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복 Sovok
쓰레받기Sovok는 ‘소비에트 남자’(그리고 여자)를 지칭하는 새로운 경멸적 용어였고, 언론은 그런 미개한 사람들을 자주 조롱했다. 《구소련 러시아어 해설 사전An Interpretative Dictionary of the Language of Sovdepia》이 소비에트 언어 용법에 대한 안내서(또는 기념서)로 출간되었다. 외국어와 러시아 구어와 문어의 최근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사전이 많이 필요했다. 대중매체의 언어가 갑자기 극적으로 서구화되었고, 엄청나게 많은 조어들은 한때 소비에트 두문자어처럼 괴상했다. 1990년대의 인기 소설인 빅토르 펠레빈의 《호모 자피엔스Homo Zapiens》는 새로운 광고와 텔레비전의 세계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블랙 코미디였다. 여기에서는 이미지와 홍보가 모든 것이며 핵심적인 정체성은 이미 사라졌다. - <아주 짧은 소련사>, 실라 피츠패트릭 저/안종희 역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EBsdhWm8ot699nM8
소복(sovok)
‘소복‘은 소련 시절, 그리고 지금까지도 삶의 곳곳에서 맞닥뜨리는 부정적인 측면들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단어로 반어와 경멸의 뉘앙스를 담고 있다. 명사 ‘소복(sovok)‘은 형용사 ‘소비에트(소련식의 советский)‘의 준말 역할을 하는 셈이다.
‘소복‘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나라 명칭이나 (예시: ‘소복에 산다‘라고 하면 ‘소련에 산다‘라는 의미다), 사람의 성격을 표현할 때 (예시: ‘그는 어쩔 수 없는 소복이야‘라고 하면 ‘그는 어쩔 수 없는 소련식 사람이야‘라는 의미다) 사용한다. 사람을 ‘소복‘이라고 칭하면 무기력하고 수동적이고 피동적인 사람, 전적으로 국가에 의지하면서 적지만 국가로부터 받는 것에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시대를 ‘소복‘이라고 표현하면 뭔가가 지루하고 음울하고 정체된 시대를 말한다(소련이 해체되기 전 마지막 20년을 ‘정체된 시대‘라고 부르는 것은 타당한 이유가 있다).
‘소복‘은 공식적인 선전선동이 실제 삶과 완전히 동떨어졌던 거짓과 위선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단어이다. 사회적 제재를 받지 않기 위해 소복의 시민들은 반드시 일련의 의식들을 치러야 했고(예컨대,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고 말로만 ‘국민을 대변하는‘ 의원 선거에 참여하여 한 표를 행사해야 했다), 국가권력이 무슨 행보를 취하든 이런저런 형태로 받아들여야 했으며 빈궁한 자신들의 생활을 심하게 불평도 하지 말아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