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cite mill 인사이트 밀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최고은 옮김 / 학산문화사(단행본)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정체불명의 위험한 단기 아르바이트 모집. 참가자는 폐쇄 공간에서 7일간 지내기만 하면 되고 기획진은 그들을 24시간 관찰한다는 이상한 비밀 실험. 어마어마한 시급에 속는 셈 치고 남녀 12명이 참가하게 된다. 가만히 있어도 떼돈 버는 꿀알바인데 타인을 살해하거나 범인을 지목하면 추가 수당을 준다고 하니 이건 뭐 나 혼자 조심해봤자 의미가 없다. 안전운전해도 다른 차가 받아버리면 소용없는 이치랄까. 자고 나면 누군가 죽어있어 참가자들은 불안에 떨고 불신의 싹이 튼다.


이런 서바이벌 쇼 작품은 옛부터 최근까지도 꾸준히 나오는 것 같다. 일본이 섬나라여서 그런지 고립된 공간의 작품이 유독 많네. 이 컨셉의 장점은 별것 없는 장면도 스릴이 넘치는 건데 누구나 좋아하는 장르가 아니라서 팬층이 얇은 게 단점이다. 등장인물이 많은 작품은 대개 캐릭터를 다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도 그러하여 몇 명의 메인 캐릭터 빼고는 비중이 너무 없었다. 그렇다고 일일이 다 신경 쓰면 분량 조절이 안되어 작가들도 참 난감할 듯.

추리소설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본격 추리, 도서형 추리, 사회파, 서술 트릭 등등. 뭐가 되게 많은데 이 책은 메타 추리소설에 속한단다. ‘메타픽션‘이란 패러디에 의존하여 기존 소설의 낡은 관습을 비판하고, 허구와 현실의 호환 가능성을 입증하는 새로운 형식의 어쩌구 저쩌구 블라블라. 여하튼 시도는 좋았으나 정작 추리의 재미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 양보해도 이런 비윤리적이면서 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실험이 가능하다는 것과 단 7일간의 실험으로 주최 측에서 무슨 이득을 본다는 건지 모르겠다. 작가님, 메꿔야 할 구멍이 많아 보이는데 후기라도 좀 쓰지 그랬나요. 아니면 이 작품에서 뭔가를 이해하려고 했던 내가 바보였나. 그냥 그러려니 하고 보시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곤충 소년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2-3 링컨 라임 시리즈 3
제프리 디버 지음, 유소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버의 책은 빅재미를 보장하지만 늘 광대한 여정을 해야 하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인가 가벼운 마음으로 출발하기가 사실 좀 어렵다. 집어들면 뭔지 모를 각오를 하고 본다. 매권마다 등장하는 전문적인 베이스 때문일지도.

이번에는 곤충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돌아왔다. 시리즈 중 유일하게 원제와 다른 제목이 붙었는데 개인적으론 곤충소년이 더 낫긴 하다. 본문 속 ‘빈 의자‘란 속마음을 꺼내놓는 심리요법을 말한다. 이 곤충광과 테너스코너의 수상쩍은 냄새로부터 또 한번 반전을 만끽할 수 있다.

수사에 크게 포커스를 두진 않았지만 역시나 손 뗄수 없는 다이내믹 스릴러였다. 이번에 여러분들이 가장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은 색스와 라임의 터져버린 이념 대립이다. 아이언 맨과 캡틴 아메리카의 분열이 생각날 것이며 이건 누가 옳다 말하기가 어려운 법이다.

아, 그리고 스탠드얼론 주인공들의 까메오 등장은 참 쏠쏠한 묘미가 있다. 이런 깨알같은 재미를 위해 모든 작품을 순서대로 읽어야 하는 것이지. 당연한 말 같지만 작가는 아직 링컨을 낫게 할 마음은 전혀 없어 보인다. 코난이 어른되는 것과 링컨의 건강 회복 중 뭐가 더 빠르려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스파인더 2019-04-18 13:14   좋아요 1 | URL
물감님 리뷰보고 저도 이제야 다 읽었내요...제길..전 장르를 착각 했답니다. 싸이코 소년의 반항

기로 알고 중반까지 짜증나서 죽는줄.. ㅋㅋ 그래도 다읽은 지금 참 재밌다는 생각이 드내요

물감 2019-04-18 13:33   좋아요 0 | URL
축하합니다. 링컨 라임의 세계에 입문하셨군요ㅋㅋ제가 본 시리즈물 중에서는 해리보슈 시리즈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작품입니다! 솔직히 흔한 경찰,탐정,프로파일러 소설보다 더 매력적이지 않나요? 시간되시면 시리즈 순서대로 꼭 보세요ㅋㅋㅋ
 
살인자의 기억법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알츠하이머 증세로 계속 헷가닥 하는 킬러 할배의 말년 기록 일지다. 어느 날 동네에서 마주친 꺼림칙한 남자가 갑자기 딸의 결혼 상대라면서 인사를 하러 오는데, 사내의 눈빛이 아무리 감춰도 감출 수 없는 맹수인 거라. 딸을 지켜야 하는데 필름이 계속 끊어져 딸의 보호는커녕 자신도 보호 못하고 점차 선과 악을, 진실과 거짓을, 빛과 어두움을 식별하지 못하는 킬러 할배의 새드엔딩.

왜 이 작품이 주목을 받았고 유명해진 건지 실감했다. 한국에선 좀처럼 볼 수 없던 서양식 하드보일드 한 문체와 유머, 그리고 간결함 속에 깃든 묵직한 울림. ​주인공의 혼돈 그래프가 서서히 치솟는 게 피부로 느껴져서 소름 돋았고 이런 두근거림을 느껴본 게 얼마 만인가 싶었다. 김영하 작가가 이렇게 센스 넘치는 사람인 줄 이제야 알았다니.

이 책은 무엇보다도 작품 해설을 꼭 봐야 한다. 어떤 서평도 해설보다 잘 쓰진 못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 얇은 책을 이렇게나 분석하다니, 역시 평론가는 다르군요. 근데 요즘은 어제 먹은 점심 메뉴도 기억이 잘 안 나는데 그럼 나도 치매 증상이 있는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카만 머리의 금발 소년 스토리콜렉터 37
안드레아스 그루버 지음, 송경은 옮김 / 북로드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독일문학은 유머가 없어서 늘 시크한 인상을 받지만 이건 이거대로 좋다. 간만에 새로운 프로파일러 시리즈인데 이 주인공도 한 싸가지 잡수셨다. 왜 지능 캐릭터들은 하나같이 재수 없는 컨셉인지 원. 천재 범죄심리학자와 여경찰의 콤비라. 링컨 라임 시리즈의 독일 버전이로군. 이 시리즈의 주인공도 핸디캡이 있는데 두통이 잦아서 늘 침을 맞고 마리화나를 피운다. 핸디캡 없는 주인공은 아직까진 ‘잭 리처‘ 밖에 없는 듯.

범인이 독일 동화책의 내용을 모티브로 해서 여자들을 납치하고 제삼자에게 전화해 48시간 안에 맞춰보라고 한다. 장난 나랑 지금 하냐. 이게 참 동화 내용을 모르다 보니 재미가 반감되어 아쉬웠는데 다 읽고 나니 책 맨 뒤에 ​동화 내용이 있었다. 장난 나랑 지금 하냐. 맨 앞장에 내용이 있었으면 이해가 더 쉬웠을 것을, 편집부는 무슨 생각인지.

두 권 읽어보니까 이 작가는 욕심이 많구나 싶었다. <여름의 복수>에서는 형사, 변호사, 탐정을 다 사용하더니, 이 책은 해외까지 넘나들며 연쇄살인 하나하나를 다 소개한다. 이것저것 준비는 많이 하셨는데 뿌린 게 많다 보니 정신없고 바쁘게 진행된다. 이런 게 뼈대는 부실하고 살만 잔뜩 붙여서 독이 되는 케이스임. 드리블만 잘해서 뭐 해. 슛이 들어가야 즐거운 게임이지.

가수들도 1집부터 대박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깐 일단 넘어가겠다. 훗날엔 이 작품이 위대한 전설의 시작이었다고 기억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관찰자
샤를로테 링크 지음, 서유리 옮김 / 뿔(웅진)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초반부터 번잡한 이 스토리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실업자 모태솔로남이 흠모하는 유부녀의 남편이 살해된 사건의 용의자가 되어 경찰한테 쫓겨 다니고, 그 유부녀의 애인이 뒤편에서 범인을 조사하다가 의외의 인물에게 위험을 감지한다는 다소 뻔한 클리셰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작품이다.

꽤나 시리어스한 전개인데 초반의 어수선한 분위기만 이겨내면 그럭저럭 볼 만하다. 국으로 치자면 약간 소금 조절 실패한 소고기 뭇국 정도의 맛이랄까. 여자 관찰이 취미인 주인공이 범행 현장을 목격하여 사건을 돕는다라는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오히려 쫓기는 시점부터 그의 비중은 확 떨어지고 유부녀 애인의 비중이 대부분이라 ‘주인공은 대체 누구인가‘ 하는 혼란만 가져온다. 무엇보다 범인이 짠하고 등장해서 ‘내가 죽였소‘ 하는 게 제일 어이없었는데 전혀 이렇다 할 복선도 없던 인물이라서 지금까지 뭐 하러 추리했나 싶은 자괴감 들고 괴로워...

읽다 보니 <7년의 밤>과 비슷한 기분이 들었는데 범인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범인의 내면적 세계에 더 중점을 두는 작품 같다. 이 책은 어린아이가 괴물이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통과 아픔이 있었는지, 남편에게 학대받은 아내의 영혼이 어디까지 부서질 수 있는지 등등 사회에 드러나지 않는 가정문제의 심각성을 조명하는 사회소설이다. 여기서 중요 포인트는, 피해자를 돕고는 싶지만 엮이고 싶지 않아 외면하는 인간의 내면적 갈등이다.

1부만 보면 별 3개지만 2부는 별 4개인 조삼모사 같은 책이다(뭐래니). 이 책도 겉보기엔 일반적인 수사기법과 별 차이가 없지만 자세히 보면 정황마다 심리적인 요인을 가지고 해결하려는 게 보인다. 그래서 제목처럼 서로 관찰하는 장면이 많으나 살짝 빈약하여 아쉽다고 느꼈는데 역자 후기에 따르면 이 작가는 내공 빵빵 심리묘사의 달인이라고 한다. 아니 무슨, 읽는 책마다 그 나라의 베스트셀러 작가래. TOP 100명안에만 들면 다 베스트입니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秀映 2018-03-30 23:00   좋아요 1 | URL
속임수를 쓴 작가네요
그 책 별로였어요 저는...
이 책도 어떨지 상상되는데요 ㅎ

물감 2018-03-31 04:42   좋아요 0 | URL
7년의 밤 말하시는거죠?ㅋㅋ
그래도 이 책은 배울점이라도 있어요😀😀😆

秀映 2018-03-31 11:48   좋아요 1 | URL
샤를로테 링크의 속임수라는 책이 별로 였다는 얘기예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