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불편한 진실 - 7가지 테마로 본 인류 사회의 기만과 위선
태지향 지음 / 구텐베르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ook Review

 

 

이토록 불편한 진실 - 7가지 테마로 본 인류 사회의 기만과 위선

_태지향 (지은이)구텐베르크2025-02-17

 

 

인간은 자기 자신을 잃었을 때 모든 것을 부당하게 대해왔다. 한나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도 자신을 잃어버리면서 시작된 것이다. 악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망각할 때 그저 일상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평범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자신을 잃어버린 인간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해지고, 그 결과 역사는 폭력과 지배의 연속이 된다.” (P. 453)

 

 

같은 사물이라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서 그 모양이 달리 보인다. 빛과 어두움도 한몫 한다. 하물며 인류가 삶의 역사를 이어가면서 만들어낸 여러 가지 관념들은 어떤가? 그것이 과연 정답인가? 아니면 따지지 말고, 아무소리 말고 받아들이고 살아가라는 메시지가 담긴 것은 아닌가?

 

 

진실이라면 편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저자는 불편한 진실이란 권력이나 다양한 욕망을 숨기기 위해 대의를 외치거나 무언가를 창조하고 아름답게 꾸민 것들이라고 지적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아름답다고 굳게 믿었던 것들, 예를 들어 도덕과 윤리, 문화라는 것들조차 우리의 생존과 공동체의 상생을 위한 숱한 고민과 시행착오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권력의 질서를 위한 규칙이나 강제가 필요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이야기다. 공감한다.

 

 

뜬금없이 몇 해 전 교육계 관련종사자 아무개가 민중은 개돼지라고 발언해서 한국사회를 뒤집어놓았던 일이 생각난다. 속이 거북해진다. 단지 그 인간만 갖고 있는 생각이었을까? 나라 살림을 잘 해보라고 뽑아주었거나 이런저런 경로로 정부부처의 높은 자리에 앉아있는 사람들 중에 민중은 개돼지나 다름없어라는 생각을 눈곱만치도 생각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저자는 이 책에서 풀어놓는 이야기들을 통해 독자에게 강요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한다. 단지 우리가 여태껏 진실이라고 믿고 있던 것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한다. 책은 7가지 테마로 편집되었다. _철학, 예술, 종교 _폭력, 인구문제, 죽음과 사랑, 차별, 자유의지 _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독재정치, 문화 _인간의 계보와 오류, _삶의 기만과 본질, 일상 속의 기만 _자유정신 _창조와 신화라는 양면성 등을 다시 생각해보기이다.

 

 

인류 각자에게 주어진 자유는 선천적 권리라기보다는 타인과의 경계에 대한 존중이기에 도덕적이어야 한다. 자칫 나의 자유로움이 타인에게 불편함이나 해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등이란 선천적 권리로 모든 정의의 바탕이 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은 평등한가? 애당초 기울어진 운동장 아니었던가? “공정과 정의는 국가가 지향해야 할 최고의 덕이라 말하면서, 진실은 불공정과 부정의가 권력의 합리적인 공정과 정의였다.”

 

 

각각의 독서모임에서 저자가 제시한 7가지 테마를 주제로 서로 토론해보는 시간도 좋을 듯하다. 책 후면에 첨부한 참고문헌을 보면 저자가 대단한 독서가라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북리뷰 #이토록불편한진실 #7가지테마로본인류사회의기만과위선

#태지향 #구텐베르크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토록 불편한 진실 - 7가지 테마로 본 인류 사회의 기만과 위선
태지향 지음 / 구텐베르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각의 독서모임에서 저자가 제시한 7가지 테마를 주제로 서로 토론해보는 시간도 좋을 듯하다. 책 후면에 첨부한 참고문헌을 보면 저자가 대단한 독서가라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팬텀 시그널 네오픽션 ON시리즈 33
조선희 지음 / 네오픽션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ook Review

 

 

팬텀 시그널 _조선희 / 네오픽션 (2025)

 

 

너와 다른 모든 너는 각자 자기만의 우주를 가지고 있다. 그 우주는 네가 느끼는 감정과 생각, 행동과 인간관계, 그 밖의 기타 등등이 켜켜이 쌓인 구조물이다. 오직 너의 감각으로만 살아가는 세계, 너의 감정이 느끼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굴러가는 시공의 세계, 네가 주인인 세계, 너만의 우주이다.”

 

 

남다른 능력을 가진 모녀가 주인공이다. 아니 엄마의 엄마까지 포함하면 3대째 이어지는 능력이다. 그런데 그 능력이 썩 좋지만 않다. 돌파구는 될지언정, 선한 해결책은 아니다. 엄마의 이름은 수우이고, 딸의 이름은 송하이다. 새삼스러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인간의 정신영역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뉜다. 이 소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무의식의 영역이다. 온갖 일을 저지르면서도 짐짓 겸손모드로 나는 그저 무의식의 먼지 한 톨일 뿐이라고 하는 영적존재(이런 표현은 책에 안 나오지만)가 소설의 화자이다.

 

 

책의 제목으로 쓰인 팬텀 시그널은 소설 중 엄마인 수우의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를 언급된다. 같은 꿈을 반복해서 꾸는 건 계속 같은 문제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사람이 극복하기 힘든 사고를 겪고 삶의 의지를 상실하면 외부환경인지 통로를 닫아버리는 마인드 트랩에 빠진다고 한다. 그때 팬텀 시그널은 극단적 선택을 피하고 트랩을 탈출하도록 다른 방향으로 각성을 시킨다는 이야기다. (정신의학분야에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은 이론인지 아닌지는 확인이 안 되지만, 그런대로 수긍이 가는 내용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스스로 무의식의 먼지 한 톨이라는 존재가 수우나 송하가 불러내기 전엔 마음자리 한 구석에 얌전히 있다는 것이다. 감정에 반응하는 존재이나 감정을 느끼지는 않는다. 하지만 수우나 송하가 감정적으로 제어가 안 되는 상태가 되면, 기지개를 켜며 나올 준비를 한다. 그래서 몇 가지 사건을 일으킨다. 좋지 않은 결과이다. 하긴 감정적으로 고양된 상태에선 누구에게나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긴 하다. 인간의 뇌에는 인류가 아직도 파악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 남아있다. 의식과 무의식은 또 어떤가? 특히 무의식의 세계는 형체가 있는 것 같으나 실체를 그릴 수 가 없다. 이 소설은 독자들을 꿈속에서 연결되는 몸과 영혼들의 세계로 안내한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 긴장감을 늦출 수 없다.

 

 

 

#팬텀시그널 #조선희 #네오픽션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팬텀 시그널 네오픽션 ON시리즈 33
조선희 지음 / 네오픽션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뇌는 인류가 아직도 파악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 남아있다. 의식과 무의식은 또 어떤가? 이 소설은 독자들을 꿈속에서 연결되는 몸과 영혼들의 세계로 안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아, 그런 나는 없다
홍창성 지음 / 김영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철학적 ‘나의 존재’와 불교의 ‘나 없음’을 교차 검토한다. 특히 ‘나의 존재’에 관한 가장 혁신적인 설명인 불교의 ‘무아론’을 심리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 등 서양현대철학의 통찰을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논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