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의 다양한 영향

2014년은 한국군이 베트남에 파병된 지 50년이 되는 해였다. 1964년 9월 22일 한국군의 제1이동외과병원 및 태권도 교관단이 사이공Sài Gòn(당시 남베트남 수도, 에 도착했고, 이들은 곧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배치됐다. 이후 1973년 3월 철수할 때까지 모두 네 차례의 파병을 통해 32만 5,000여 명의 한국군이 베트남에 파병됐고, 이 가운데 5,000여 명이 전사했다. 참전 뒤에도 1만 2,000여 명의 장병이 고엽제로 인한 질병 판정을 받았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U3Gz4fbVGChQosy7

1968년의 청와대 습격 사건이나 푸에블로호 사건 등은 모두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는 또한 1960년대 중반 베트남전쟁으로 위기를 느낀 북한 정부가 공격적인 대남對南 정책을 채택하면서 나타난 사건이었으며, 이 시기 북한의 국방·경제 병진노선은 국방비가 급증하면서 북한 사회가 경제적인 문제를 노정하게 되는 출발점이기도 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aCUacY5baQcbZSP6

극단적 전체주의 아래 있던 북한이 당시 제3세계 국가들이 조직한 비동맹회의에 참여할 수 있었던 반면, 한국의 대표가 이 회의에 참석을 거절당한 것도 당시 세계적으로 불었던 반전의 바람 속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qZfmBfxvcVnk4q38

반전과 수정주의에 대한 반동 역시 거세게 일어났다. 베트남전쟁의 후유증으로 세계 경제가 몸살을 앓을 때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태동했고, 반전과 탈근대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새로운 보수주의가 태동했다. 마치 한국에서 민주화 이후 이에 대한 반동으로 모든 진보적인 움직임을 ‘종북’으로 규정하는, 냉전시대보다 더 비논리적인 보수주의가 나타나는 것처럼. 지미 카터Jimmy Carter 대통령의 인권 외교가 ‘베트남에서 있었던 미국의 전쟁’에 대한 반성의 마지막을 장식했다면,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 대통령과 영국의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 총리, 일본의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 康弘 총리는 그 반대편에 서 있었다. 바로 이때 일본에서 처음으로 극우적인 역사 인식과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시작됐고, 미국과 영국에서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이 시작됐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9ZyALNyih7xNvWK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토마타 그리고 뇌샤텔

설명이 모호하긴 했지만 라 메트리의 저서에서 핵심이었던 기계에 대한 비유는 복잡하고 정교한 기계 및 오토마타를 향한 관심이 커지던 당시 분위기와 잘 맞아떨어졌다. 특히 소형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생동감이 더해진 태엽식 기계들은 데카르트가 언급했던 수압식 동상 따위는 한참 전에 뛰어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1738년에는 프랑스의 발명가 자크 드 보캉송Jacques de Vaucanson이 기계식 플루트 연주자를 만들고 뒤이어 스스로 드럼 반주를 넣는 피리 연주자, 움직이고, 먹고, 배변할 수 있는 소화하는 오리라는 기계까지 만들어 파리 주민들을 놀라게 했다.71 런던에서는 시계 장인이었던 제임스 콕스James Cox가 화랑 전체를 할애하여 자신이 제작한 오토마타들을 전시했는데, 그중에는 현재 영국 더럼 소재 보우스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은빛 기계식 백조도 있었다. 창의적인 발명품들이 쏟아져 나오던 이 시기의 끝판왕은 뭐니 뭐니 해도 1770년대 스위스의 시계 장인 피에르 자케 드로Pierre Jaquet-Droz가 6천 개가량의 부품으로 조립한 ‘글 쓰는 사람’이라는 오토마타였다. 현재 뇌샤텔에 전시되어 있는 이 놀라운 기계는 깃펜으로 편지를 쓸 수 있으며, 글을 쓰는 손의 움직임을 따라 유리로 만들어진 눈을 이리저리 굴리며 집중하는 듯한 모습마저 연출한다. - <뇌 과학의 모든 역사>, 매튜 코브 / 이한나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3XCXtzchaQFjr2P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 멕시코, 브라질의 도시 빈민굴은 농업의 규모의 경제 신화와 자유로운 농지거래의 결과다.

엘리시움에서 본 빈민굴은 충격을 잊을 수 잆다

구유럽에서 전통적인 농업사회가 근현대적 공업화와 도시화의 전환을 겪는 과정에서, 종주국은 자신의 잉여 인구와 빈곤 인구 및 범죄자들을 외부로 대규모 이주시켰고, 그럼으로써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자원을 약탈했다. 이 과정에서 본국의 인구와 토지와 자원 사이의 모순이 완화되었고,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전환에 따른 여러 부담도 더불어 완화되었다. 그리고 현대적 정치경제 제도를 건설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만들어졌다.

주로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이 새로 세운 식민지 국가는 해당 지역의 토착민들을 대규모로 학살하고 나머지 땅들을 전부 보류지로 점거함으로써 광활한 토지와 천연자원을 독점했기 때문에, 여전히 토착민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그 내부적 모순이 상대적으로 훨씬 덜했다.

유럽 국가들이 대규모로 식민지화를 추진하던 수백 년 동안 서구의 공업화에 따른 제도의 비용은 내부에서 외부로 전가되었고, 자원은 외부에서 내부로 이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구유럽 국가들은 오늘날 중국이나 기타 제3세계 국가들을 장기간 괴롭혀온 삼농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 - P202



객관적으로 ‘시야를 전 세계에 둔다면‘, 세계에서 불과 10개를 넘지 않는 대농업 국가들만이 토지의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농업에서 규모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것이다. 그 국가들은 거의 전부가 식민지화 과정 중에 해당 지역의 토착민을 대규모로 학살하고 농지를 개척한 경우이다. 

그 경우를 제외한 구유럽의 선진국들은 이미 수백 년의 시장화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교과서에 실려 있는 ‘규모의 경제‘를 농업에서 실현한 경우는전혀 없고, 지금까지도 여전히 소농장 위주이거나, 3분의 2의 농업경영자가 여전히 겸업을 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산업화 국가와 지역가운데 한국과 일본 및 타이완은 중국보다 앞서 온전한 시장경제의 단계로 접어들었는데, 농업은 지금까지 여전히 소농경제 위주이다. - P203

서구의 이론에 따라 ‘토지 사유화+시장화전환‘을 실행한 결과는 예외 없이 빈부의 양극화, 농촌 빈곤지역에서의 게릴라전, 도시 빈민굴의 범죄조직 만연, 그리고 심지어 테러리즘으로의 경도였다.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운 통찰!

북한 농업의 이른 현대화가 소련제국 붕괴로 재앙이 되다.
탈북민이 아니라 탈농민이다.

맨 처음 글은 김정훈 교수의 해제에 있는 요약이다.
아래의 문장은 저자의 원글이다.

이처럼 좌우 이데올로기에 의한 이념적 접근보다는 현장조사를 통한 체득을 강조하는 입장은 북한의 식량 위기를 바라보는 독특한 시각을 통해서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1990년대 초 자신이UN 파견 전문가 자격으로 북한 농업의 실상을 고찰하고 온 경험을술회하면서, 북한 농업의 붕괴는 농업 현대화의 지연 때문이 아니라오히려 구소련에서 도입한 6만 대의 트랙터로 대표되는 농업 기계화에 과도하게 의존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북한 전체 인구 30퍼센트미만의 농촌 인구가 70퍼센트의 도시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 속에서 구소련의 해체로 인해 농기계 부품과 에너지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북한은 그야말로 속수무책의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현장실사를 경험한 원톄쥔의 주장이다. 이는 단순히 사회주의의 실패를 계획경제의 비효율 혹은 관료의 부패라는익숙한 각도에서만 바라보아온 우리의 ‘냉전‘적 사고관행에 대해 새로운 각도에서 충격을 가한다. 이러한 시각은 향후 남북한의 통일을보다 실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실제적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는 유의미한 교훈이 아닐 수 없다. - P254

김정일 영도 하의 북한은 기근에 직면해 있지만, 이미 앞서서 현대화를 이룬 농업과 도시화를 이룬 인구 구조를 되돌릴 수 없다. 과거 소련이 주도한 동유럽경제상호원조회의(COMECON)의 영향 아래, 북한은 1인당 평균 경지면적이 남한보다 적은 산지 농업이라는 조건 하에서도, 일찌감치 기계화를 위주로 한 농업 현대화를 실현했다. 이를 통해 농업부문의 노동생산성을 극도로 높였고,
따라서 농촌 인구가 자연스럽게 도시로 이동하여, 70퍼센트가 넘는 고도의 도시화를 이루었다. 즉 북한은 일찍이 중국보다도 먼저 농업의 현대화를 실현했고, 오래전부터 농민들은 농사를 지을 때 더 이상 호미질을 하지 않았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가 오늘날 좌파나 우파를 막론하고, 또 학계의 이론가나 현실의 정치가를 막론하고 모두 동경해 마지않는 아름다운 꿈을 북한은 우리보다 20년 전에 벌써실현한 셈이다. 1989년 무렵 북한은 1인당 평균 식량 배당 380킬로그램, 1인당 평균 소득 900달러에 근접해 있었다. 우리의 지금 1인당 평균 식량 수준보다 높고, 소득도 우리의 1980년대 말보다 훨씬높은 수준이었다.  - P173

그러나 현대화를 앞서 실현한 데 따른 결과는 전혀 예상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에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체제가 해체되면서, 하루아침에 석유 공급이 끊겼다. 산유국이 아닌 북한은 트랙터를 잠자게 내버려둘 수밖에 없었다. 인구의 30퍼센트에 불과한 농업노동력은 오래전부터 전통적인 농기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트랙터를 운전하는 것밖에 할 줄 몰랐다. 경제적으로 봉쇄가 되자, 석유도 없고 트랙터 부품도 없는 조건에서 농사를지을 길이 막연했다. 식량 생산이 대폭 줄었고, 대규모의 기아가 발생했다. 들리는 바에 따르면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했다고 한다. 도대체 이건 누구의 죄인가?

중국의 ‘가구단위 생산청부제‘를 시행하도록 권했으면어떠했겠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내가 북한에서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중국의 가구단위생산청부제는 80퍼센트의 농민이 20퍼센트의 도시민을 먹여 살리는 구조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두룬潤生(1913~) 노인이 예전에 한 말을 빌리자면, 우리는 네 명의 농민이 한 명의 도시 사람을 드는 ‘사인‘라서 들 수 있었다. 그런데 북한은 지금 세 명의 농민이 일곱 명의 도시민을 먹여 살려야 한다. 게다가 맨손 노동에 의존해야 하는데, 이것이 가능하겠는가?  - P174

김정일은 도시민을 다시 농촌으로 보내서 맨손으로 삽질, 곡괭이질, 낫질을 하도록 시킬 수밖에 없었지만....... 그래서 ‘탈북자‘가 생기게 된 것이다. 이들은 사실 ‘탈농자‘인 셈이다. 도시민들은 농업을 할 줄도 몰랐고, 또 하고자 하지도 않았다. 북한은 일찍부터 농업의 현대화와 도시화를 가속화해왔는데, 김정일이 그것을 하향조정하는 쪽으로 바꿀 수 있겠는가? 불가능하다. 그러니 북한은 장기간에 걸친 농업의 곤경에서 스스로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정치체제의 문제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그보다는 농업의 현대화를 너무 서두르고 도시화를 가속화한 데 따른 엄청난 제도의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자기 발등을 찍게 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P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형된 마시멜로 실험

2013년 로체스터대학교의 홀리 팔메리Holly Palmeri와 리처드 애슬린Richard Aslin은 잡지 〈코그니션Cognition〉에 〈합리적 간식 먹기Rational Snacking〉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에 의하면 “첫 번째 마시멜로를 빨리 먹은 아이들 중 일부는 참을성이 부족했던 것이 아니라 ‘나중에 돌아오면 하나를 더 주겠다’는 연구원의 말을 의심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먹는 것이 남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며,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일수록 약속이 지켜질 것이라고 기대하며 좀 더 오래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90년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