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학의 포로들 - 세계의 패권 싸움은 지정학의 문제다
정의길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혈과 민주주의

1862년 프랑스 주재 대사였던 비스마르크가 급히 호출되어 재상에 임명됐다. 그는 취임연설에서 “독일은 프로이센의 자유주의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로이센의 힘을 기대하고 있다”며 “빈조약 이래 우리의 국경은 건전한 민족생활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빈 체제 와해에 의한 독일의 통일을 명확히 했다. 그는 “이 시대의 중대한 문제들은… 연설이나 다수결에 의한 결정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철과 혈에 의해 결정된다”고 선언했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정학의 포로들 - 세계의 패권 싸움은 지정학의 문제다
정의길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이센과 쾨니히스베르크 그리고 칸트

프로이센공국은 폴란드의 종주권하에서 호엔촐레른 가문의 한 지류가 대대로 프로이센 공이 되어 쾨니히스베르크(현재의 칼리닌그라드 시)에서 통치했다. 프로이센왕국의 성립은 1618년 베를린 지역의 브란덴부르크후국이 프로이센공국을 통합하면서부터 시작됐다. 프로이센공국에서 호엔촐레른 가문이 단절되자, 같은 호엔촐레른 가문의 브란덴부르크후국의 통치로 들어간 것이다.

프로이센왕국은 성립 때부터 국토가 분리되어 있었다. 독일 역사에서 적지 않은 기간 동안 프로이센 지역은 독일 본토로부터 단절과 연결, 상실과 회복을 반복했다. 현재의 독일 동쪽 국경선과 약 400킬로미터 떨어진 동유럽 변방에 한 뿌리를 둔 프로이센 세력이 주도해 통일 독일제국이 동유럽 쪽으로 팽창하려 한 이유이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프로이센은 1700년대 후반 들어, 유럽의 세력균형에 영향을 줄 세력으로 성장했다. 1740년 즉위한 프리드리히 2세는 조각난 프로이센의 영토들을 연결하려고 나섰다. 이는 바로 프로이센의 팽창을 의미했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정학의 포로들 - 세계의 패권 싸움은 지정학의 문제다
정의길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르투갈 제국의 이해

서방 해양세력의 첫 주자인 포르투갈의 해상제국은 광대한 영토를 장악한 기존의 제국과는 달랐다. 리스본에서 출발해 서아프리카 앙골라의 루안다, 동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소팔라와 키루와, 탄자니아의 잔지바르, 인도의 고아, 스리랑카의 콜롬보, 말레이반도의 말라카, 중국의 마카오, 일본 나가사키 등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연안의 전략적 거점 항구 몇 곳만을 확보하거나 식민화해서, 이곳들을 연결하는 해로를 장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상제국과 육상제국의 차이

새로운 해로의 발견보다 중앙아시아의 불안정이 유라시아 육로를 통한 교역을 감소시켰다. “화물 약탈이 현실적으로 우려됐고, 이를 보호하는 비용이 너무 비싸졌다. 배로 수송해도 이익이 생길 수 있자 상인들이 육로로 통상할 마음은 약해졌다. 그러나 대상을 파견하지 않은 주요한 동기는 아시아 대륙에서 직면한 군사적, 정치적 조건 때문이었다.”[14]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육로처럼 해로 역시 교역을 위해 자유롭고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는 세력에 의해 유지돼야 했다. 하지만 항구를 연결하는 해양 상업망은 광대한 영토에 제국적 통제를 유지하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쌌다. 포르투갈은 16세기 동아프리카에서 마카오를 잇는 자신들의 아시아 해상제국을 단 1만 명의 병력으로 유지했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공해의 본질은 장거리 교역의 생존이 거대한 육상제국들의 정치적 부침에만 더 이상 의존하지 않아도 됨을 의미했다. 거래인들이 해적을 막을 힘만 있다면, 모든 해로를 통해서 중개인들을 우회해 최종 항구와 직접 거래할 수 있었다… 수익 좋은 장거리 교역을 위한 해로를 열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비용, 즉 해적을 퇴치하고 전략적 교역 항구에 거점을 확보하는 비용은 육로를 통제하는 것보다도 훨씬 쌌다. 육로 통제에는 보통 군사적 정복과 이방 영토의 관리가 요구됐다.[1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서방 해양세력들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전통적으로 인구와 부가 몰린 이 지대를 해로를 통해 경략하면서, 유라시아 내륙 중앙아시아와 육로의 상업적, 정치적 가치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리의 힘 2 - 지리는 어떻게 나라의 운명을, 세계의 분쟁을,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는가 지리의 힘 2
팀 마샬 지음, 김미선 옮김 / 사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란에는 큰 강이 3개 있는데 물자를 실은 선박이 운항할 수 있는 강은 카룬강 하나뿐이다. 이런 까닭에 국내와 해외 무역에서 항공 비중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현재 이란에는 테헤란, 반다르아바스, 시라즈, 아바단, 이스파한에 국제 공항이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을 합친 것보다 넓은 땅덩어리를 가진 나라에서 항공이야말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도시들을 가장 빠르게 연결하는 유일한 수단인 것이다. - < 지리의 힘 2, 팀 마샬 / 김미선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