 좁아졌다. 이 책의 저자는 트렘퍼 롱맨3세다. 그는 최고의 구약성경학자다. 그가 저술한 전도서, 아가, 다니엘 주석은 최고 주석으로 호평 받는다. 그는 지금 잠언 주석을 집필중이다. 이 책은 그것의 맛보기다. 나는 그의 열광하는 팬(Raving Fan)이다. 나는 그가 로버트 건드리(Robert Gundry)를 능가하는 학자라고 확신한다. 이 책의 역자는 해외번역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던 전의우 목사다. 그의 번역은 매끄럽다. 성경을 인용할 때 내용일치 번역을 사용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 책의 출판사는 IVP다. 편집부는 친절하게도 번역서를 표기해 주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나는 IVP를 신뢰한다. 이 책의 추천사는 김정우 교수가 썼다. 그는 롱맨3세의 제자다. 그는 이 책을 꼼꼼히 읽고 책 내용을 간추려 주었다. 당신이 이 책을 읽고 다시 한 번 읽는다면 등산 루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서비스이다. 이 책은 아마존닷컴에서처럼 별 다섯을 받기에 충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