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슨은 다음과 같이 과감하게 주장했다.



나는 교육 전문가다. 내게 건강하고 토실토실한 아기를 열두 명만 보내, 내 방식대로 양육하게 하라. 장담하건대, 그들 중에서 임의로 한 명을 골라 의사, 법률가, 화가 등의 전문가, 심지어는 거지나 도둑으로도 기를 수 있음을 증명하겠다. 아기들의 재능, 선호, 경향, 능력, 소질, 인종 따위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68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은 기회균등을 강조하는 정치이념과 훌륭한 조화를 이루었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1930년대에 이르러 본능이라는 개념은 실험심리학에서 거의 모습을 감추었고, 진화라는 개념도 덩달아 사라지고 말았다.

심리학에서 행동주의가 시작된 직후, 인류학에서도 본능과 유전설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20~30년대에는 지능검사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쿨리지 대통령은 여키스의 결론을 받아들였다. 그 결과 1924년, 미국 정부가 선호하는 인종과 국민에게만 이민을 허용하는 이민법이 시행되었다. 쿨리지는 이 법안에 서명하면서 “미국은 미국답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후, 이 제한적인 이민법은 인간사회생물학의 비판자들에 의해 ‘인간행동 연구에 진화론적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인용되었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학계를 대표하는 사회적 다윈주의자는 예일 대학교의 정치경제학 교수였던 윌리엄 섬너William Sumner였다. 섬너는 “백만장자도 자연선택의 결과다. 그들은 사회적 합의에 따라 높은 보수를 받고 호화로운 생활을 하며, 이러한 합의는 사회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45고 주장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사회주의 제도는 ‘부적격자들의 생존을 증진한다’는 이유로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아돌프 히틀러는 이 책에서 ‘인종의 순수성이 필요하다’는 유사과학적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혼합유전이라는 엉터리 개념과 스펜서의 적자생존 원칙을 들이대는가 하면, 인간과 동물을 아전인수 격으로 비교하는 행위도 서슴지 않았다. 생물학적으로 볼 때 『나의 투쟁』에 실린 히틀러의 주장은 넌센스였지만, 생물학적 진화를 진보로 왜곡시키는 견해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이보다 더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는 없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칸트와 다윈

곰곰이 생각해보면 연합주의가 어째서 잘못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우리의 마음속에 지식 습득을 가능케 하는 구조가 미리 구축되어 있지 않다면, 우리의 정신이 세계에 대한 그림을 그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독일의 위대한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는 유명한 『순수 이성 비판』에서 “인간의 정신 속에는 세계를 인식하는 데 기여하는 어떤 전제조건이 존재하고 있음에 틀림없다”고 지적했는데, 칸트의 통찰력은 신경학, 심리학, 인공지능 분야에서 최근에 이룩된 방대한 연구성과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주변 세계를 인식하고 해석하며 모방할 수 있게 해주는 정신 기구mental apparatus가 어느 정도 유전자의 산물임을 이해하고 있다. 다윈이 펴낸 세 권의 위대한 책은 심리학 분야에서 연합주의적 견해가 쇠퇴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티븐 핑커를 찬찬히 읽어볼 이유

˝나는(에드워드 윌슨) 1970년대 동안 줄곧, 매우 강력한 유전론적 입장을 유지했다. 당시 사회과학은 양육론의 승리를 바탕으로 하여 새 판짜기에 들어가고 있던 참이었다. 오랫동안 계속된 본성론과 양육론 간의 논쟁에서 승부가 양육론 쪽으로 기우는 상황에서, 나는 꺼져가는 논쟁의 불씨를 살리는 데 힘을 보탰다. ˝ - < 센스 앤 넌센스, 케빈랠런드,길리언브라운 지음, 양병찬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