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단군과 고구려가 죽어야 민족사가 산다
김성호 지음 / 월간조선사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난 원래 책을 살 때 그냥 쉽게 사는 법이 없다. 읽은 책이 너무 좋아서 소장하고 싶어서 산 경우 아니면 서점에서 대충이라도 보고 와서 책을 사는 편이다. 그런데 이번엔 특별하게 지은이의 이름만 보고 막연히 그냥 샀다. 이 책의 지은이인 김성호씨의 책을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부터 '중국진출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까지 다 사서, 논리적이고 신선한 그 책들을 보고 또 봤다.

이번 이 책은 제목부터가 너무 과격하더니 완전히 나에게 큰 실망을 안겨다 주었다. 우선적으로 작자의 주장에 대해 근거로 들고 있는 문헌 내용에 대한 출전사서의 원문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역사 문외한인 내가 생각하기에도 각국 문헌을 비교하거나, 한가지 내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풀이를 하기 때문에 원문이 꼭 덧붙여져야 된다고 생각하는 바인데 무턱대고 이 책에선 지은이의 주장만 나열되어 있다.

특히 역사서에 나온 성들이나 지명에 대해 어떤 근거도 없이 어느 성은 어디라고 그냥 막연히 적어놓았다. 대체 어떤 근거로 그렇게 생각하는지 알 수 없어 너무 답답하고 주입식 교육을 시키는 것 같은 생각이 절로 든다. 물론 이 책이 시간에 쫓기고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급박하다 보니 이렇게 급조되었는지 모르지만 독자를 우롱하는것 같아 씁쓸하기 그지없다. 이 책에서 황당무계함의 극치는 나당전에 대한 주장과 문무왕의 김유신 암살에 관한 이야기다. 소설같기도 하고 두번이나 이 책을 보았는데도 아직 아리송하다. 뭘 이야기하는지....

다시 한번 김성호씨의 정리되고 설득력 있는 학설을 기다리며 서평 또한 난잡하고 신랄하여 부끄럽기 그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활이 바꾼 세계사 세계의 전쟁사 시리즈 4
김후 지음 / 가람기획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지은이 소개에 의하자면 저자는 사학이 전공이 아닌 듯, 그 나름대로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이렇게 활이란 무기를 통해 색다르게 세계사를 본 것이 우선 새롭고 흥미롭다. 더군다나 문헌 자료와 고고학적 유물이 희귀한 마당에 책을 쓰기가 꽤나 어려웠으리라고 생각된다........

어쨌거나 고래로 우린 활로 유명한 동이족이었다. 활하면 정착민보다는 유목민과 많이 관련짓는데 이 책에서도 스키타이, 흉노, 거란, 몽골 등 유목민들의 전쟁사에 드러난 활을 통해 유목민의 삶에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가고 있다. 우린 보통 학교교육이나 상식적으로 중화사상과 잘못된 서구사상에 세뇌되어 흔히 우리와 비슷한 퉁구스, 몽골, 투르크 같은 유목민들을 야만인 취급하고 오랑캐라고 부르며 멸시하고, 우린 소중화라는 사대주의에 사로잡혀 우스운 우쭐함을 지난 몇 백년간 보여왔다. 난 이 책을 스기야마 마사아키가 지은 '유목민이 본 세계사'와 같이 비교하면서 보았는데 굳어 있는 기존의 틀을 깨고 나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주었고 새로운 세상을 알게 해 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이 책에서 내 눈길을 끄는 건, 언제나 戰史라고 하면 페르시아-그리스 전쟁, 로마-카르타고전 등을 주로 떠올리던 나에게 우리 고려와 거란(요)과의 2,3차전의 전쟁사를 대체로 쉬우면서 충실하게 복원하여 우리들로 하여금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싸웠는지를 상상할 수 있게 한 것이 돋보였으며, 또한 잉글랜드 장궁을 소개하면서 잔다르크의 출현 등을 계기로 어떻게 해서 중세의 기사도가 몰락하고 절대왕정이 성립되는지 전쟁이 문명의 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간결하면서도 잘 지적한 듯 하다.

예나 지금이나 무기는 최첨단 과학기술의 결정체라고 알고 있다. 군사강대국이 곧 문화와 문명의 강대국으로 통하듯, 우리도 어서 자기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문화를 가꾸어 나가 자주 국방을 이룰 날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