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슈아 그린의 해결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공유지의 비극 문제에는 도덕적 본능을 적용하라. 공리주의적 계산을 하지 마라
-둘째, 상식적 도덕의 비극 문제에는 공리주의적 계산을 적용하라. 여기에 도덕적 본능 또는 종교적 교리를 적용하면 갈등이 증폭된다.
매우 공감되는 제안이다. 큰 깨달음을 준다. 경제학자의 도덕적 고뇌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특히.

인간은 잘 알려져 있듯이 우리 자신이 선호하는 것을 선택할 때 매우 편향적이며 행위의 장기적이고 전체적인 효과를 계산하는 데 매우 미숙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는 좀도둑질이 더 큰 행복에 기여할지를 스스로 계산하려고 애쓰기보다 우리의 도덕적 본능에 귀를 기울이는 편이 훨씬 더 낫다. 나보다 우리를 앞세우게 하려고 생물학적·문화적으로 진화한 도덕적 본능을 계산으로 이기려 하는 것은 위험을 자초할 뿐이다.
이 지점에서 당신은 ‘공리주의를 이렇게 변호하다 보면 결국 공리주의가 필요 없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질지 모른다. 만약 도덕적 본능이 우리를 더 큰 행복으로 인도하는 데 신뢰할 만한 안내자라면, 공리주의든 다른 무엇이든 굳이 도덕철학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여기서 우리는 이 책에서 말한 두 가지 비극을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의 도덕적 본능은 나와 우리가 대립하는 ‘공유지의 비극‘에 대해 훌륭하게 대처할 수 있지만, 우리와 그들이 대립하는 ‘상식적 도덕의 비극‘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그러므로 공리주의의 실천 방침은 다음과 같다. 나와 우리가 대립하는 일상생활의 도덕적 유혹을 이겨내야 할 때는 도덕적 본능에 의지하고, 우리와 그들이 대립하는 새 목초지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고민할 때는 명시적으로 공리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 P256
사진을 찍을 때는 무엇이 더 좋은가? 자동설정인가 아니면 수동모드인가? 답은 당연히 어느 것도 절대적인 의미에서 더 좋지는 않다는 것이다. 사진을 찍는 이 두 방식은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좋거나 나쁘다. 만약 당신이 인물사진, 풍경사진 같은 전형적인 촬영 상황에 놓여있다면 아마도 자동설정으로 충분할 것이며, 카메라를 들고 찍기만 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카메라 제작자가 전혀 상상하지 못한 상황에 놓여 있다면, 또는 당신의 심미적 취향이 제작자의 취향과 다르다면, 아마도 수동모드가 필요해질 것이다.
이제 우리의 물음은 다음과 같다. 도덕적으로 볼 때 우리는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가? 새 목초지의 문제들은 자동설정을 필요로 하는가, 아니면 수동모드를 필요로 하는가?
공유지의 비극은 여러 자동설정들을 통해, 즉 제한된 집단 안에서 협력의 동기를 부여하고 협력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도덕적 감정들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식적 도덕의 비극은 자동설정 때문에‘ 생긴다. 다양한 부족들이 다양한 자동설정을 갖고 있어 서로 다른 도덕적 렌즈로 세상을 보게 되는바람에 생긴다.
공유지의 비극은 이기심의 비극이지만, 상식적 도덕의 비극은 도덕적 비융통성의 비극이다. 새 목초지에서 다툼이 벌어지는 까닭은 양치기들이 너무 이기적이거나 부도덕하거나 초도덕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각자의 도덕적 관점 밖으로 나오질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이제 답변은 분명하다. 그들은 수동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 P262
세계의 주요 종교들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우리의 이웃에게 친절하라고 거짓말하지 말라고, 도둑질하지 말라고, 우리 자신을 도덕적으로 특별 취급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한마디로 말해 세계의 주요 종교들은 그들의 추종자들이 공유지의 비극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대다수 종교는 우리가 상식적 도덕의 비극을 피할 수있도록 돕는 일은 하지 않는다. 그들은 우리의 가치와 그들의 가치 사이의 갈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우리의 공동 통화를 찾으려면 다른곳을 살펴보아야 한다. - P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